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8월 13일 작성 됨
Q.
항성계의 행성과 항성은 왜 대부분 같은 궤도를 머무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같은 궤도라는게 어떤 의미인지 정확히 모르겠네요,,일반적으로 항성이 항성계의 중앙에 있고, 항성의 중력의 영향을 받는 행성들이 항성주위를 공전하고, 각각의 행성들 중력의 영향을 받는 위성이 행성을 중심으로 공전하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8월 11일 작성 됨
Q.
보통 큰 지진의 전조현상은 어떤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사실 이번에 지진경보를 내린게 일본에서 처음이라고 합니다. 사실 지진은 미리 예측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서, 이번 일본의 결정이 어떤 근거로 내려진건지 정확히 알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최근에 수차례 발생한 지진이 큰 지진의 전조증상이 아닐까 추정하고 있는 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8월 11일 작성 됨
Q.
우리나라는 여름에 태풍이 안 올 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무조건 태풍이 오는 것은 아니지만, 여름에는 대체로 직간접적으로 태풍의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았습니다.다행이 올해는 아직 특별한 태풍영향은 없었던 것 같네요. 여러변수에 의해 태풍의 경로가 결정되기 때문에 물론 무조건 태풍의 영향을 받는 것은 아닙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8월 11일 작성 됨
Q.
활화산의 마그마 규모를 과학적으로 알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화산이 언제쯤 분화할지 예측하거나 미리 막을 수 있는 방법은 현재로서는 없을 것 같습니다. 화산의 규모도 폭발이 발생하기 전에 미리 예측하기는 어려울 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8월 11일 작성 됨
Q.
인도네시아의 자카르타는 가라앉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인도네시아의 자카르타는 지하수를 많이 사용하면서 지반이 가라앉는 현상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해수면이 상승되면 수몰위험으로 여러 대책을 세우고 있다고 하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8월 11일 작성 됨
Q.
환태평양 조산대를 불의 고리라고도 부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지각판과 지각판의 경계에서 지각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나면서 지진, 화산활동등이 자주 나타나게 됩니다.태평양 주변을 둘러싸고 지각판의 경계가 있어서 불의고리라는 명칭으로 불립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8월 11일 작성 됨
Q.
일본 대지진 주의보가 내려졌다고 하는데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일본의 대지진이 일어나면 일본 전체적으로 큰 영향을 주겠지만, ,한국에는 직접 적인 피해는 크지 않을 것 같네요.한국까지 영향을 줄 정도면 일본 전역이 난리날 정도일텐데 그정도, 지진이 생길 가능성이 크지 않을 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8월 11일 작성 됨
Q.
일본 지진이 3일째 발생중인데 우리나라 해양생태계에도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일본에서 걱정하는 정말 대지진이 발생하면 큰 영향을 줄 지 모르겠지만, 일반적인 지진으로 큰 변화가 생길것 같지는 않네요. 그보다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수온 상승등이 생태계에 훨씬 더 큰 영향을 줄 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8월 11일 작성 됨
Q.
백두산은 세계에서 몇 번쨰로 큰 산인가요 ??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백두산은 매우 작은 산이어서 세계 몇번째인지 체크하기는 매우 어려울 것 같습니다. (수백번째?)언젠가 폭발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되지만, 어떤 징후가 보인적은 없는 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8월 11일 작성 됨
Q.
초저녁의 노을에 관해 질문이 있어요 ㅎㅎ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일반적으로 태양빛이 대기를 통과하면서 파란색 빛이 많이 산란되어 파랗게 보인다고 합니다.태양의 고도가 낮아지는 저녁에는 파장이 길어지면서 붉은색이 더 잘보이게 된다고 하네요
101
102
103
104
10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