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가맹거래사 김한 입니다.
안녕하세요 가맹거래사 김한 입니다.
김한 전문가
구름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자산관리
2025년 3월 18일 작성 됨
Q.
월급으로 싹다 배당주사고 배당금으로 먹고사는것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현재 기준으로 대략 현금자산이 13억원 이상이 있어야 조금은 경제적자유라고 보는데요.이유는 현재 돈의 가치와 실제 1인당 소비금액의 평균을 보면 200~250만원정도이며 이를 배당성향이 보통 약 3%라고 가정하면 세금제외하고 저정도는 있어야 배당금으로 먹고 살정도가 됩니다. 저렇게 되기위해서는 사실상 크게 2가지죠.근로소득을 높일 수 있는 직업을 찾거나 그게 아니라면 목돈을 모아 주식, 부동산 투자 등으로 꾸준히 자산을 증식하는 방법입니다.
경제정책
2025년 3월 18일 작성 됨
Q.
공공서비스의 주 목표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공공서비스의 주 목표 중 중요한 점은 사회적 비용절감입니다.서비스 구축에는 돈이 들겠지만 이것으로 인하여 국민의 안정성과 복지뿐만 아니라 국민이 사용하는 비용을 줄여주는 역할이라 곧 그 지역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실제로 공공서비스를 채택할 때 현실적으로 보자면 얼마나 쓰는 돈 대비 효율인가를 보는데 여기서 비용의 부분이 굉장히 크게 작용하게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5년 3월 18일 작성 됨
Q.
소수점 주식에 투자해도 배당을 받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소수점이라고 하더라도 배당을 받으실 순 있으나 그 나라 통화 정책마다 절삭하기 때문에 계산상 1주 단위보다 조금 덜 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예금·적금
2025년 3월 17일 작성 됨
Q.
2금융권의 이자금리가 높은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공급과 수요의 선택입니다.1금융권이 당연히 보호라는 가치에서 2금융권보다 높을 것이며 그렇다면 굳이 2금융권을 이용할 칠요가 없게되죠이용하게하려면 경쟁할만한 혜택이 있어야하는데그게 이율입니다.
경제용어
2025년 3월 17일 작성 됨
Q.
인플레이션이 마냥 오른다고 나쁘다고 해석을 해야되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인플레이션은 사실상 평상시에도 있었고 항상 물가강승률은 오르게됩니다.그러나 여기서 문제는 과도한 인플레이션이기 때문에 장점은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결국 인플레이션은 그 이상 경제성장률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금리인상으로 인하여 경기침체가 발생하여야만 이를 해결할 수 있으며 그로인해 부익부빈익빈 현상이 도드라지고 고통이 너무 크며 사회적 문제로 번질 수도 있습니다.
136
137
138
139
1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