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김찬우 전문가
KATRI시험연구원/국립현대미술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화학
2025년 4월 3일 작성 됨
Q.
원자에서는 열이 발생을 하나요, 하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아닙니다. 안전한 원자 상태에서는 에너지를 발생하지 않습니다. 알고 계신데로 핵분열이나 방사성 붕괴 같은 입자 자체가 파괴되지 않고서는 원자는 안정한 상태라 열을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2025년 4월 3일 작성 됨
Q.
다빈치의 "모나리자"가 유명해진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모나리자가 유명해진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하나는 작가가 레오나르도 다빈치 라는 천재가 그렸다는 것이고 작품에 그려진 여인의 미소가 신비로웠기 때문입니다. 그것이 신비롭게 보이게 하기 위해서 당시에는 윤곽선을 뚜렸하게 그렸고 색을 선명하게 칠하는 것이 주류 였는데 다빈치는 미소 주위로 윤곽선을 흐릿하게 하고 배경색에 차이를 두어 미소를 모호하게 보이게 표현한것이 작품에 신비성을 더하였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기법을 스푸마토 기법 이라 합니다.두번째는 1911년 모나리자가 도난 당했었는데 이것을 찾고자 전세계적으로 도난에 대한 뉴스가 알려지면서 더욱 유명해지게 되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2025년 4월 3일 작성 됨
Q.
현대 미술의 예술 사조는 무엇이라고 정의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동시대에 유행하는 미술을 동시대 현대미술이라고 합니다. contemporary art 라고 부르는데 사실 아직까지 현대미술이란 미술 구분의 연장선이기 때문입니다.미술의 정의는 시대에 따라 변화합니다. 작품이 먼저 가고 정의는 그것을 따라가는 형태입니다. 기술과 사람의 인식변화로 미술은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과거와 달리 미술인들은 서로 양식을 공유하지 않습니다. 과거의 미술은 아카데미를 중심으로 그들만의 흐름이란 것, 양식이란 것이 있었으나 동시대에 있어 모든건 개별화 되었고 파편화 되어 창작가 모두가 하나의 흐름을 가지고 있다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 입니다.파편화된 개인이 만들어내고 있는 동시대현대미술을 정의 하는 하나의 미술양식은 없고 앞으로도 없을 것 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2025년 4월 3일 작성 됨
Q.
미술사에서 인상파는 어떤 화풍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르누아르 전시를 보셨다구요? 더현대에서 하는 전시를 보신것 같습니다. 아마 원화는 안온걸로 알고 있습니다.인상파 라는 의미의 시작은 사실 평론가의 비아냥에서 시작된 용어 입니다. 최초로 인상파 작품을 그린 모네의 '해돋이' 작품을 보고 평론가가 이건 완성되 그림도 아니고 그냥 장면의 인상을 그린거다 라고 혹평을 했는데 이것이 인상파 의 시작이었습니다.사실 모네가 이러한 인상을 그리게 된것은 과학의 발달과 관련이 있습니다. 19세기 중반에 카메라가 발견되었는데 당시 화가들의 주요 생계수단이 초상화와 풍경화 였습니다. 하지만 카메라가 동일하게 재현하는 것은 더 잘하였기에 화가들은 다른 것을 표현해야 하였습니다. 그러던 와중에 이젤와 튜브물감이 개발되면서 작가들은 드디어 풍경화를 야외에서 그릴 수 있게 됩니다(그전에는 풍경을 보고 채색은 실내에서 했습니다)그런 기술의 발달로 모네는 야외에서 빛에 따라 물체의 색이 변화하는 것을 눈으로 보고 해돋이를 그리게 됩니다. 이러한 인상파 그림은 그림은 배경이 불분명하고 가까이에서 보면 물감덩어리가 뭉쳐있는 것 처럼 보여 작품위에서 완성되는 것이 아닙니다. 하지만 멀리서 보면 전체가 제대로 보이게 되는 이를 눈에서 완성되는 그림이라 표현하며 전세계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그림이 되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2025년 4월 2일 작성 됨
Q.
바이오식품과 관련 직업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바이오 식품과에 재학중이시면 대학교가 아니신가요? 편입을 준비중이신가요?일반적으로 대학교에는 식품영양학과들은 자연과학대학에 존재하고 있습니다. 화학에 관심이 많으시면 식품영양학과 보단 화학과나 화학공학과를 가시는걸 추천 드립니다.아무래도 식품영양학과는 진로가 식품계열로 제한이 되어있지만 화학자체에 관심이 많으시면 화학과나 화학공학과를 전공하시게 되면 더 많은 진로의 기회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2025년 4월 2일 작성 됨
Q.
요즘 챗지피티로 지브리 스타일 그려줘가 인기인데,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저작권으로 고소당할일은 없습니다. 지브리의 그림을 그대로 그려서 상업적으로 이용한 것도 아니고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로 그려서 업로드 한것이기 때문에 저작권과는 무관합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재료공학
2025년 4월 2일 작성 됨
Q.
자석은 왜 철에만 반응하고 다른 금속엔 반응하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자석이 철에만 반응하는 것은 아닙니다. 니켈이나 코발트 같은 금속에서도 자기력을 발휘합니다.반면에 자석에 반응하지 않는 금속이 말씀하신 알루미늄이나 구리와 같은 금속 입니다.철이나 니켈 등이 자석과 반응 하는 이유는 철과 니켈의 원자 구조 때문입니다. 이 두가지 금속은 내부의 전자 궤도가 특정방향으로 배열이 되어 있어 자석에 의해 자기장을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구리나 알루미늄 같은 경우는 같은 금속이지만 내부 원자들의 배열이 틀려 자기장이 만들어지지 않고 만들어지더라도 약해서 자성에 반응하지 않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2025년 4월 2일 작성 됨
Q.
미술사에서 바로크와 로코코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바로크와 로코코 시대가 다른 미술사조 입니다. 바로크가 17세기 였다면 로코코는 18세기에 유행했던 미술 양식 입니다.바로크가 웅장하고 종교적이며 권위적인 느낌이라면 로코코는 그에 반하여 화려하고 자연미가 있으며 가벼운 분위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작가로는 바로크의 대표적인 작가는 램브란트나 루벤스를 들 수 있으며 로코코의 대표작가는 프라고나르와 와토 등이 대표작가 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2025년 4월 2일 작성 됨
Q.
미디어 파사드는 건물 외벽에 영상을 투사하는 예술인데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미디어 파사드는 아시다시피 건물외벽에 조명과 영상을 만들어내어 건물을 꾸미는 방법을 말합니다.쉽게 건물에 표정을 짓는다 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사실 이러한 미디어 파사드는 장점과 단점을 동시에 가지고 있습니다. 건물을 화려하게 돋보일 수도 있고 입체영상등을 활용하여 외부에서 관람자들은 눈이 즐거울 수 있습니다.하지만 건물의 영상이 아닌 홍보를 위한 자극적인 영상이 방영되면 오히려 환경공해처럼 작용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2025년 4월 2일 작성 됨
Q.
'큐비즘'의 주요 특징은 무엇이며, 이 운동을 주도한 예술가는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큐비즘은 현대미술의 아버지라고도 불리는 피카소가 만든 미술사조 입니다.사실 피카소 외에 조르주 브라크라는 인물과 함께 만들게 됩니다. 둘은 같은 작업실을 썼으면 같은 화랑에서 그림을 판매하였습니다. 그림 스타일도 유사하였기에 서로 그림을 그리고 서명을 바꿔서 한뒤 화랑에 판매하였다는 일화가 있을 정도 입니다.큐지브, 입체 주의는 눈으로 보이는 데로 그리는 것에 가깝습니다. 13세기이후 원근법이 만들어지고 난뒤에 3차원의 대상을 2차원에 평면에 옮기는 방법은 원근법이 곧 법이었습니다.하지만 눈은 둥글었고 한쪽눈을 감고 대상을 그린 뒤 다른 쪽 눈으로 대상을 보면 위치가 틀리게 보이게 됩니다. 이를 활용하여 원근법을 사용하지 않는 방법으로 대상을 묘사한 것이 바로 큐비즘 입니다.13세기부터 이어진 원근법을 파괴하였기에 피카소가 천재로 불리는 것 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111
112
113
114
1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