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혈전검사을 받아 봐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현재 화이자처럼 mRNA 백신의 드물지만 주의해야할 부작용으로 심근염과 심낭염이 있습니다.심근염은 심장 근육에 염증이 생기는 것이고, 심낭염은 심장 외벽에 염증이 생기는 것입니다.공통적인 증상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가슴 통증호흡곤란심장 빈박, 두근거림, 심박수 증가접종 후 가슴통증, 답답한 증상 호소하시는분들이 어느정도 있지만, 대부분 증상이 호전된다고 하십니다.증상이 호전되지 않고 계속 지속되신다면, 병원에 가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Q. 코로나 19 백신 2차접종 후부스터샷은 언제맞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현재까지 부스터샷은 1번 맞는걸로 계획되어 있습니다.1. 현재 국내에선 기본접종 완료 후 6개월 이상 지난 60대 이상 고령층 및 고위험군, 코로나19 환자 치료병원 종사자 등 우선접종 직업군, 50대 연령층 등을 대상으로 추가 접종(부스터샷)을 진행 중입니다.2. 단, 요양병원·시설 등 감염 취약시설 입소·종사자와 60대 이상 고령층, 대학병원·종합병원 등 의료기관 종사자는 5개월, 얀센 백신 접종자와 면역 저하자 등은 2개월로 접종 간격을 줄였습니다.3. 현재 확진자 증가로 인해 모든 추가 접종 대상자의 접종 간격을 6개월에서 5개월로 단축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오고 있습니다. 추가 접종 지침에 따르면 집단감염이 우려되는 집단은 추가 접종 간격을 6개월에서 4주 앞당길 수 있다고 합니다.
Q. 특정단백질 알레르기 있을시 코로나 예방주사 접종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두유알러지가 있더라도 코로나 백신을 못맞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다른 사람들보다 접종 후 주의깊은 관찰이 필요합니다.다음과 코로나 예방백신의 구성물질에 중증알러지 반응이 있었으면 접종할 수 없습니다.1. 화이자, 모더나: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약물, 대장 내시경용 장 준비제품(장 세척제), 기침 시럽, 화장품, 피부 및 수술 중 사용되는 의료 제품, 치약, 렌즈 및 콘택트렌즈 솔루션 등의 제품에서 발견됩니다.2.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식품의 유화제, 비누 및 화장품(점안액 포함)의 계면활성제 또는 구강세척제의 가용화제, 의약품 등에 포함 되어 있습니다.3. 모더나: 트리스(히드록시메틸) 아미노메탄-완충액 시약의 일종으로 일부 조영제(MRI) 및 항암제, 혈액응고인자 VII 주사제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