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김찬우 전문가
KATRI시험연구원/국립현대미술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화학
2025년 4월 11일 작성 됨
Q.
배터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방법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현재로써는 핸드폰의 경우는 배터리를 교체하는 방법 말고는 화학적인 방법은 없습니다. 물론 관련 기술이 연구중이긴 합니다. 노화가 되고 반응성이 떨어진 전해질을 교체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건 배터리를 교체하는 것과 비슷한 원리 입니다. 실제로 2차 전지라고 해도 무한히 충전해서 쓸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배터리의 용량에 따라 최대 충전횟수가 정해져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재료공학
2025년 4월 11일 작성 됨
Q.
최초의 합성 플라스틱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플라스틱은 우리 인류에게 편리를 제공해주었지만 지금은 미세플라스틱으로 돌아와 다시 인류를 위협하고 있는 존재 입니다.최초의 플라스틱은 1907년에 베이클랜드가 만들 케이클라이트 입니다. 페놀과 포름알데히드를 반응시켜서 만든 페놀수지 였는데 베이클랜드가 자신의 이름을 붙여서 만든것이 최초의 플라스틱 이었습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재료공학
2025년 4월 11일 작성 됨
Q.
인류가 최초로 가공하여 사용한 금속물질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구리 입니다. 구리를 먼저 사용했던 이유는 녹는점이 1000도 정도로 다른 금속들 보다 낮고 광물에서 쉽게 채취할 수 있다보니 먼저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강도도 그렇게 강하지 않아 약한 도구나 장신구로 먼저 사용하게 되었습니다.구석기시대인 기원전 1억년 전 부터 사용했습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재료공학
2025년 4월 11일 작성 됨
Q.
다이캐스팅 주조법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다이캐스팅은 재사용가능한 금형을 사용하여 부품을 만드는 공정입니다. 하지만 장점과 단점이 존재합니다.장점은 금형으로 찍어내기 때문에 기존의 모래를 사용하는 공정보다 정밀도가 높습니다. 또한 기존 방식보다 생산성이 아주 높으며 높은 내구도의 제품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단점은 소수의 제품을 찍어내기 위해서 금형을 만들게 되면 오히려 손해가 발생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금형의 크기가 제한이 있어 사이즈가 크면 제작이 불가능 합니다. 그리고 설계가 변경될 경우 적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2025년 4월 11일 작성 됨
Q.
리트머스 종이는 어떤 원리로 색이 변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리트머스종이는 초등학교때나 중학교때 산과 염기에 대해서 배울때 사용하는 도구 입니다.리트머스 종이는 지중해 연안에 서식하는 이끼류에서 채취한 색소로 만든 종이 입니다. 이러한 이끼류가 산이나 염기에 민감하기에 산성에서는 푸른색이 붉은색으로 변하고 염기성에서는 붉은색에서 푸른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환경·에너지
2025년 4월 11일 작성 됨
Q.
에코백 사용에 환경 보호를 한다면 몇번 들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에코백은 이름 그대로 환경가방 입니다. 1회용품인 비닐이나 종이를 대신하여 에코백을 사용하여 1회용품 사용을 줄이기 위해 기획된 제품 입니다.100번 이상을 너머 닳아 없어질 때까지 들고 다니시는게 좋습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재료공학
2025년 4월 11일 작성 됨
Q.
금속과 비금속이 있던데 비금속이라는것은 어떤것을 말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금속과 비금속은 주기율표를 기준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물성의 경우 금속의 경우는 알고계신데로 고체의 금속 덩어리가 일반적이고 전기 전도도가 높습니다. 비금속은 고체, 액체, 기체 세가지 형태를 전부 가지며 전기 전도도가 낮습니다. 화학적 성질의 경우 금속은 전자를 잃고 양이온이 되기 쉬우며 비금속은 전자를 얻어 음이온이 되기 쉬운 성질을 가집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2025년 4월 10일 작성 됨
Q.
보통 FCAW 용접에서 암페어가 높으면 전압도 같이 높아지나요? 비례관계인지? 반비례 관계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용접을 전문으로 하시는 분 같습니다. FCAW 용접은 아크용접으로 가스를 쓰는 것도 있고 쓰지 않는 형태도 있습니다. 다른 용접들보다 속도가 빨라서 현장에서 많이 사용합니다.전압은 고정형식인데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서 암페어를 높혀도 전압은 어느정도 오르겠으나 해당 FCAW 용접 자체가 일정한 전압에서 만들어지는 용접이기에 전압은 허용범위 내에서만 상승합니다. 그래서 전류 역시도 일정양 이상 올라가지 않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2025년 4월 10일 작성 됨
Q.
산과 염기를 정의하는 아레니우스, 브뢴스테드-로우리, 루이스 이론은 각각 어떻게 다르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아레니우스 이론이 가장 오래되었습니다. 19세기 말 아레니우스에 의해 만들어진 개념으로 산염기 반응에 대해 정의하고 있습니다. 산은 수소이온을 내어놓는 물질이고 염기는 수산화 이온을 내어 놓는 물질 이라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염기중에서 수소이온이 없는 염기는 설명이 불가했습니다.브뢴스테드 로우리 이론은 조금 더 발전하여 산을 수소이온을 내어놓는 물질이고 염기는 수소이온을 받아들이는 물질로 현재에도 유지되는 이론을 만들어 내었습니다.루이스 이론은 거기서 더 발전하여 산의 경우 전자쌍을 받는 물질이고 염기는 전자쌍을 내놓는 물질이라고 정의하여 산과 염기의 개념을 정확하게 확립하였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2025년 4월 10일 작성 됨
Q.
캔 열면 나오는 기체는 어떤 기체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이산화탄소 입니다이러한 이산화탄소를 녹인 액체류를 통틀어서 탄산음료 라고 합니다. 캔을 닫은 상태에서는 높은 압력을 유지하고 있다가 캔을 땄을 때 압력이 낮아지면서 액체에 녹아있는 이산화탄소가 캔 바깥으로 나가게 되는데 이때 소리와 함께 기포가 발생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101
102
103
104
10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