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가맹거래사 김한 입니다.
안녕하세요 가맹거래사 김한 입니다.
김한 전문가
구름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예금·적금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청년희망적금 들고 있는데 청년도약계좌를 가입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희망적금 시 불가하다고 합니다.희망적금 보통 완납이 내년 2월이실텐데 이후에 도약계좌 신청 기간 주어진다면 그때 신청하시면 됩니다.정부에서 희망적금만기 고려해서 도약계좌 신청기회 부여한다고 하였으니 기다리시면 맞춰서 일정이 나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대출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술집 창업하려고하는데 사업자 대출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은행의 경우에는 신용, 담보 대출이 대표적입니다.3,000만원 정도면 나이가 너무 어리거나 신용이 너무 안 좋지 않다면 거의 되실겁니다.나라에서 하는 소상공인센터, 정책자금지원센터를 통한 정부지원대출도 있으니 한번 알아보시면 좋을 듯 싶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주식에서 배당이 많이 나오는 주식이 우량한 주식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무조건 우량한 주식은 아닙니다.이익이 높은 것도 있겠지만 사실 회사 마음입니다.이익이 적거나 오히려 적자임에도 불구하고 배당율을 높여 주주환원 정책을 통해 주가를 지키겠다라고 하면 그렇게 가는 것이구요.주주환원보다 우리회사의 가치를 높여 주가를 올리겠다 하면 배당율은 낮추는 것이죠.개인적으로는 요새 흔히 일반주주분들도 굉장히 스마트해지고 참여율도 높아서 회사 비전을 당연히 보겠지만 , 동일하다고 하면 배당을 주는 쪽으로 많이들 선호하셔서 많은 회사들이 배당을 주고 있는 것 같습니다.
예금·적금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기준금리는 그대로인데 왜 시중금리를 올리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예금에 대한 예금금리를 올리는 것이 기준금리도 있지만 기준금리가 계속 동결인 상황에서 오르락 내리락하는 것은결국 은행에 대한 공급과 수요에 결정된다고 보시면됩니다.예금이 많이 몰릴 수록 이자는 낮아지고 예금이 줄면 이자를 높여 예치하게끔 하는 것이 은행이기 때문이죠.새마을금고 같이 예금 인출이 급격하여 다시 모을려면 이자를 높게 주는 방법 밖에 없으니 그렇게 할 가능성이 높은데반면, 현재 제1금융권에 경우 예금 이자는 조금은 낮아진 추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7월 17일 작성 됨
Q.
주식을 소유하다 매도하게되면 왜 2일후에 판매금이 들어오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주식에 경우에는 거쳐할 것이 거래소뿐만 아니라 증권사, 결제원 등 많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우리는 일반적으로 매도,매수만을 생각하지만 1주에 관하여 정확하고 확실하게 처리하기 위해 많은 요소들이 필요합니다.당연히 저희의 소중한 돈이자 자산이니까요.코인과의 차이로 코인을 인정해주지 않는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입니다.
경제동향
2023년 7월 16일 작성 됨
Q.
엔화의 가치변화는 우리경제에 어떤 영향을 줄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엔화의 가치가 크게 오르게되면 한국입장에서는 안좋은 소식일 가능성이 높습니다.일본의 경우 한국입장에서는 거래량 4위인 나라인데 수출과 수입이 4:6정도로 수입이 많은 상황입니다.그러나 작게라면 사실 크게 상관 없는 것이 상대적인 개념이라 수입의 부담이 크면 수출도 그만큼 높아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관이 크게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예금·적금
2023년 7월 16일 작성 됨
Q.
요즘 예금 금리가 떨어지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결론은 은행에서 상품의 목표 수가 있을 텐데 그것을 이미 달성하였기 때문에굳이 금리이자를 높게 줄 이유가 없어서 입니다.기준금리가 동결인 상황에서 이미 은행에 높은 금리로 인하여 예금이 많이 몰렸습니다.은행도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이기에 높은 이자를 주면서 예금을 받을 필요가 없어진 것이죠.여기에 경제상황도 고려해야하는데요. 경제상황이 안좋아서 고객의 예금을 가지고 돈을 굴린다고 가정했을 때 이익이 줄어들었다면??당연히 이전 이자보다 낮게 책정하게 되는 것입니다.
예금·적금
2023년 7월 16일 작성 됨
Q.
atm기계에 다른은행 회사 카드로 출금가능하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가능합니다. 대신 타은행이니까 수수료만 내실 뿐입니다.안되는 경우는 atm 기계의 문제거나 입금 전용 일수도 있으니 은행직원에게 물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7월 16일 작성 됨
Q.
금이외에 안전자산이라고 불리우는 자산이 존재하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안전자산이라는 것의 대표적인 세가지가 충족되면 되고 100%는 없다는 점1) 채무불이행위험2)시장가격의 변동성의 위험이 낮은 것3)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실질가치 변동이 적은 것안전자산이라고 하면 일단 화폐, 금, 채권(국채) 등이 있습니다.이것들은 대표적으로 변동성이 굉장히 적은 것들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채권에 경우에는 보통 국채는 그 나라가 망하지 않는 이상 못 받는 경우가 거의 없어안전자산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코인의 경우에는 너무 큰 폭으로 오르락내리락 하기에 사실 안전자산이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대출
2023년 7월 15일 작성 됨
Q.
금리인하 시기에도 2% 이하의 금리는 기대할 수 없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기준금리 2%로 라고해도 실질 금리는 그렇게까지는 안떨어질 것입니다.이유는 시중금리는 기준금리에서 +이윤으로 은행이 이익을 챙기기 때문입니다.보통 1.5배~2.5배 사이인데 만약 금리인하로 인하여 2%정도라고 하면 시중금리는 3~4% 정도로 예상됩니다.현재 문제는 금리 인상은 안하더라도 고금리 유지는 올해까지는 유지가 되기 때문에현재 대출이 많으신 분들은 정말 힘든 해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86
287
288
289
29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