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바로크 시대의 미술 작품은 뭐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카라바조 (Michelangelo Merisi da Caravaggio, 1573~1610)에서는 카라바조만의 원근법과 보는 이를 그림 속으로 끌어들이는 명암법, 빛의 극적인 대조, 감정적 묘사와 연극적인 강렬한 빛이 돋보인다.베르니니 (Giovanni Lorenzo Bernini, 1598~1680)최고의 걸작인 는 성녀 테레사가 겪은 신비한 체험을 담았다.-출처: 티스토리
Q. 십이간지는 아시아 지역에서만 사용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동양에서 십이간지 순서를 동물로 사용하는 나라는 한국, 중국, 일본, 베트남 등인데,십이간지 동물 순서를 지지의 순서와 연결해 설명하면 이렇습니다. 자(쥐), 축(소), 인(호랑이), 묘(토끼), 진(용), 사(뱀), 오(말), 미(양), 신(원숭이), 유(닭), 술(개), 해(돼지)의 순서인 것입니다. 이렇게 연결된 십이지신 유래는 여러 가지 설이 있습니다. 옛날에 신이 동물들을 불렀는데, 정한 시간까지 먼저 도착하는 순서대로 차례를 정하겠다고 했습니다. 소는 느리기 때문에 늦을까 봐 먼저 출발하여 착실히 도착했는데, 소뿔에 매달려 타고 온 쥐가 갑자기 뛰어내려 1등을 했다는 유래입니다.-출처: 티스토리
Q. 철학이라는 용어의 뜻과 유래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철학(哲學, 고대 그리스어: φιλοσοφία)은 세계와 인간의 삶에 대한 근본 원리 즉 인간의 본질, 세계관 등을 탐구하는 학문이다. 또한 존재, 지식, 가치, 이성, 인식 그리고 언어, 논리, 윤리 등의 일반적이며 기본적인 대상의 실체를 연구하는 학문이다.이 말은 프로타고라스에 의해서 만들어졌다고 한다. 철학적 방법이란 질문, 비판적 토론, 이성적 주장, 그리고 체계적 진술을 포함한다.철학(Philosophy)이라는 용어는 고대 그리스어의 필로소피아(φιλοσοφία, 지혜에 대한 사랑)에서 유래하였는데, 여기서 지혜는 일상 생활에서의 실용하는 지식이 아닌 인간 자신과 그것을 둘러싼 세계를 관조하는 지식을 뜻한다.-출처: 위키백과
Q. 인생을 소풍에 비유했던 시를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천상병(千祥炳, 1930년 1월 29일 ~ 1993년 4월 28일)은 대한민국의 시인, 문학평론가이다. 호는 심온(深溫), 본관은 영양(潁陽)이다. 귀천 - 천상병나 하늘로 돌아가리라.새벽빛 와 닿으면 스러지는이슬 더불어 손에 손을잡고,나 하늘로 돌아가리라노을빛 함께 단 둘이서기슭에서 놀다가 구름 손짓하면은,나 하늘로 돌아가리라.아름다운 이 세상 소풍 끝내는 날,가서, 아름다웠더라고 말하리라.삶이란 잠시의 소풍이고, 죽음은 본래 있던 곳으로 돌아가는 것'이라는 인식을 달관적으로 드러냅니다. 그리고 하늘로 돌아가 이 세상 아름다웠더라고 말한다며 시가 종료됩니다.
Q. 현대 음악에서 '12음계 평균율'이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平均律 / Equal temperament한 옥타브를 자연 배음을 고려하지 않고 균일하게 등분하는 조율 방식. 옥타브를 몇 등분하냐에 따라서 12평균율, 19평균율, 24평균율 등으로 나뉘는데, 이 중 12평균율이 가장 많이 쓰이는 표준이다.음높이를 미분음 단위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화음을 맞추기 쉬운 현악기와 성악은 상관없지만 음역대 안에 존재하는 모든 음들을 고정적으로 조율해야 하는 건반악기는 미세한 음고 조절이 불가능하므로 조화롭게 연주될 수 있는 조율법이 필요하다. 특히 피아노(업라이트 피아노, 그랜드 피아노)의 튜닝은 반드시 평균율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출처: 나무위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