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김찬우 전문가
KATRI시험연구원/국립현대미술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화학
6일 전 작성 됨
Q.
다이아몬드와 흑연이 모두 탄소로만 이루어져 있는데, 결합 구조 차이로 인해 성질이 어떻게 달라지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맞습니다. 다이아몬드나 흑연 모두 탄소로만 이루어진 물질 입니다. 하지만 탄소가 결합 하는 방식에 따라 성질이 완전 달라지게 된 것 입니다. 흑연과 다이아몬드가 탄소원자가 전자를 공유하는 방식에서 차이가 있는데 다이아몬드의 경우 탄소의 4가지 결합이 전부 탄소로만 이루어져 3차원의 망상 구조를 가지고 있고 흑연의 경우는 탄소의 3가지 결합이 탄소와 결합하고 나머지 하나의 전자가 남아있는 상태 입니다.그래서 다이아몬드는 모든 방향으로 결합을 하고 있기에 매우 단단하며 흑연의 경우는 층과 층사이는 반데르발스 포스만 작용하기에 약한 결합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6일 전 작성 됨
Q.
π 결합과 σ 결합은 어떤 점에서 다르며, 분자의 화학적 반응성에 어떤 영향을 주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시그마 결합과 파이 결합은 오비탈이 겹친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어떻게 겹치냐 하는 차이가 있습니다.시그마 결합은 단일 결합으로 오비탈이 정면에서 겹치게 됩니다. 파이 결합은 이러한 오비탈이 시그마 결합 옆에서 겹치게 됩니다.시그마 결합은 전자의 밀도도 두 가지 원자핵 사이에 위치에 있어서 결합이 강하며 파이 결합은 이러한 시그마 결합 아래위에 존재하기에 결합의 강도가 약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6일 전 작성 됨
Q.
반데르발스 힘은 어떤 상황에서 분자의 성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아시는데로 반데르발스 힘은 결합 중에서 가장 약한 결합입니다. 이러한 반데르발스 힘은 분자간의 결합인데 수소 결합 같은 강한 결합이 존재하지 않을때 분자의 성질을 결정하게 됩니다. 이산화탄소나 메탄 같은 분자들에는 수소결합이 없기 때문에 이들의 끓는점이나 녹는점, 액상, 고체상과 같은 형태의 결정도 발데르발스힘에 의해 결정 됩니다. 이는 분자의 갯수가 많아지고 분자간의 크기가 커지면 물리적인 성질을 결정 할 수 있게 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6일 전 작성 됨
Q.
전기음성도가 화학 결합의 성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알고 계신데로 전기음성도는 원자핵이 공유 전자쌍을 자신쪽으로 끌어당기는 인력을 수치화 한 것 입니다. 1.7 을 기준으로 1.7 을 초과할 경우 이온결합이고 0.4 보다 작은 경우 무극성 공유결합 이고 0.4 와 1.7 사이에 있을 경우 극성공유 결합으로 구분 합니다. 이러한 극성이 발생하는 이유는 두 원자 사이의 극성 차이 때문에 발생하는데 두 원자 사이에 전기 음성도 차이가 있으면 극성이 발생합니다.이러한 극성은 분자의 녹는점, 끓는점, 용해성 등의 성질을 결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6일 전 작성 됨
Q.
극성 공유 결합과 무극성 공유 결합을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극성 공유결합과 무극성 공유 결합을 구분 짓는 것은 전기 음성도 차이로 구분 합니다.무극성 공유결합은 0.4 이하 이고 극성 공유결합은 0.4 와 1.7 사이의 결합입니다. 1.7 보다 클 경우 이온 결합 입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6일 전 작성 됨
Q.
이온 결합과 공유 결합의 본질적인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이온결합과 공유결합의 본질적인 차이는 원자 사이의 전자가 어떻게 이동하는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납니다.이온결합은 양이온과 음이온간의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서 전자가 완전이 이동을 하는 것이고 공유결합은 전자쌍을 서로 공유하여 안정을 찾는 결합 입니다.이러한 결합의 종류를 결정하는 것은 전기 음성도에 따라 수치적으로 구분할 수도 있습니다.1.7 을 기준하여 1.7 보다 크면 이온 결합 0.4와 1.7 사이일 경우 극성 공유결합, 1.7 이하일 경우 무극성 공유결합으로 구분 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6일 전 작성 됨
Q.
프로크리에이트 보조색상(투톤브러쉬)사용하려고 하는데 안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음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는 아닌거 같긴한데 일단 업데이트를 최신으로 해보시고 확인 부탁드립니다.만약 업데이트를 해도 안된다면 필압 설정 때문 일수도 있습니다.투톤 브러시가 필압 강도에 따라 표현되는데 보조색상 활성화 하시고 투톤 브러시를 선택하신 뒤에 약하게 그어보시고 강하게 그어보신 뒤에 어떤 강도에서 투톤이 적용되는지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둘다 투톤 적용이 안된다면 브러시를 탭하여 브러시 스튜디오 에 들어가셔서 왼쪽의 애플 펜슬 탭에서 압력 값을찾으셔서 기존 수치보다 낮거나 높혀가면서 투톤이 나오시는지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환경·에너지
6일 전 작성 됨
Q.
환경 보호를 위해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고 싶은데 방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물론 입니다. 일회용 플라스틱 컵의 경우 투명한 플라스틱이라 유색 플라스틱보다 재활용률이 높긴하지만 그래도 재활용비율이 10% 이하이기 때문에 텀블러를 사용하는 것이 미세 플라스틱 생산을 줄일 수 있어 환경 보호에 도움이 됩니다.또한 장바구니 역시도 비닐이라는 플라스틱의 사용을 줄이는 것이기에 도움이 됩니다. 돈을 주고 구매하는 종량제 봉투의 경우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분해가 되기도 하지만 그 외의 비닐 봉지는 전부 썩지 않는 플라스틱이라 장바구니를 사용하시는 것은 환경에 큰 도움을 줍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6일 전 작성 됨
Q.
전이 금속 원소들의 원자 반지름 변화가 일반적인 주기적 경향과 다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저도 주기율표를 배우면서 전이금속의 특징에 대해서 저도 비슷한 궁금증을 가졌었습니다.이는 전이금속이 전이금속 외 물질들이 같은 주기에서 오른쪽으로 갈수록 원자핵의 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원자의 반지름을 줄어들게 되는데 전이금속들은 반지름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기도 합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이는 d오비탈의 가리움 효과 때문입니다전이금속에서도 Sc 에서 시작하여 오른쪽으로 갈때 처음에는 원자핵의 수가 증가하기에 반지름은 작아집니다. 하지만 Ni 쪽에 가서는 약간 증가하는데 이는 체외각 전자가 채워지는 장소가 d 오비탈에 채워지기 때문입니다.이는 원자번호가 증가할수록 원자핵이 증가하여 인력이 증가해야 하나 채워지는 전자가 d 오비탈의 경우 원자핵과 가까이 있는 4s 오비탈에 있는 전자들 때문에 가리움 효과가 발생하여 상대적으로 원자핵의 인력이 적게 작게 작용하여 원자핵의 반지름이 약간 증가하게 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6일 전 작성 됨
Q.
할로젠 족 원소가 강한 산화력을 가지는 이유는 무엇이며, 족 아래로 갈수록 산화력이 약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알고계신데로 산화력이라는 것은 다른 물질에서 전자를 뺏어내어 해당 원자를 양이온으로 만들고 자신은 환원되어 안정된 상태를 가지려고 하는 힘 입니다.할로젠원소의 경우 17족 원소들로 최외각 전자에 7개의 전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전자 하나를 얻어 안정을 찾으려는 경향성이 아주 강합니다.그래서 산화제 라고도 불리는데 현재 최외각 전자에 1개의 전자가 부족한 불안정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핵이 전자를 끌어당기는 인력이 아주 강합니다. 전기음성도 / 전자 친화도가 높은 상태이기 때문에 강한 산화력을 가집니다.족 아래로 내려갈 수록 최와각 전자수는 7개로 동일하지만 전자 껍질수가 증가하여 원자의 반지름이 계속 커지게 됩니다. 이러한 반지름이 커지게 되면 사이에 전자가 많아지고 원자핵이 최외각 전자핵에 가해지는 인력이 줄어들게 되는데 이를 전자의 가리움 효과 라고 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1
2
3
4
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