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김찬우 전문가
KATRI시험연구원/국립현대미술관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동해 유전개발을 세금으로 진행해서 만약 석유가 나온다면 우리에겐 뭐가좋은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사실 이익은 미지수 입니다.왜냐하면 석유의 가치는 갈수록 떨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아시다시피 현재 피부로 체감될 정도로 지구의 온난화는 심각합니다. 심지어 UN 에서는 지구의 온난화가 아닌 global warming 이라는 지구 열대화란 단어를 사용할 정도로 연평균기온의 상승률은 역대 최고 입니다.이런 상황에서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것을 줄이기 위해 탄소중립이라는 용어가 전세계적으로 사용중이고 실천중입니다. 대표적인 이산화탄소 발생산업인 수송산업과 발전산업에서 탄소배출을 감축하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이고 법적으로 규제를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2030년까지 내연기관 자동차의 생산은 중단하고 전기차로 전환이 되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석유의 가치는 더더욱 떨어지게 됩니다. 산유국의 가치는 50년전이었다면 대단할 이야기 이겠지만 지금은 산유국이라고 해도 체굴에 들어가는 비용과 정유에 들어가는 비용을 투자할 바에 석유를 수입해오는 것이 더 저렴하고 경제적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폭염시 전기자동차 야외충전은 안전한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안전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현재 전기차의 배터리에 화재가 나서 불이 꺼지지 않는 열폭주에 대한 이미지가 강합니다. 물론 충전이 되는 과정도 발열과정이고 현재와 같이 고온의 상태에서 충전이 일어나는 것이니 더많은 발열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하지만 열폭주가 일어나는건 충전중일때도 일어날 수 있지만 충전이 되고있지 않은 상황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열폭주는 내부의 전해질과 양극간에 차폐가 외부의 충격이나 내부의 누전 등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외부의 온도 때문에 이러한 배터리 자체의 품질이상이 발생하진 않습니다.배터리도 일정온도 이상에서는 충전 속도를 줄이고 스스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이 프로그램되어 있기 때문에 단순히 외부 온도가 높다고 화재가 발생하진 않습니다. 한국보다 평균기온이 더 더운 적도 지방에서도 전기차는 잘 달리고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재료공학
재료공학 이미지
Q.  고철을 녹여서 만든철의 강도는 쇳물로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어떻게 가공을 하냐로 차이가 나뉩니다.물론 재료는 철광석이 고철 보다 순도는 높습니다. 하지만 재련이나 정련을 하는 과정에서 철광석을 어떻게 다루느냐에 따라 고철을 가공하여 만드 것보다 강도가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높은 수준의 연마를 거치면 고철을 녹여 만든 제품의 강도가 높을 수도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화학공학
화학공학 이미지
Q.  화학 공학 공부의 세부과목은 뭐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화학공학 자격증은 화공기사 화학분석기사, 위험물 기사 등이 있습니다.이러한 기사자격증을 전문적으로 준비하고자 하시면 세부과목 들 보단 기사자격증 기출문제 위주로 시험을 위한 공부를 따로하셔야 합니다. 대학교 커리큘럼에 있는 학문들과 시험은 형태가 많이 틀립니다.서울에 계시면 노량진 근처에 기사전문 학원들이 많이 있고 지방이실 경우 인터넷 강의를 통하여 기출문제 풀이 등 해당 자격증 전문 서적을 구매하셔서 준비하시는 것이 좋습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국을 주기적으로 끓이면 안 상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주기적으로 끓여도 안 상할 순 없습니다.끓인다는 것 자체가 내부의 수분을 100도시 이하로 가열하여 수분을 증발 시키고 국 내부에 있는 단백질이나 채소의 형태를 변화시키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세균 들도 열에 의해 죽게 되기 때문에 덜 상하게 됩니다.하지만 지속적으로 수저에 의해 침이 국에 닿게 되면 음식의 맛과 질은 떨어지고 다시 끓이는 주기가 너무 길어지게 되면 곰팡이가 생기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끓여도 다시 먹을 수 없는 상태에 이르기도 합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우리나라에 유명한 화가는 누가있나요?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김환기 선생님이 있습니다.한국 작가들 중 가장 비싸게 팔린 작품의 가격은 132억에 팔린 김환기 선생님의 우주 가 있습니다. 2019년 홍콩 크리스티 홍콩 경매에서 판매가 되었고 지금까지 한국인 작가(생존, 생전) 중 가장 비싸게 팔린 작품 입니다.김환기 선생님은 한국 추상미술의 아버지로 불리우는 분이며 일본에서 유학하고 한국에서 서울대 교수를 하셨으며 이를 버리고 프랑스로 유학을 다녀오십니다 .이후 한국으로 돌아와 최고의 작가로 홍익대 교수를 하며 한국에 머무시다 다시 모든걸 훨훨 털어버리시고 미술의 중심인 뉴욕으로 유학을 떠나십니다.최고의 자리에서 내려와 미술의 최전선인 파리와 뉴욕에 도전하셨던 작가는 한국 최고의 작가로 불리기에 손색이 없으며 그림 가격 역시 최고가를 자랑합니다.한국인 작가중 가장 비싸게 팔린 그림 10개중 8개가 김환기 선생님 작품 입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황사는 미세먼지와 다른가요? 성분도 다를까요?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황사와 미세먼지는 카테고리의 차이 입니다.미세먼지 아래에 황사가 존재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미세먼지는 10 마이크로 이하의 크기를 가진 먼지이고 초미세먼지는 2.5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크기를 가진 먼지 입니다.황사는 중국의 사막에서 만들어진 모래먼지 덩어리로 미세먼지 크기를 가진 것도 있고 초미세먼지크기를 가진 것도 있습니다. 그래서 미세먼지의 카테고리 밑에 황사가 존재한다고 보시면 됩니다.미세먼지의 발생원중 하나가 황사이며 자동차가 공장에서 만들어지는 매연도 대표적인 미세먼지 발생원 중 하나 입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태양은 어느정도의 에너지를 방출하고 있고 질량이 얼마나 감소중인가요?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태양의 수명은 대략 100억년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 46억 년 정도 유지중입니다. 현재 50억년 정도 더 수명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태양의 에너지 방출량은 9.2 X 10^22 Kcal 의 열량을 매초당 방출하고 있습니다. 이 중 지구에 도달하는 양은 20억분의 1만 지구에 도달 하게 됩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현재 토카막에서 초고온도의 플라즈마상태를 얼마나 유지할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토카막내에서 초고온 플라즈마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술을 인공태양 기술이라고 합니다.한국에서는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에서 1억도의 초고온 플라즈마 상태를 30초간 유지 하였습니다. 이는 21년에 기록한 기록으로 당시 세계최고 기록이었습니다. 24년 현재 한국은 48초를 달성하였으며 26년까지 300초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현재 중국의 경우 100초 를 유지했다고 밝혔으나 정확한 기록은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석유를 채취하면 그 빈속은 구멍으로 그냥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석유 채굴은 동굴과 같은 암석속에 있지 않습니다.모래나 흙과 같은 틈에 스며들어 있기 때문에 채취나 채굴을 하고 나도 공간이 만들어지지 않기 때문에 무너지지 않습니다. 해당 공간은 주변의 물이나 모래들이 그 사이로 다시 채워지기 때문입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25125225325425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