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백신접종 후 복용약이 항체생성에 영향줄수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현재까지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 기존에 복용하는 약과 백신과의 상호작용이 명확히 밝혀진 것은 없습니다.다만 스테로이드제와 같이 면역반응을 억제하는 약물을 복용중인 경우에는, 주치의 선생님과 상담 후 약을 조절하시고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좋습니다. 통상적으로 스테로이드제의 경우 백신 접종 전후로 일주일 간은 복용을 권장하지는 않습니다. 통풍약 중 급성 통풍 발작에 쓰이는 콜킨정도 백신 접종 시 복용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콜킨정에 들어있는 콜키신 성분이 면역 세포들의 정상적인 세포 분열을 방해해 관절의 통증을 줄이는 역할을 하는데, 이 과정 속에서 백신 접종 후 항체 생성 과정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Q. 코로나감염시 사망률 가장높은 기저질환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보라매병원-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공동연구팀 연구에 의하면 합병증인 고혈압과 당뇨병은 기저질환이 없는 코로나19 환자보다 사망위험이 각각 1.5배, 1.8배가량 높았으며, 심부전증과 각종 암, 만성콩팥병 등의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사망위험이 크게 상승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특히, 바이러스와 세균 감염에 매우 취약한 말기신장질환(end stage renal disease)을 가진 코로나19 환자는 사망위험이 무려 5배 이상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나 여러 기저질환 중에서도 신장과 관련한 기저질환이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에 가장 큰 영향을 가진 것으로 나왔습니다.
Q. 확진자 백신 접종 시기는 언제쯤?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1. 확진 이후, 특별히 권고되는 접종 기간은 없습니다. 다만 격리는 해제된 상태여야 하며, 몸 상태가 좀 회복이 된 상태에 맞으시면 되겠습니다. 또한 다"면서 "한 가지 고려해야 하는 것은 치료 기간에 항체치료제나 혈장치료제와 같은 코로나19의 특이항체에 대한 치료제를 사용한 경우, 이 경우에는 백신접종까지 90일의 간격을 두어야 합니다.2. 확진자도 백신접종을 하면 항체가 생깁니다. 감염이 되면 항체가 생기긴하지만, 백신을 통해서 유도되는 면역반응과 자연감염을 통해서 유도되는 면역반응을 생각해 본다면, 백신을 통해서 유도되는 면역반응이 더 강하게 나타난다고 합니다.실제로 CDC가 7월 30일 보고한 '질병 사망 주간 보고서(MMWR)'에 따르면 백신접종력이 없는 경우, 약 2배 정도 재감염의 위험이 높았던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이 떄문에 과거에 코로나19에 걸렸던 분이라고 해도 백신접종을 동일하게 권고하고 있습니다출처 : 의협신문(http://www.doctors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