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백신 접종후 여성에게만 나타나는부작용뭐예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여성에게만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으로는 백신 접종 후 여성들의 생리 주기, 양 변화 등입니다. 해당 사례가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보고되고 있습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관련 자체 조사에 나섰고, 생리불순 등에 대해 잠재적인 부작용이라고 확인했습니다.여성들에게 전체적으로 부작용이 많고, 항체생성량도 많다는 결과도 있습니다. 학계에 따르면 성 호르몬은 면역세포 표면에 결합해 백신의 인체 내 작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독감 백신의 경우 에스트로겐은 면역세포가 더 많은 항체를 생산하도록 영향을 미칩니다.
Q. 돌파감염자는 항체가 생성안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면역력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았거나 감소해서 돌파감염이 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우선 백신을 어떤 것을 접종했냐에 따라 돌파감염률이 다를 수 있습니다. 지난 17일 방대본이 20∼59살 국내 코로나19 백신 접종군 969명을 대상으로 한 ‘백신별 항체 형성 및 지속능(력) 분석 결과’를 보면 접종 완료 후 최대 중화항체가는 모더나가 2852로 가장 높았고, 뒤이어 AZ-화이자 교차접종(2368), 화이자(2119), AZ(392), 얀센 1차만 접종(263) 순이었습니다. 이 중화항체가만 비교해 보면 AZ는 모더나·화이자와 견줘 각각 13%, 18%에 그칩니다.또한 중화항체생성만으로 면역을 모두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반응은 크게 체액성과 세포성 면역으로 나뉩니다. 항체를 만드는 체액성 면역(중화항체가)도 중요하지만 감염된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거나 죽이는 역할을 하는 세포성 면역도 중요합니다. 노화나 몸상태에 따라 세포성면역도 어느정도 떨어질 수 있습니다. 출처:https://www.hani.co.kr/arti/society/health/1020253.html#csidx3289e131479496daf99e1d62bcaa76b
Q. 백신 1차 접종 후 간격은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가능한 빠른시일내에 접종하시면 되고, 접종 시 2차 접종으로 인정되십니다.보통 화이자의 경우 권장접종간격은 3주~6주(모더나는 4~6주) 이지만 6주가 지났다고 효과가 없는 것은 아닙니다. 가능하면 시간이 지났더라도 빨리 2차 잔여백신 접종을 신청해서 접종하는게 바람직해보입니다.WHO에 따르면 몇몇 나라에서는 화이자 백신 1, 2차 접종 간격을 12주로 정했는데, 이들 나라의 백신 도입 후 효과 연구 결과 화이자 백신을 1차 접종할 경우 코로나19 기본 바이러스와 알파형 변이 바이러스에 대해 10주까지 효과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습니다.독일은 화이자와 모더나 모두 6주, 영국은 8주, 캐나다는 최대 16주까지 접종 간격을 두고 있습니다.
Q. 잠복기가 어떻게 될까요?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코로나 바이러스 잠복기는 1-14일로 평균 5-7일정도 됩니다.임상 증상은 무증상, 경증, 중등증, 중증까지 다양하고 주요 증상으로는 발열(37.5℃ 이상), 기침, 호흡곤란, 오한, 근육통, 두통, 인후통, 후각·미각소실 등이 대표적입니다. 그 외에 피로, 식욕감소, 가래, 소화기증상(오심, 구토, 설사 등), 혼돈, 어지러움, 콧물이나 코막힘, 객혈, 흉통, 결막염, 피부 증상 등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출처: http://ncov.mohw.go.kr/baroView.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