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미국과 유럽의 대규모 글로벌 은행들이 파산하거나 파산위기에 직면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대부분 해외은행들은 투자를 많이 합니다. 부동산, 국채 든 예금을 가지고 투자를 해서 더 큰 수익을 벌죠.금리가 낮거나 조금 높을 때는 상관없지만 고물가, 고금리의 경제상황이 안 좋게되면 부작용이 엄청 크게 다가옵니다.가장 큰 것은 기업들의 뱅크런사태이죠. 힘들어진 기업들이 하나 둘씩 예금인출을 하게되는데이게 은행이 부실하다는 소문이 도는 순간 겉잡을 수 없이 번져 얼마안가 파산에 이르게되는 것입니다.우리가 아는 은행들이 다 이렇게 된 것이죠.글로벌 은행 파산이면 한국도 뱅크런 사태를 피할 수 없게됩니다.그래서 지금 상황이 프레즐 안정화 즉, 물렁한 안정화라고 부르고 있습니다.언제 다시 악화될지 모르는 상황입니다.항상 경제에 주시하시고 뭔가 터졌을 때 빠른 대처를 하시길 바라겠습니다.
Q. CPI는 어떤 기준을 갖고 물가를 산출한느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수백가지의 상품군을 크게 4가지로 나누어서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1.농축수산물2.공업제품3.전기,가스 등 공공 요금4.서비스이것들의 전년대비해서 몇% 올랐는지 내렸는지를 통계를 내고 평균을 내서 발표를 합니다.그것이 CPI입니다.1,2,3번은 아실텐데4번 서비스는 리스, 렌탈비, 보험료, 관리비, 유치원, 학원 납입금 등의 인적 서비스를 말합니다.그리고 연준에서 중요하다고 하는 것이 4번 서비스인 근원물가에 해당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