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

돌파감염자는 항체가 생성안된건가요??

똑같이 부스터샷까지 맞았는데 A는 돌파감염된 사람이 있고

B는 안된 사람이 있다면 감염된 사람은 항체 생성이 덜 되거나

면역력이 떨어져서 그런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침착한태양새164
      침착한태양새164

      안녕하세요. 변종석 약사입니다.

      돌파감염자가 항체 생성이 안 됐다기 보다는

      (그럴 가능성도 있겠지만) 변이 바이러스에

      취약하게 대응한 것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면역력이 떨어져서 저항을 못한 것일수도 있구요

      답변이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영기 의사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경우 변이가 다양하고 빠르게 확산되기 때문에

      부스터샷을 맞고도 새로운 변이에 의해 돌파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정 사람의 면역력이 떨어졌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승 약사입니다.

      질문자님께서는 돌파감염자는 항체가 형성되지 않은 것인지 궁금하시군요.

      항체 자체는 생긴 것이지만, 항체는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농도가 줄어들기 때문에 돌파감염 위험이 높아진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돌파감염의 경우 항체 형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발생할수도 있지만, 변이 바이러스로 인해 돌파감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돌파감염자는 항체가 생성되지 않아서 돌파감염이 되었을 수도 있지만 항체가 원활하게 생성이 되었더라도 바이러스가 몸에 심하게 퍼지며 돌파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돌파감염자가 모두 항체가 생성되지 않은 사람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

      면역력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았거나 감소해서 돌파감염이 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우선 백신을 어떤 것을 접종했냐에 따라 돌파감염률이 다를 수 있습니다. 지난 17일 방대본이 20∼59살 국내 코로나19 백신 접종군 969명을 대상으로 한 ‘백신별 항체 형성 및 지속능(력) 분석 결과’를 보면 접종 완료 후 최대 중화항체가는 모더나가 2852로 가장 높았고, 뒤이어 AZ-화이자 교차접종(2368), 화이자(2119), AZ(392), 얀센 1차만 접종(263) 순이었습니다. 이 중화항체가만 비교해 보면 AZ는 모더나·화이자와 견줘 각각 13%, 18%에 그칩니다.

      또한 중화항체생성만으로 면역을 모두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반응은 크게 체액성과 세포성 면역으로 나뉩니다. 항체를 만드는 체액성 면역(중화항체가)도 중요하지만 감염된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거나 죽이는 역할을 하는 세포성 면역도 중요합니다. 노화나 몸상태에 따라 세포성면역도 어느정도 떨어질 수 있습니다.


      출처:
      https://www.hani.co.kr/arti/society/health/1020253.html#csidx3289e131479496daf99e1d62bcaa76b 

    • 안녕하세요. 최성모 약사입니다.

      돌파감염되었다고 해서 항체가 형성되지 않았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물론 항체수치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수도 있지만 돌파감염은 확률적인 문제이기에 다양한 원인이 있고 하나하나 그를 파악하기는 힘듭니다.

    •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돌파감염자도 항체가 생성된 것이기는 합니다.

      다만 시간이 지나면서 항체량이 감소하면서

      코로나에 감염이 됐다 보면 되고,

      추가적으로 부스터샷을 맞아주는 것이 항체량을 추가로 늘릴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동주 한의사입니다.

      돌파감염자는

      항체가 형성이 되어도

      돌파감염을 막을정도로

      충분한 항체형성이 되지 않은 것입니다.

      2차 백신까지 맞아도

      1% 정도는 항체형성이 되지 않는것으로 보고 잇습니다.

      너무 궁금하시다면

      병원에서 항체검사 받아보는 방법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개인 면역 체계마다 백신 접종후 항체 생성유무 및 생성정도가 다르며 항체가 있다하더라도 백신이 유효한 기간은 차이가 있기에 항체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나 체내 면역력이 저하된 경우 백신 접종을 하였어도 감염의 우려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성진 의사입니다.백신접종으로 100% 면역 형성이 되지 않기 때문에 예방접종 뒤에 면역이 형성되지 않거나 면역이 형성되기 전에 감염되거나 또는 시간이 흘러 형성된 면역의 효과가 떨어지면 코로나19에 감염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돌파감염의 경우 백신을 접종하고 나서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돌파감염되는 원인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대표적으로 항체가 충분히 생성되지 않았거나, 변이바이러스에 감염되는경우, 몸에 항체는 존재해도 감염 당시 면역력이 매우 떨어진 경우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항체가 안생겼을수도 있고 항체농도가 낮아졌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변이바이러스에 대한 대응이 되지 않아 감염이 되었을 수도 있습니다.

      마스크 착용과 함께 개인 방역수칙을 잘지키시고 위생관리에 신경써 건강관리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백신 접종을 받은 후 바이러스에 대한 보호 효과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며 델타 변이에 대한 보호 효과가 낮아질수 있습니다. 65세 이상 성인의 경우 백신 접종이 여전히 중증 질환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지만 감염 또는 유증상 경증 질환을 예방하는 데는 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효과 감소는 백신 접종 후 시간 경과에 따라 보호 효과가 감소하는 요인(예: 면역 저하)과 델타 변이의 더 큰 전염성이 결합되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부스터샷은 감소한 보호 효과를 강화하는 역할을 하겠습니다. 항체가 형성되더라도 낮은 확률로 돌파감염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코로나19 예방백신을 접종한다고해서 모든 사람에게서 항체가 생성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대략 80%의 사람들에서 항체가 형성되고 항체가 부족한 사람들에게서 돌파감염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명중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그렇습니다.

      개인의 항체 생성 정도에 따라 다를 수도 있고, 전파 경로에 따라 변이바이러스가 우세한 곳이라면 항체형성이 잘 되었어도 돌파감염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지속적인 마스크 착용이 강조되는 이유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윤 의사입니다.

      감염된 사람은 항체 생성이 덜 되거나 하였을 수도 있고, 우연일 수도 있습니다.

      해당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알기 어렵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강성주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백신의 경우 델타변이 등의 돌연변이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예방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백신접종후에도 정상적으로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이 될수는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승우 약사입니다.

      코로나 백신을 접종하시면 특별히 문제가 있지 않는 이상 모두 항체가 생기신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현재 코로나 바이러스 변이도 계속 나타날 뿐더러

      항체가 이겨낼 수 없을만큼 바이러스가 침투하게 되면 돌파감염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닥터최입니다.

      돌파감염이 되는 이유는 언급하신 것처럼 개인마다 항체가가 다르고 세포면역반응이 일어난 정도에 따라 개인마다 결과가 상이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부스터 접종을 통해 항체가를 다시 높이고 면역반응을 증폭시키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성 약사입니다.

      코로나 백신을 접종해도 코로나에 감염될수 있습니다.

      백신으로 생긴 항체로 바이러스에 저항하는 것이지만

      변형된 바이러스의 경우에는 백신으로 생성된 항체가 효과가 없을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백신이 100%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코로나에 감염된후 바이러스가 잘 통제가 안된다면 감염력이 생길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델타바이러스 등 돌파력이 강한 바이러스가 출현하면서 접종완료자에서도 감염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항체수준이 낮다면 방어능력이 떨어지는 것이므로 말씀하신게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