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결 7호 작전이란 것은 무엇을 말하는 건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태평양 전쟁에서 수세에 몰리게 된 일본은 1945년 2월부터 일본 본토 사수를 위해 일본 내 6개 지역, 일본 외 1개 지역(제주도) 등 모두 7개 지역에서 결호 작전을 준비한다. 이중 제주도에서의 작전은 결7호 작전이라 이름 붙여졌으며, 작전을 독자적으로 수행할 제58군이 신설되고, 예하에 제96사단, 제111사단, 제121사단, 독립 혼성제 108여단 등 모두 7만 5,000여 명의 병력을 두어 미군과의 결전을 위한 진지를 구축하고 부대를 배치하는 등 결전 준비를 진행했다.[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Q. 4.3 사건에 대해 역사적 의미 및 사건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1947년 3월 1일, 3 · 1절 기념 제주도대회에 참가했던 이들의 시가행진을 구경하던 군중들에게 경찰이 총을 발사함으로써 민간인 6명이 숨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3 · 1절 발포사건은 어지러운 민심을 더욱 악화시켰다. 이에 남로당 제주도당은 조직적인 반경찰 활동을 전개했고, 제주도 전체 직장의 95% 이상이 참여한 대규모 민 · 관 총파업이 이어졌다. 미군정은 이 총파업이 경찰 발포에 대한 도민의 반감과 이를 증폭시킨 남로당의 선동에 있다고 분석했지만, 사후처리는 경찰의 발포보다는 남로당의 선동에 비중을 두고 강공정책을 추진했다.-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Q. 우리나라 열녀비는 양반이면 누구나 세워주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에서는 유교, 그 중 성리학을 중요시하였다. 성리학에서는 강조하는 것이 단 세 개였는데, 그것이 충, 효, 열(烈)이였다. 그 중, 열을 지킨 여인을 열녀라고 하며, 돈 많은 집안은 열녀를 가문의 영광으로 여기며 마을에 열녀문을 만들어 열녀를 기렸다.대다수는 성리학적 예법을 직접적으로 학습하고 따랐던, 사대부 여성을 기준으로 자주 세워졌다. 일단 평민들은 열녀가 되기엔 관련 사상이 미약했을뿐더러, 서로 빈부분을 채우며 살아가던 조선 사회에서 지조하나 지키자고 생계적인 면을 포기할 수 없었기에, 쉽게 열녀가 되지 않았다.-출처:나무위키
Q. 헬렌켈러는 시각과 청각장애를 가진 중복장애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1880년 6월 27일 앨라배마 주 터스컴비아에서 부유한 가정의 딸로 태어나 자랐다. 아주 어릴 때는 비장애인이었으나, 생후 19개월 때 앓은 뇌척수막염으로 하루아침에 시력과 청력을 한꺼번에 모두 잃고 시청각장애인이 되어,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라는 3중고를 가지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