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김찬우 전문가
KATRI시험연구원/국립현대미술관
화학공학
화학공학 이미지
Q.  화학공학을 배우고 보통 어느 분야에 많이 쓰이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맞습니다. 알고 계신데로 화학공학과를 졸업하면 진학할 분야가 정말 많습니다.문과 분들에게 실례가될 수 있지만 그 어떤 문과의 특정 과보다 진학할 수 있는 범위가 넓습니다. 이과 내에서도 요즘 처럼 반도체와 전자제품의 사용이 활발한 요즘이기에 더욱 진학 할 분야가 많습니다.저도 화학공학을 전공하였고 저는 신소재 파트에 근무중입니다. 기본적으로 화학, 물리, 수학을 배우기 때문에 사실 어떤 이공계열로 취학을 하고 진로를 잡아도 적용이 가능한 과이기 때문에 사실 학부 수준이라면 어떤 대기업 엔지니어에 자리에도 지원이 가능한 학과가 화학공학 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고흐는 해바라기를 많이 그렸다고 하는데요 왜 그런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고흐는 야외에서 그림을 그리길 좋아하였습니다. 고흐는 총 12 점의 해바라기를 그려내었는데 그중 우리가 아는 꽃병에 꽂힌 해바라기는 총 7점으로 고흐가 아를에 머물 때 그렸던 작품입니다.고흐가 아를이란 지역에서 고갱과 함께 생활을 했던 것은 아시는지요? 고흐는 아를을 미술 공동체로 만들어 다양한 예술가들이 머물며 작업하는 곳으로 만들고자 하였습니다. 동생 테오가 화상이라 동생의 지원을 받아 공간을 만들었고 거기에서 만들어지는 작품을 동생이 대신 판매해주면서 생활비는 마련하였습니다.그래서 아를에 있을 때 고흐의 정신건강을 아주 에너지가 넘쳤습니다. 그래서 야외에서 작품도 많이 만들고 특히나 태양을 좋아하였는데 태양을 바라보는, 태양을 닮은 해바라기 역시 좋아하여 당시에 많은 작품을 만들게 됩니다. 총 7점 중 한점은 현재 소실되어 6점만 남아있습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현대 미술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현대미술은 사실 과거의 미술이라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19세기 후반부터 지금까지의 미술을 현대미술이라고 부르긴 하지만 현재 지금 우리와 함께 숨쉬고 있는 미술은 동시대 미술이라고 부릅니다.동시대 미술의 기법은 사실 계속 변화하고 있습니다. 물론 과거의 미술을 답습하는 형태로 나아가곤 있지만 새로운 매체, 인공지능과 같은 새로운 매체를 미술계에 받아들여 계속 사용하고 있으며 vr 과 같은 형태로 좀 더 적극적인 체험형 작품들도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동시대미술은 계속 발전하기 때문에 시대의 과학발전과 따로 떼어내 생각 할 수 없을 정도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인물화로 부업 할수 있을까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오 나쁘지 않아 보입니다. 워낙 요즘은 ai 를 활용한 이미지가 넘쳐 흐르기 때문에 사람의 손으로 그린 그림에 대한 수요가 분명히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인스타와 같은 매체를 활용하여 케리커처에서 부터 정밀 인물화 까지 직접 그려서 홍보를 잘 하면 분명히 판로와 수요가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하지만 어느정도 수준이 되는지 확인이 되어야 하지만 케리커처와 정밀 소묘를 넘나들 수 있다면 분명히 돈이 벌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육필의 가치가 필요한 요즘이거든요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명도와 채도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컬러리스트 이긴 하지만 명도, 채도는 물어보면 선뜻 대답하기 어려우면서도 색의 기본요소라 반드시 알아아되는 내용입니다.명도는 색상의 밝고 어두움을 말하며 명도가 높다는 말은 밝다는 의미이며 가장 명도가 높은 색은 흰색 입니다. 반대로 명도가 낮다는 말은 어둡다는 말이며 가장 명도가 높은 색은 검정색 입니다.질문의 답을 해드리면 흑백일때 가장 연한색이 명도가 낮은게 맞습니다.채도는 색상의 진한 정도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명도랑 비슷하긴 하지만 채도는 무채색이라고 해서 흰색, 회색, 검정색이 기준이 됩니다. 채도가 높다는 말은 만약 빨간색이 있다면 빨간색에 가까울수록 채도가 높습니다. 채도가 낮을 수록 어두워지는 것이 아니라 가지고 있는 색상을 잃어버린다는 의미인데 채도가 낮아질 수록 부채색에 가까워지게 됩니다.그래서 채도가 가장 높은 색은 순색 입니다. 순색은 원색인 마젠타, 옐로우, 시안 중 2가지를 섞어서 만드는 색을 말하며 흰색, 회색, 검정색과 같은 무채색이 섞이지 않은 색을 말 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공학
화학공학 이미지
Q.  나노약물전달시스템이랑 그냥 약물전달시스템의 차이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차이는 없습니다.나노약물전달시스템 이란 말은 나노란 단어가 유행하던 시절 만들어진 용어로 일반적인 약물전달 시스템인 Drug Delivery System, DDS 의 파생어 입니다. 기존 약물전달 시스템과 동일하지만 새롭게 개발되는 약물전달 시스템을 뭔가 더 효과가 좋고 미세하다는 의미로 앞에 나노 란 글자를 붙였고 나노 약물전달 시스템이라고 따로 정의가 되어 있진 않습니다. 물론 신기술이기 때문에 신약 개발에 있어 나노 기술을 활용하여 좀더 특정 표적만 타켓으로 하는 약물전달시스템을 개발하고 있고 개발된 것들도 있습니다.하지만 기존 약물전달시스템과 완전히 다른 획기적인 나노약물전달 시스템을 갖고 있진 않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일회용기 헹구지 않아도 미세플라스틱 차이 크게 나지 않는다고 답변 받았어요 그런데 다른 세균들은 어떠한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가습기를 사용할 때 사용하는 물은 정수기 물을 사용하지 말라는 이야기를 들어보셨을 지 모르겠습니다.정수기 물이 말그대로 정수된 물이라 가습기에 사용하면 인체에 더 도움이 될 것 같지만 실제로 가습기로 사용하여 인체에 흡입될시 더 유해합니다.실제로 가습기 설명서에 보면 정수기 및 소독된 물은 사용하지 말라고 되어 있습니다. 왜냐하면 정수기 물은 수돗물을 정수해서 나오는데 수돗물에 들어있는 염소성분과 세균 성분을 걸러놓은 상태라 순수하게 깨끗한 상태입니다.그래서 이러한 염소성분이 없기 때문에 마시는 순간은 깨끗하지만 가습기에 들어가서는 오히려 세균번식이 더 쉬운 상태이기 때문에 가습기가 가동되는 동안 내부의 세균과 외부의 균들이 들어와서 번식이 되기 때문에 가습기용으로 사용하면 안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화학 이미지
Q.  n-부탄과 iso-부탄의 이성질체가 다르면 끓는점도 다른 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네 실제로 이소 부탄과 일반 부탄은 끓는점의 차이를 가지고 있습니다.이소 부탄과 일반 부탄은 분자식은 알고 계신데로 탄소 4개와 수소 10개로 동일하나 구조식이 다른 구조이성질체 입니다. 실제로 이소부탄이 결합력이 더 강하기 때문에 영하 11.7도 에서 끓고 일반 부탄은 영하 0.5도에서 끓게 됩니다. 이소부탄의 끓는 점이 낮기 때문에 추울때 일반 부탄보다 불이 더 잘 붙기 때문에 겨울철에 많이 사용하고 가격도 일반 부탄보다 비싸게 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착시현상 그림을 전문용어로 뭐라고 하는지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방향에 따라 그림이 달라지는 그림이나 사진을 렌티큘러 작품 이라고 합니다. 볼록렌즈를 렌티큘러 라고 하는데 이러한 착시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서 원통형 블록렌즈를 그림위에 배치하여 두 눈의 시차를 사용하여 보는 각도에 따라 사진이 움직이거나 입체적으로 보이게 하는 방식 입니다.왜냐하면 사람의 눈은 두개 이고 서로 거리가 떨어져 있기 때문에 실제로 두눈으로 하나의 대상을 보지만 뇌에서는 이를 처리하기 위해서 입체적으로 구성을 하는 작업을 하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여 시각적 착각을 일으키게 만드는 것이 바로 렌티큘러 그림 입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요즘 계속 발전하는 AI의 윤리적 사용 기준은?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알고계신데로 인공지능의 사용범위는 넓어지고 인간과의 접촉면적은 확대되고 있기 때문에 분명히 인간성과 관련된 문제가 대두되는 것은 시간문제 입니다.영화에서 처럼 우리는 인공지능의 발달로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 두가지 경우를 전부 가시적으로 확인을 해왔기 때문입니다.그래서 각국에서는 과학기술을 담당하는 정부부처에서 인공지능에 대한 윤리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각계의 의견을 수렴하고 실제로 윤리기준을 마련하였습니다. 우리나라도 2020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인공지능 윤리기준을 마려하였습니다. 인간성을 위한 3대 기본원칙과 10대 핵심요건이라고 하여 제정을 하였는데 그 내용을 아래와 같습니다ㅇ (3대 기본원칙) ‘인간성(Humanity)’을 구현하기 위해 인공지능의 개발 및 활용 과정에서 ❶ 인간의 존엄성 원칙, ❷ 사회의 공공선 원칙, ❸ 기술의 합목적성 원칙을 지켜야 한다. ㅇ (10대 핵심요건) 3대 기본원칙을 실천하고 이행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 개발~활용 전 과정에서 ⓵ 인권 보장, ⓶ 프라이버시 보호, ⓷ 다양성 존중, ⓸ 침해금지, ⓹ 공공성, ⓺ 연대성, ⓻ 데이터 관리, ⓼ 책임성, ⓽ 안전성, ⓾ 투명성의 요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인공지능을 개발하고 계속 발전시키고 있는 미국에서도 20202 년 국각 AI 이니셔티브 법(The National AI Initiative Act of 2020)’이라고 하여 법을 제정하여 2조에 달 하는 예산을 투자하여 제도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내용은 한국보다 훨씬 광범위 하나 인간 존엄성에 대한 기준은 유사합니다. 인공지능의 개발에 따른 지적재산권의 보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할 수 있는데 이러한 미국에서 제정된 법이 아마 세계적으로 통용될 것이라 예상됩니다. 내용아 방대하여 법무법인 화우 에서 정리한 '미국의 AI 규제 동향 및 시사점' 자료를 링크해 드립니다.https://www.hwawoo.com/newsletter/2023_05_09/230509_kor_t.pdf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19619719819920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