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코로나 백신종류가 여러개인데 자세히알고싶어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코로나 백신은 아래와 같이 나눠볼 수 있고, 효능효과는 당연히 코로나 감염의 예방 및 중증으로의 진행을 막기 위함입니다.현재 화이자, 모더나, 아스트라제네카는 2회, 얀센을 1회 접종 후 기준에 따라 부스터샷을 맞도록 하고 있습니다.1. 화이자·모더나 : mRNA백신RNA 백신은 항원 유전자를 mRNA 형태로 주입해 체내에서 항원 단백질을 생성해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백신입니다. mRNA란 유전자 정보를 매개, 유전자 발현 조절 등의 역할을 하는 세포의 핵 속에 있는, DNA와 함께 두 종류의 핵산 중 하나입니다.mRNA 백신은 제조 기간이 짧아 신속하게 단기간 내에 대량생산이 가능하나, RNA 분해효소(RNase)에 쉽게 주성분인 RNA가 분해되어 안정성이 좋지않습니다. 그래서 냉동(-20℃ 또는 –75℃)의 콜드체인이 필요합니다2. 아스트라제네카 : 바이러스벡터 백신바이러스벡터 백신은 항원 유전자를 인체에 무해한 아데노바이러스 등 다른 바이러스에 주입해 체내에서 항원 단백질을 생성함으로써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백신입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침팬지에게만 감염되는 아데노바이러스를 전달체로 사용했습니다.바이러스벡터 백신은 RNA 백신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에 안정적인 특징이 있으나, 살아있는 아데노바이러스를 사용하므로 생백신(4℃)에 준하는 보관이 필요합니다.3. 노바백스 : 재조합 백신재조합 백신은 유전자재조합 기술을 이용해 만든 항원 단백질을 직접 주입해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백신 중 하나입니다. 재조합 항원 단백질만으로는 면역반응이 낮을 수 있어 일반적으로 면역증강제가 함께 필요합니다. 재조합 백신은 다른 RNA나 바이러스벡터 백신에 비해 오랜 기간 사용한 안전성이 높은 백신입니다.4. 중국 시노팜 : 불활화 백신불활화 백신은 바이러스를 사멸시켜 항원으로 체내에 주입해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전통적인 백신입니다. 불활화 백신은 감염 바이러스 확보 시 신속 개발이 가능하고 제조방법이 단순하며, 중화항체 유도가 우수한 특징이 있으나,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경우에는 BL3급의 고등급의 안전수준 생산시설이 필요합니다.
Q. 85세 어머님이 부스터샷을 맞으신다고 하는데 걱정이되네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부스터샷은 선택사항이므로 본인의 판단으로 접종하시면 되지만, 가급적 접종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현재까지의 결과를 보면 모든 백신이 2차까지 접종을 마치더라도 대략 6개월정도 지나면 항체생성률이 떨어져서 부스터샷이 필요합니다. 예방효과를 높이고 감염되더라도 중증으로의 줄이는 차원에서 3차 부스터샷이 필요합니다.특히 얀센접종자의 경우 예방효과가 많이 떨어지기 때문에 접종 후 2달이 넘은 분들에게 부스터샷 사전예약 접종 대상에 포함되어 있습니다.참고로 질병청에 따르면 접종자 10만 명당 돌파감염 발생은 60대 119.9명, 70대 123.9명 그리고 80대 143.9명으로 고령자가 40대 이상 성인의 두 배에 달하고 있다도 합니다. 30대(134.3명)에서 돌파감염이 제일 높은 것은 접종 백신의 종류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군인들이 많이 접종받은 얀센 백신은 266.5명(10만 접종자 중),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99.1명, 화이자 백신 48.2명, 모더나 백신 4.6명으로 돌파감염이 생겼다고 합니다.
Q. 단순 감기증상 코로나 검사 의무적으로 받아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만약 코로나 확진자인데 접촉한 사람들이 많을수록 더욱 큰 피해를 보게 됩니다. 따라서 의무적으로 검사해야 되는 것은 아니지만, 증상시 가급적 검사를 받을 것을 권유드립니다.참고로 코로나19의 가장 흔한 증상은 발열, 마른 기침, 피로이며 그 외에 후각 및 미각 소실, 근육통, 인후통, 콧물, 코막힘, 두통, 결막염, 설사, 피부 증상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이러한 증상은 보통 경미하고 점진적으로 나타납니다. 어떤 사람들은 감염되어도 매우 약한 증상만 나타날 수 있습니다.
Q. 임산부 백신 접종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코로나 백신과 관련하여 임산부의 임상데이터 3가지를 대략 소개해드립니다.결론적으로는 임신부가 백신접종을 받아도 크게 위험하지 않다입니다.1) 美CDC "임신 중 mRNA 코로나19 백신 접종해도 자연유산 위험 안커져"6월 CDC는 연구팀은 2020년 12월 14일부터 2021년 2월 28일까지 백신 접종 후 건강 설문조사 시스템인 v-safe와 v-safe 임신부 레지스트리, 백신 이상 사례 보고 시스템(VAERS)에 등록된 데이터를 사용해 초기 임신부에서의 안전성을 확인했습니다.연구 결과 v-safe에 응답한 16~54세 사이 접종자 중 총 3만 5691명이 임신한 것으로 확인했습니다. 주사 부위 통증은 임신하지 않은 여성보다 임신한 여성에서 더 자주 보고된 반면, 두통, 근육통, 오한, 발열은 덜 자주 보고됐습니다.v-safe 임신부 레지스트리에 등록된 참가자 3958명 중 827명이 만기 임신이었고, 그 중 115명(13.9%)은 유산, 712명(86.1%)은 정상 출산(대부분 임신 후기 예방접종을 받은 참가자)했습니다. 부정적인 신생아 결과에는 조산(9.4%)과 임신기간 대비 작은 체구(3.2%)가 포함됐습니다. 신생아 사망은 보고되지 않았습니다.부정적인 임신 및 신생아 결과 비율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에 수행된 임신부 대상 연구에서 보고된 발생률과 유사했습니다. VERS에 보고된 임신 관련 이상반응 221건 중 가장 빈번하게 보고된 사례는 자연유산(46건)이었습니다.이어 8월 CDC는 v-safe 레지스트리 데이터 분석 결과를 추가로 발표했습니다. 두 번째 연구에서 임신 20주 이전 mRNA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한 임신부 약 2500명 중 임신 619주 동안 자연유산(SAB) 누적 위험은 약 13%로, 일반 인구의 예상 유산률(1116%)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연구팀은 "mRNA 코로나19 백신이 임신에 위험을 줄 수 있다고 예상할 수 있는 강력한 생물학적 매커니즘은 없지만 임신 전 기간과 임신 중 예방 접종에 대한 데이터는 제한적이었다"면서 "현재까지 데이터는 임신 전 기간 또는 임신 중 mRNA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자연유산 위험이 증가시킴을 시사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CDC는 "임신 중 코로나19 예방접종의 안전성과 효과에 대한 근거는 제한적이지만 증가하고 있으며, 이 데이터들은 코로나19 백신 접종의 이득이 임신 중 예방접종의 알려진 또는 잠재적인 위험보다 더 크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밝혔다.2) 美워싱턴대 연구팀 "임신·수유 중이거나 임신 계획 중인 개인에게 내약성 뛰어나"미국 워싱턴대학교(University of Washington) 연구팀은 미국에 거주하며 코로나19 백신 접종 당시 임신 중이거나 수유 중이거나 임신을 계획하고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한 온라인 전향적 코호트 연구 결과를 8월 JAMA Netw Open에 발표했습니다.2021년 3월 기준 임신 상태를 알고 있고 최소 1회 분량의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한 1만 7525명이 연구에 등록됐습니다. 이 중 7809명(44.6%)이 임신 중이었고, 6815명(38.7%)은 수유 중, 2901명(16.5%)은 임신 또는 수유 중은 아니나 가까운 장래에 임신을 계획 중이었습니다. 참가자들은 대부분 화이자 또는 모더나의 mRNA 백신을 접종받았으며, 85.9%가 2차 접종까지 마쳤습니다.참가자의 97.0%가 1차 접종 후 반응을 보고했고, 가장 흔한 반응은 주사 부위 통증(91.4%)과 피로(31.3%)였습니다. 2차 접종 후 반응 빈도는 1차보다 높았지만(피로 69.2%) 증상의 분포는 유사했습니다. 주사 부위 통증을 제외하고 발열 등 반응률은 임신한 개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습니다.임신한 참가자 중 1차 접종 후 7809명 중 346명(4.4%), 2차 접종 후 6444명 중 484명(7.5%)가 산과적 증상이 보고됐습니다. 데이터 분석 시점 2차 접종을 마친 임신부 6444명 중 94.8%가 아직 임신 중이었고 4.3%는 출산을 햇으며, 0.7%가 2차 접종 당시 유산을 보고했습니다.수유 중인 개인 중 백신 접종 후 모유 수유를 중단한 비율은 1차 접종 후 2.3%, 2차 접종 후 2.2%였고 24시간 미만 동안 339명에서 모유 공급 감소가 보고됐습니다.이에 워싱턴대 연구팀은 "이 대규모 전향적 코호트 연구는 코로나19 백신이 임신 중이거나 수유 중이거나 임신을 계획 중인 개인에게 내약성이 좋은 것을 나타낸다"고 결론내렸습니다.3)英산부인과학회 "유산·조산·사산·선천적기형 위험 증가 안한다"영국왕립산부인과학회(RCOG)는 "임신 중 코로나19 예방접종은 산모의 집중 치료 및 조산을 포함해 산모와 아기 모두에게 알려진 임신 중 코로나19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고 밝혔습니다. 미국의 리얼월드 데이터에서 안전성 문제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영국에서도 6만명 이상이 심각한 부작용 없이 백신을 접종했다는 것입니다.RCOG는 "코로나19 백신에는 임산부나 발달 중인 아기에게 유해한 것으로 알려진 성분이 포함돼 있지 않다"면서 "임신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동물을 대상으로 한 백신 연구에서 백신이 임신이나 생식 능력에 해를 끼친다는 근거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했습니다.RCOG는 코로나19 백신이 새로운 백신이기 때문에 임신 중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한 여성이 낳은 아기에 대한 장기적인 영향에 대한 연구는 아직 없지만 코로나19 백신은 '생백신(살아있는 바이러스를 기반으로 한 백신)'이 아니기 때문에 감염을 일으킬 수 없고, 생백신이 아닌 백신(독감, 백일해 등) 안전 문제 없이 수년간 임신 중인 여성에게 사용돼 왔다고 설명했습니다.mRNA 백신이 일단 주입되면 빠르게 분해돼 백신 접종 후 며칠 이내 백신 mRNA는 남지 않는다는 점도 지적했습니다.또한 RCOG는 "4개국에서 4만명 이상의 임산부를 대상으로 한 연구 6건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백신을 접종해도 유산, 조산, 사산의 위험이 증가하지 않으며, 재태 연령이 적은 아기 또는 선천적 기형의 위험도 증가하지 않았다"고 했습니다.이 중 하나로 8월 미국산부인과학회지(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에 게재된 영국 세인트조지런던대학교(St George’s, University of London)의 연구가 있습니다. 이 연구는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한 여성과 그렇지 않은 여성의 임신 결과를 비교한 것입니다.연구 결과 사산이나 조산이 증가하지 않았고, 발달에 이상이 없었으며, 아기가 더 작거나 크다는 근거가 없는 등 두 그룹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출처: 메디게이트 뉴스
Q. 얀센접종자인데 이번주 모더나로 부스터샷 예약이 되어있는데요... 혹시 다시 얀센으로 맞는 게 더 나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부스터샷은 현재 mRNA 백신인 모더나와 화이자로만 선택가능합니다.미국, 유럽 등에서 대부분 mRNA 백신 부스터샷을 권고하고 있는 데다, 연구에서도 얀센 백신 접종 후 mRNA 백신을 추가 접종할 경우 중화항체 수치가 크게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입니다. 다만 정부에서 교차 접종을 우려·기피하는 접종자들과 최근 연구동향 등을 고려해 얀센 백신 추가 접종 또한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져있는데 아직은 확정계획을 발표하지 않은 상태입니다.심근염, 아나필락시스와 같은 심각한 부작용의 경우 매우 드문 확률로, 나타납니다. 그렇지만 이득과 손실을 따져보면 가능하시면 부스터 접종을 하시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