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가맹거래사 김한 입니다.

안녕하세요 가맹거래사 김한 입니다.

김한 전문가
구름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주식시장과 채권시장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주식에 경우는 기본적으로 경제시황 비율보다 당시 테마, 실적 등에 의해 가격이 변동되는 경우가 많지만채권은 경제시황에 따른 금리 예측에 따라 거의 대부분 가격 변동이 됩니다.주식은 기본적으로 아실테고 채권에 경우 국채가 대표적인데 왜 금리이냐면채권은 금리가 오르면 오를 수록 내가 가지고 있는 채권의 가격은 하락하고 금리가 내려가면 가격이 오르게 되어있습니다.예를 들면 금리가 3% 기준이라 3% 채권을 1,000만원치 샀다라고했을 때 금리인상으로인하여 4%,5%가 되면 나의 채권의 메리트는 떨어지겠죠? 그러면 가격이 약해지는 것이고 반대로 금리인하이면 가격이 쎄지는 것입니다.채권시장의 핵심은 금리의 꼭대기를 파악하는 것입니다.거기서 사서 금리인하시기를 예측하고 인하되는 시점에서 팔아 차익을 얻는 것이라고 보시면됩니다.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금리상승 랠리는 언제까지 지속될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리상승을 억제 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경기침체가 오면서 동시에 물가가 빠르게 내려가야 합니다.1. 고용불안, 침체2.PCE 소비지출 하락 -> 부동산, 중고차 시장 불황이 와야함3.기타 수입물가, 생산자물가, ISM제조업지수 등이 낮아져야함대표적으로 이런 지표들이 물가가 높다면 안좋게 나와야 합니다.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미국의 신용평가등급이 하향됐다고 하는데, 이는 세계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기본적으로 미국에 의존도가 높은 나라들은 피해를 볼 수 밖에 없습니다.신용등급이 낮다는 것은 부채가 너무 높은데다 불안정하다는 뜻이거든요.굉장히 소극적인 투자와 함께 조심성이 높아지니 수출,수입이 약해지고 자연스레 경제성장률도 낮아지게됩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우리나라 주식들은 상승폭이 왜?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하는 이유는 아시다시피 주가 폭락, 폭등에 의한 기업, 개인 들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이구요.한국은 왜하느냐는 한국 개인들의 힘이 없기 때문이라고 보시면 됩니다.지금에야 사실 코로나이슈로 인하여 주식에서 슈퍼개미며 동학개미며 많은 지식과 돈을 보유한 개미들이 조금은 움직여 주지만 이전까지만 해도 정말 힘이 약했습니다.세력에 의해 쉽게 폭등되고 폭락이 가능했고 그 결과 많은 개미들이 피해를 보았죠.그래서 생겼지만 너무 자유시장을 침해하는 것도 있어서 앞으로 개미들의 힘이 강력해지고 세력에 의해 쉽게 좌지우지 않는 형태가 오면 상,하한제도 없어지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요즘 주식장을 보면 무서울 정도로 오르는데 과연...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보통 증권가에서 정부의 정책, 새로운 기술, 새로운 시장 등 정보 파악하여 찌라시로 눈덩이를 만들기 시작하는 것으로 보입니다.요새 트렌드가 어떤 것이다 하면 그에 저평가 되어있고 어떤 회사가 괜찮은지발굴해나가거든요. 그러면 정보를 얻은 세력들이 개미들을 끌어모으기 위해 계속 채팅방 만들고 여기저기 홍보하고하면서 함께 서서히 올립니다. 그렇게 소문에 소문을 타고 계속 오름세를 형성하면서 테마주를 형성하게 되죠.
예금·적금
예금·적금 이미지
Q.  금리가 오르면 국채는 왜 떨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리가 오르면 기존에 있던 금리의 국채의 가치가 하락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예를 들자면금리가 5%짜리 국채가 최고치였는데 기준금리가 올라서 6%가 되었다고 칩시다.그럼 6% 국채가 발행이 될 것이고 상대적으로 5%짜리는 국채 매력이 떨어지겠죠??그렇기에 금리와 국채는 반비례 관계입니다.그래서 채권 투자하시는 분들은 여러 경제지표를 보면서 흐름을 읽고 금리 인상이 최고점이면서경제가 하락 국면인 것을 원하는 것인데 그러면 결국 금리인하를 기대해보면서 국채가격이 크게 뛸 것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경제정책
경제정책 이미지
Q.  경제학 용어 중에 사중손실은 무슨 뜻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쉽게 설명드리면 어떠한 규제 혹은 지원으로 인하여 시장의 균형이 깨져 오히려 손실을 보는 것을 사중손실, 자중손실이라고 합니다.예를 들면 시장의 균형상 10,000원 짜리 제품이 있는데 더 팔려고 혹은 판매를 줄이려고 보조금 지원이나규제를 통해 막는다면 공급자 입장에서는 매출이 줄어들어 손해를 보고고객입장에서는 공급이 줄어드니 가격이 올라 비싸게 주고 사게 되어 손해를 입게 됩니다.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미국 기준금리가 5.5%가 되었는데 한국에 미치는영향은?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이제 점점 그 시기가 빠르게 올 것으로 보이는데요.경기침체 다소 완화되었어도 고금리에 물가는 높고 가계부채는 늘어가는데 너무 주식 과열 증상이 있었습니다.이미 외국인들 매도세로 돌아섰구요. 거품이 빠지는 것이죠.어제 ,오늘만 1조5천억 이상이 빠졌으니 점차 더 빠질 것으로 예상되면서조정장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예금·적금
예금·적금 이미지
Q.  통장 자동이체 다수건 해지방법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은행 어플에 가보시면 자동이체 란이 있을 것입니다.그럼 어느 통장에 기간 얼마씩 자동이체가 설정되어있는지 확인 하실 수 있고자동이체 해지 하실 수 있습니다.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불황형이라고 하는데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경제성장률이 +는 맞는데 현실은 불황이기 때문에 그렇게 불리는 것인데이유를 예를 설명드리자면 기존 수출이 100이고 수입이 100이라고 가정했을 때현재는 수출이 90인데 수입이 80이라 숫자로는 +가 되죠.그러나 잘 보시면 수입이 줄어들고 수출도 줄어들은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이것이 둘다 줄으면 사실은 불황인 상황이라는 것을 보여주죠.그래서 불황형 성장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28128228328428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