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미국 국채 금리가 급격하게 하락한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미국 국채 금리가 급격하게 하락한 가장 큰 이유는 예상치를 크게 밑도는 미국 고용지표 발표때문입니다.최근 발표된 7월 미국 고용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비농업 일자리는 시장 전문가들의 전망치보다 훨씬 적게 증가했습니다. 또한 지난 몇달간의 일자리 증가 폭도 큰 폭으로 하향 조정되었습니다.고용시장이 둔화되고 있다는 신호는 연준이 더 이상 긴축적인 통화 정책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에 따라 시장에서는 연준이 조만간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전망이 급속도로 커졌습니다. 특히,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이 크게 높아졌습니다.고용 시장 악화는 미국 경제의 전반적인 둔화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경기 둔화가 현실화될 경우 안전자산인 국채에 대한 투자 수요가 증가하게 됩니다.이 두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국채 매수세가 강해졌고, 이는 국채 가격 상승(금리 하락)으로 이어진 것입니다. 특히, 이번 고용 쇼크는 단기 채권 금리에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장단기 금리 차이가 벌어지는 스티프닝 현상도 나타났습니다.
Q. 아직도 미국과 관세협상이 끝나지 않은 주요국가는 어디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중국: 미국과 중국은 오랫동안 무역 갈등을 겪어왔습니다. 관세 협상이 진행 중이지만 합의에 도달하지 못해 고율의 관세가 여전히 적용되거나 적용될 위기에 놓여있습니다.멕시코 및 캐나다: 두 나라는 미국과 USMCA(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를 맺고 있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이 협정을 재협상하려 하고 있으며 일부 품목에 대해서는 별도의 관세 위협이 존재합니다. 특히 멕시코의 경우 일부 품목에 대한 관세가 부과되었고 추가적인 협상을 위해 유예기간이 설정되기도 했습니다.인도: 미국은 인도에 25%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인도와의 무역 불균형과 러시아와의 무역 거래등에 대한 불만 때문으로 보이며 양국 간 협상이 진행중이지만 아직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입니다.스위스, 노르웨이: 이들 국가 또한 미국과 관세 협상을 진행중이지만 아직 합의에 이르지 못해 높은 관세율이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이 외에도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일부 동남아 국가들과 기타 여러 국가들이 미국과 관세 협상을 진했했거나 협상이 완전히 마무리 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미국은 국가별로 관세율을 다르게 적용하며 협상 진전 여부에 따라 관세율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