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조선시대 그림에 꼭 들어가는 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그런건 없습니다. 조선시대나 고려시대 그림 중 사군자, 십장생이라 불리는 그림의 경우에는 제목에 맞게 대상이 그림에 포함되었습니다.사군자의 경우는 매화, 대나무, 국화, 난초가 포함된 그림으로써 중국으로 부터 넘어온 문화 이지만 대상을 의인화 하여 자주 표현하던 대상이었습니다. 올곧은 기상, 덕있는 군자 등을 표현할때 사용되었습니다.십장생의 경우는 글자 그대로 장수를 상징하는 열가지 대상을 표현한 그림으로써 사슴, 거북이, 학, 불로초, 바위, 소나무, 물, 산, 구름, 해 를 대상으로 그린 그림이며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욕망인 오래살고자 하는 마음을 그림에 담에 대상을 통해 표현한 작품들 입니다.글을 쓰다보니 조선시대 그림에 포함되는 대상은 십장생의 주제들이 아닐까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Q. 현 시대에서의 반도체의 주요성은??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반도체를 비유한 단어중에 가장 와닿고 기억에 잘 남는 단어는 산업의 "쌀" 이란 표현 이었습니다.한국요리를 보면 쌀이 안들어간 요리가 없습니다. 한국인에게 밥심이라 할 정도로 전통 한식의 중심에는 항상 쌀밥이 중심이었습니다. 반도체도 마찬가지 입니다. 전자, 통신, 수송, 발전 분야 모든 곳에서 사용되어 지고 컴퓨터, 스마트폰, 자동차, 카메라 등 눈에 보이는 모든 전자기기에 반도체는 들어가기 때문입니다.이러한 반도체의 기술이 발전하면 발전할 수록 기기의 스펙은 높아지고 반대로 크기는 작아지는 마법을 부릴 수 있는 것이 반도체 때문입니다. 또한 반도체 기술이 올라갈 수록 효율도 좋아지기 때문에 발전량도 많아지고 에너지 저장량도 많아지며 환경 오염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수도 있기 때문에 반도체 분의 개발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예정입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