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김채원 전문가
연세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얼마전 아니 지금도 러브버그로 몸살인데요. 대량 생물체 대응방안은 어느정도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러브버그처럼 익충이라도 대량발생시에는 지자체와 농림축산검역본우 중심으로 모니터링 및 국소방제 대응체계가 가동된다고합니다. 또한 사실러브버그는 몸에 산성성분이 많아서 사체가 금속류들을 녹일 수 있어 해충이라는 판단이 있기도합니다.
생물·생명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사람들중 누우면 바로 자는 사람은 어떻게 가능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즉시수면은 멜라토닌 분비주기와 생체리듬이 안정된 상태일때 가능한데, 수면압력도 높아진경우입니다.또한 불안수준이 낮고, 잠자리에서 조건반사적으로 이완 반응이 잘 유도되는 신경, 생리적특성도 함께 잘 작용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꿈을 꾸게 될경우엔 왜 시간이 체감상 덜 흐르게 느끼나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렘수면중에 뇌는 빠르게 정보 처리통합을하지만 외부자극없이 내적 시나리오에 몰입하기때무네 시간인식이 왜곡되기고합니다.또한 꿈은 실제보다 짧은시간에 압축되어느끼고, 뇌는 이를 실제경험처럼 느끼면서체감시간이 길게 왜곡되기도합니다.
생물·생명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시각정보를 처리할때 우리에너지 소요가 많이 드나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시각정보는 고해상도, 고속도로 입력되는데, 이를해석하는데에는뇌가 약 30%정도 관여하기때문에 에너지소비가 큽니다.특히 대뇌피질의 시각 영역이 복잡한 패턴, 움직임, 깊이등을 통합 분석하느라 ATP 소비가 집중됩니다.
생물·생명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동물중에서 한번에 통잠을 자는 경우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사람처럼 한번에 길게자는 동물은 일부 포유류에서 나타나지만매우 드문편입니다.대부분의 동물들은 포식자의 회피나 생리적인 특성때문에 짧은수면을여러번 나눠서자는 다상수면패턴을 가집니다.
16
17
18
19
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