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김찬우 전문가
KATRI시험연구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화학공학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미세플라스틱 추출(PE)방법으로 타당한 방법 제시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미세플라스틱은 크기 5밀리 이하를 말하고 초미세플라스틱은 1마이크로미터 이하의 플라스틱을 말합니다.알고계신데로 미세 플라스틱은 구매할 수 있는 재료는 아닙니다. 생성형 인공지능의 답변대로 눈에 보이는 크기로 만들어내서 최초무게를 잰 뒤 미생물 분해 후 무게를 젤 수 있는 형태로 시험을 설계하면 됩니다.최초의 무게를 측정하고 그것이 이후 무게를 측정하는 것이 쉽지는 않아 보입니다. 딱딱한 pet 병에서 추출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으로 생각됩니다. 시험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투명한 pet 병을 사용하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환경·에너지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바퀴벌레의 박멸은 사실상 어려운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불가능 합니다. 인류보다 긴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인류보다 훨씬 가혹한 환경에서도 살아남았기에 상대적으로 번식력이 약한 인간이 바퀴벌레를 전부 박멸하는 것은 불가능 합니다. 바퀴벌레의 놀라운 생존력은 머리가 없어도 살 수 있으며 물이나 음식 없이도 한달을 버틸 수 있으며 방사능에서도 버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화성에 보내도 살아남을 생물로 바퀴벌레가 선택되기도 했을 정도입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초와 촛불이 냄새를 잡는 원리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실제로 촛불을 켜놓으면 냄새가 사라지는 것은 사실 입니다.냄새라고 하는 것들은 공기중에 화학물질이 떠다니고 있는 것 입니다. 그러한 물질들이 촛불의 불꽃을 통해서 연소가 일어나게 되면 그러한 화학물질이 화학적으로 분해가 되어 냄새가 나지 않게 되는 것 입니다. 또한 연소에 의해 공기가 뜨거워져서 상층으로 공기가 상승하고 차가운 공기가 아래로 하강하는 대류 효과가 발생하여 유해한 냄새가 주변 공기와 섞여 냄새가 사리지는 효과가 추가로 발생 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제로 에너지 드링크를 끓여서 졸인 뒤에 먹는다면 문제가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성분이 변질될 수 있기 때문에 추천하지 않습니다. 실온에 두고 차갑지 않게 먹는것은 문제가 없으나 열에 의해 수분을 증발시키고 소위 졸인 상태로 섭취하게 되면 내부 성질들이 변질되어 신체내부에서 이상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졸이게 되면 수분이 날아감에 따라 성분들이 농축되는데 이것이 일시적으로 신체내부에 들어오게 되면 카페인 중독이나 칼로리가 높아져 순간적으로 혈중 당수치가 높아질 수 있어 당뇨병 환자의 경우 건강에 위험할 수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조선시대 초상화는 실제와 가까웠나요 아니면 허구에 가깝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의 초상화는 현재의 극사실주의 회화 작품들과 맞먹을 먹도로 디테일이 엄청났습니다.당시에는 초상화의 대상이 된다는 것 자체가 아주 영광스러웠고 초상화는 함부로 그릴 수도 없었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초상화는 사당에 따로 모셔둘 정도 였습니다.그렇다보니 대상을 그릴 때 털끝하나라도 놓치지 않고 똑같이 그려야 한다는 일호일발 이라는 말이 있었으며 전신사조 라고 하여 그 사람의 정신까지 담아내야 한다는 것이 조선시대 초상화를 그리는 방법 이었습니다.조선시대의 초상화가 세밀하였으나 아쉽게도 당시에 이순신 장군의 초상화가 전신사조의 회화법으로 그려지지 않았었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알고있는 이순신 장군의 초상화는 표준영정이라고 하여 조선시대에 그려진 것이 1953년에 그려진 회화입니다. 당시에 남아있는 자료가 없다보니 글에 묘사된 장군의 모습을 상상을 더하여 만들어낸 창작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이후 이순신 장군의 초상화에 대한 자료들이 발견됨에 따라 표준영정의 모습과 달랐기에 계속 변경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었고 결국 학계에서는 과거의 자료들을 바탕으로 새롭게 이순신 장군의 초상화를 복원하였습니다. 해당 작품이 기존의 작품들보단 험학하고 강인하게 보이는 모습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41
42
43
44
4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