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초등학생 아들 백신 부작용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흔한 부작용으로는 접종부위 통증, 피로감, 두통, 근육통, 오한, 발열, 메스꺼움이 있습니다.아주 드물게 화이자, 모더나 백신 접종 후 12~17세 어린이에게 심근염(심장 바깥을 둘러싼 근육에 염증)이 발생했다는 보고가 있었습니다. 화이자의 경우 2차 접종 후 1주일 내에 심근염이 발생한 위험은 12~17세 남성의 100만 회 접종당 약 54건이라고 이라고 합니다.출처: CDC
Q. 백신 중 혈전증 생기는 백신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코로나19 백신 중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얀센 백신을 맞으면 10만 명 당 한 명(50세 이하에선 5만 명 당 한 명) 꼴로 혈전이 생기면서 혈소판이 급감하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혈소판은 혈액을 응고시켜 혈전을 만드는 역할을 하는데, 혈전이 너무 많이 생기면 혈액 내 혈소판이 줄어드는 증세가 동반됩니다. 특히 뇌정맥이나 내장정맥처럼 평소엔 혈전이 생기지 않는 부위에 혈전이 생기기 때문에 두통과 복통, 호흡곤란, 팔다리부기 같은 증세가 동반됩니다. 이처럼 혈전은 중요 기관의 혈관을 막을 수 있어 치명적 결과를 가져올 수 있어서 위험한 부작용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다행히 코로나19예방접종추진단에서 11월 17일 브리핑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활용 접종은 백신 수급계획을 고려해 점진적으로 종료한다. 1차 접종은 11월 말까지, 2차 접종은 12월 말까지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이번 결정에 따라 AZ 백신을 활용한 2차 접종은 12월 31일까지만 가능하고 내년 1월 1일 이후부터는 AZ 백신으로 2차 접종이 예약된 대상자라도 연령에 관계없이 화이자 백신으로 교차 접종을 하게 됩니다.
Q. 50세이상 부스터샷 꼭 맞아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재까지의 결과를 보면 모든 백신이 2차까지 접종을 마치더라도 대략 6개월정도 지나면 항체생성률이 떨어져서 부스터샷이 필요합니다. 예방효과를 높이고 감염되더라도 중증으로의 줄이는 차원에서 3차 부스터샷이 필요합니다.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CDC) 에 따르면 부스터샷 부작용에 대해 부작용의 빈도와 유형은 2차 접종 후 나타나는 것과 비슷했으며, 대부분 경미하거나 오래가지 않았다”고 합니다. CDC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화이자 부스터샷 접종자 중 71%가 접종 부위 통증을 호소했으며, 피로감을 호소한 숫자는 전체의 56%, 두통은 43%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참가자의 약 2%가 접종 후 병원 진료를 요청했으며 그중 13명(0.1%)이 실제로 병원에 입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