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3차 부스터샷 꼭 맞아야 하는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의무는 아니고 선택입니다. 접종완료는 2차까지이며 방역패스 유효기간을 6개월로 설정함에 따라, 이후 3차를 맞지 않으면 백신패스 효력이 없어진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정부자료에 따르면 부스터샷을 맞아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1. 현재 각종 국내외 연구에서 기본접종 완료 약 4~5개월 전후로 백신의 감염예방 효과 감소가 관찰된 것을 보고되었습니다.(국내) 의료진 대상 결합항체, 중화항체 검사에서 4개월 이후 항체가 감소 관찰(Vaccines, ‘21) (미국, 독일 등 6개국) 화이자백신 기본접종 완료 후 2개월 효능 96.2% → 4~6개월 후 83.7%(medRxiv, ’21) 이스라엘의 연구에서는 추가접종 시 감염 예방효과가 11배, 위중증 예방효과가 20배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2. 기본접종 후 시간이지나면서 효과가 떨어지자, 추가접종, 즉 부스터샷을 맞아야 한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화이자백신 기본접종자 중 추가접종을 받은 경우 확진율 11.3배, 중증화율 19.5배 감소(NEJM, ’21),기본접종 5개월 후 추가접종으로 입원예방 93%, 중증감염예방 92%, 사망예방 81% 효능이 확인 되었습니다.(Lancet, ‘21)
Q. 6학년 여학생 코로나백신 접종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아래 자료를 잘 참고하셔서 선택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청소년 접종 부작용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우리나라보다 먼저 청소년 백신접종을 시행한 미국은 2021년 7월 중순까지 12~17세 연령에서 890만 건의 화이자 백신을 접종한 후에 9246건의 이상반응 신고가 있었습니다. 그중 주사 부위 통증이나 발열, 피로감 등 일반적인 이상반응이 90.7%를 차지했으며, 중대한 이상반응은 863건 신고돼 전체 접종 건수에 비해 계산했을 때 0.01%로 매우 드뭅니다.특히 심근염과 심낭염은 화이자 백신을 접종했을 때 100만 건 접종하면 2.5~34건 정도로 계산됐고, 추적된 사례들의 대부분은 회복이 됐고, 사망한 사례는 없었습니다.
Q. 개발된 치료약의 효과는 어느정도 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머크의 코로나 경구치료제인 몰누피나비르는 처음 중간임상 결과에서는 입원과 사망 위험 억제 48% 였습니.다. 중간 임상에서 위약을 복용한 그룹은 377명 중 53명, 14.1%가 중증화하거나 사망한 반면 몰누피라비르를 복용한 그룹은 385명 중 28명, 7.3%가 병원에 입원한 것으로 나타났었습니다. 중간결과에서는 몰누피라비르를 복용한 환자 중에는 사망자가 나오지 않았습니다.그러나 최종 임상 결과 몰누피라비르는 입원과 사망 위험을 30%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짜약(위약)을 받은 환자 699명 중 9.7%인 68명이 입원하거나 사망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몰누피라비르를 복용한 환자 706명 중 6.8%인 48명이 입원하거나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위약군에서는 9명이 사망했고, 몰누피라비르를 복용한 환자 중에서도 1명이 사망했습니다.치료약이 일상회복에 큰 도움이 될수 있는지는 출시 후 효과를 봐야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