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김찬우 전문가
KATRI시험연구원/국립현대미술관
화학
화학 이미지
Q.  흰머리가 나는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최초의 모발은 검정색이 아니라 흰색입니다. 흰색인데 멜라민 세포에서 검정색 색소를 입혀서 나오는것이 보통의 검정색 머리 입니다. 흰머리가 난다는건 노화나 다른 문제에 의해 멜라민 세포가 줄어들거나 문제가 발생하여 이 멜라민 색소가 감소하면 검정색 색소가 나오지 않기 때문에 흰머리가 나는 것 입니다. 주로 노화에 따라 흰머리가 발생하긴 하지만 기타 스트레스나 영양결핍에 따라 발생 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유전적 요인도 큰데 유전에 따라 멜라민 색소의 기능이 약하고 수명이 약한 경우 젊을때도 흰머리가 발 생 할 수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쓰레기 대란 문제 해결을 위한 국내 정책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사실 우리나라 만큼 분리수거를 체계적으로 하고 폐기물 처리를 효율적으로 하는 나라도 많지 않습니다. 분류체계가 좀 틀리긴 하지만 2013년 oecd 통계로 독일에 이어 한국이 재활용률 2위를 차지한 적도 있습니다.전세계적으로 재활용의 정의는 플라스틱과 같이 재활용이 가능한 것들이 쓰레기로 버려져 실제 플라스틱과 같은 물질로 재활용 되는 것만을 기준으로 하고 있고 국내의 재활용의 기준은 그보다 넓게 물질 뿐 아니라 쓰레기를 태워 에너지를 만들거나 고형 연료로 만들거나, 미생물로 분해하는 것도 재활용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국내의 재활용 비율은 높은 편 입니다. 그래서 실제로 2022년 기준이긴 하지만 이러한 에너지 재활용 부분을 제외하면 22.7% 정도의 재활용률을 가지고 있습니다. 재활용이 잘 이루어지는 유럽이 40% 인데 반해 낮은 편이긴 합니다. 우리나라는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쓰레기를 최대한 매립하지 않기 위해 비료도 만들고 태워서 발전소를 가동하기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구는 줄어들지만 발생되는 쓰레기의 양은 늘어가고 있습니다.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플라스틱 빨대를 종이 빨대로 대체한것 처럼 법적으로 플라스틱의 사용을 줄이고 1회용 컵과 같은 것을 사용하지 못하게, 재사용 컵을 사용할 수 있게 법적으로 제제를 가하는 방법 밖에는 없습니다. 유럽에서도 1회용 품 자체를 생산하지 않고 있고 마트에서도 세제 같은 것들은 통을 가져가야 구매할 수 있으며, 통으로 된것을 구매하기 위해서는 빈통을 가져가야 하는 등 법적으로 강력하게 규제를 해서 쓰레기 자체를 만들지 않는 것이 대안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공학
화학공학 이미지
Q.  이 사진에서 질문에 대답해주세요 ㅠㅠ 급합니다..ㅠㅠ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연잎효과는 연꽃의 잎의 독특한 구조로 인해 물방울이 잎에 달라붙지 않고 먼지나 흙도 잘 붙지 않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연잎의 표면에 아주 미세하게 나노 크기로 돌기가 나있는데 이러한 무수히 많은 돌기때문에 물방울들이 표면장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둥글게 뭉치게 되어 물방울이 맺히지 않고 흘러내리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연잎효과를 모방한 기술들은 한때 나노기술이라고 해서 유행할때 많이 나왔었습니다. 주로 페인트나 발수제 등의 업체에서 액체상태로 개발을 많이 했었습니다. 페인트를 바루면 방수효과를 가지거나 특정 액체를 사이드미러에 뿌리면 방수가 되는 등 한때 tv 에서 광고를 많이 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서양이든 동양이든 무명이든 점묘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조르주 쇠라 이외의 점묘법화가는 사실 드뭅니다. 아시다시피 쇠라가 점묘법을 시행한것은 과학의 발달로 빛의 삼원색을 알게되어 점을 찍어 대상을 표현하기 시작합니다. 초기에는 다른 인상파화가와 비슷하게 경계선이 불분명한 빛을 표현하기 위한 방식을 사용하다가 점묘를 시작하고 난 후로는 죽기전까지 점묘를 고집하였습니다. 점묘를 통해 작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일반 붓질보다 수십배나 어려움에도 끝까지 고집했기에 점묘의 대가로 인정을 받았습니다.하지만 쇠라 이외에 점묘법을 화가 생애 전반에 걸쳐 사용한 작가는 유명작가는 없습니다. 고흐나 폴쉬냑도 점묘를 활용하여 작업을 하긴 했습니다.인상파 후기에 점묘를 사용한 작가들이 많았는데 폴 쉬냑이 조르주 쇠라의 뒤를 이언 후기 인상파의 대표로 점묘를 활용하여 작품을 하였습니다. 후기에 점묘를 사용하지 않은 가벼운 수채화 들도 꽤나 존재하지만 전생기때는 점묘를 활용하여 색과 빛을 표현하였기에 대표작가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화학 이미지
Q.  새로운 사람을 만날 때 어떤 방식으로 관계를 형성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화학 분야에 맞는 질문은 아닌것 같지만 아는 만큼 답변 드리겠습니다.새로운 사람을 선듯 믿는 사람들보단 믿지않고 어느정도 거리를 두는건 생물로써 당연한 반응입니다. 경계를 먼저하고 정보탐색 후 경계를 푸는건은 모든 생물의 공통점입니다.인간은 다른 생물들보다 고등생물이기에 그러한 탐색을 개인별로 다르게 진행을 하는게 다릅니다. 곤충의 경우는 유전자에 기록된 정보를 바탕으로 적인지 아군인지 구별을 한다면 사람은 경험과 학습을 통해 상대방을 판단하고 어떤 카데고리에 넣을지 판단을 하게 됩니다.적, 아군 뿐 아니라 친구, 회사동료, 지인, 정보제공자 등 개인에 따라 자체기준에 맡춰서 관계형성을 하게 됩니다. 이는 개인의 경험과 학습에 따라 방법과 우선순위가 달라지게 되므로 절대적인 요소는 없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재료공학
재료공학 이미지
Q.  세라믹을 코팅하는 것에 관하여....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세라믹 코팅은 주로 주방용품에 사용됩니다.세라믹은 일반 금속들보다 공유결합이라는 높은 수준의 안정성을 가진 강한 결합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결합은 쉽게 깨어지지 않기 때문에 주방에서 사용하는 프라이팬 등에 코팅을 할 경우 코팅이 쉽게 벗겨지지 않고 오래 사용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강한 결합 때문에 실리콘 코팅을 하게 되면 높은 내화학성을 가지게 되므로 요리에 유해물질이 쉽게 묻어나오지 않아 주방용품으로 사용하기에 적절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재료공학
재료공학 이미지
Q.  세라믹이 고온에 강한 이유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세라믹이 고온에 강한 것을 내열성이 강하다 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는 내부의 결합이 상대적으로 금속이나 폴리머보다 강하기 때문이라고 정의 할 수 있습니다.금속은 이온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세라믹은 금속+비금속 간의 결합으로 이온결합보다 강한 공유결합으로 이루어져있어 외부의 충격이나 열, 약품등을 통해 이러한 결합이 쉽게 끊어지지 않습니다.그래서 고온에 금속류보다 상대적으로 강하기 때문에 극한환경에서 사용되는 재료에 많이 활용됩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재료공학
재료공학 이미지
Q.  세라믹의 색상에 관하여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세라믹의 색상은 원재료는 백색에 가깝습니다. 하지만 재료에 염료를 넣어 색상을 만들 수도 있고 백색의 만들어진 세라믹에 후가공을 통해 색을 입히거나 코팅을 해서 색상을 만들어내기도 합니다. 도자기를 만들때 도자기의 재료가 되는 흙을 백색을 사용하여 구워낸뒤 완성된 도자기 표면에 유약을 발라 다시 색을 입히는 과정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바다에서 석유 시추 할 때 왜 불을 붙이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불필요한 가스를 태워버리는 과정입니다. 유전과 같은 지역에서는 석탄이나 석유가 만들어지면서 같이 생성되는 유증기가 존재합니다.이러한 유증기는 유독하며 작업을 하는데 방해를 하기 때문에 외부로 방출을 시켜야 합니다. 하지만 무색에 가스이므로 확인이 어렵고 빠른시간에 이러한 유독가스를 제거하기 위해 붙을 붙여서 제거하는 것 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재료공학
재료공학 이미지
Q.  세라믹을 활용한 예술품에 관하여...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미술계에서 세라믹이라 하면 유리나, 도자기 류를 말합니다. 알고계시겠지만 유리를 사용한 스테인드글라스 라는 공예형태가 세계적으로 유명하며 도자기 역시도 고려시대 부터 지금까지 한국은 높은 수준의 기술을 가지고 있습니다.현대 미술계에서는 사실 특정재료만 고집해서 만드는 작가들 보단 여러매채를 넘나들며 활동하는 작가들이 더 많기 때문에 세라믹 만으로 유명한 작가는 존재 하지 않습니다.하지만 세라믹만을 사용하여 작업을 하는 조소 작가들도 꽤나 존재하고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20120220320420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