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글쓰기를 좋아하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글쓰기를 좋아하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종호 전문가
열린동해문학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3년 10월 8일 작성 됨
Q.
독립운동가 박열이 개명한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본명은 박준식이었으나 스스로 개명한이름이 바로 박열입니다. 박열은 부모가 지어준 호적상의 이름을 거부하고 직접 자신의 이름을 정한 것이 불과 8살의 어린 나이였는데, 한자로 열(烈)은 '맵다', '세차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 결심한 것은 이루고야 말겠다는 포부가 담겨있습니다. 이름처럼 실제로도 박열은 어릴 때부터 불의를 보면 참지 못하는 다혈질의 열혈 소년이었다고 합니다.
역사
2023년 10월 8일 작성 됨
Q.
왕권신수설이 탄생하게 된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왕권신수설이란 국왕의 권한은 인간이 아닌 신(神)으로부터 나온다는 정치이론으로유럽 절대주의 시대를 뒷받침해 온 정치사상입니다. 그 대표적인 예로 영국 스튜어트 왕가의 찰스 1세가 바로 이 왕권신수설의 신봉자였습니다. 신의 권한을 부여받은 그는 마치 자신이 신이라도 된 것처럼 행동하였습니다.
미술
2023년 10월 8일 작성 됨
Q.
사람을 "사람" 이라고 칭한것은 어떻게 정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현대 국어 ‘사람’의 옛말인 ‘사’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는 말입니다. ‘사’은 동사 ‘살-’에 접미사 ‘-’이 결합한 파생 명사입니다. 16세기에는 제2음절의 모음 ‘ㆍ’가 ‘ㅏ’로 바뀐 ‘사람’ 형태가 등장하였는데, 16세기 이후로 제2음절 이하의 모음 ‘ㆍ’는 ‘ㅡ’로 바뀌는 경향이 있었지만, 간혹 ‘ㅏ’로 변하기도 하였습니다. ‘사’의 경우는 제2음절의 ‘ㆍ’가 ‘ㅏ’로 바뀌어 ‘사람’이 되면서 현재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역사
2023년 10월 8일 작성 됨
Q.
팔만대장경이 역사적으로 위대한 유산인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팔만대장경은 총 무게는 280톤으로, 4톤 트럭 70여 대를 동원해야 옮길 수 있는 양입니다. 당시 고려인구로 추정되는 300여 만 명 가운데 약 20%에 해당하는 50만 명이 동원된 대작불사이자 거대한 기록유산입니다.더욱이 팔만대장경 본문의 내용은 동양의 어떤 한문번역 대장경보다도 우수하다는 것이 국내외 학자들의 공통된 평가입니다. 또한 수백 년이 넘도록 원형을 잃지 않고 보존되고 있어, 경판 자체가 민족문화의 우수성을 증명해 주고 있습니다.
역사
2023년 10월 7일 작성 됨
Q.
이란과 아랍국가는 왜 싸우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양국은 국민 대다수가 이슬람교도이나 이란은 그 중 80% 이상이 시아파고 이라크는 시아파와 수니파로 2등분되어있으나 전통적으로 수니파가 상대적으로 다수인 시아파를 지배함으로써 양국은 과거부터 갈등을 겪고 있었습니다. 이란 혁명 성공으로 강경 급진 시아파가 집권함으로써 양국 관계가 격화되기 시작했습니다.이란 혁명 이후 이란의 시아파 정부는 이라크가 후제스탄 지역 반정부 세력을 지원하고 있으며 이라크 내 시아파를 박해한다고 비난하는 등 설전을 했고 이라크는 내정 간섭 중지를 경고함과 동시에 이란이 이라크 내 반정부 세력을 지원하고 있다고 맞받아치는 등 긴장이 고조되기 시작되어 마침내 국경에서 무력 충돌로 확대된 것입니다.
486
487
488
489
49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