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가맹거래사 김한 입니다.

안녕하세요 가맹거래사 김한 입니다.

김한 전문가
구름
대출
대출 이미지
Q.  왜 물가안정을 위해 금리를 올리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금리를 올리는 이유는 화폐가치를 올려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함입니다.화폐가치가 떨어지면 화폐는 종이쪼가리에 불과하게되어 나라전체가 망하게됩니다.극단적으로 화폐로 불떼서 겨울을 나야할 수도 있죠.그것을 막고자 하는 것입니다.그런데 문제는 고인플레이션상황에서 다시 정상으로 돌아올 때 고금리, 고물가 가 겹치는 시기가 존재하게 되어있습니다.그게 지금이고 이 시기가 얼마나 짧냐 기냐에 따라 고통이 달라지죠.예상보다 물가가 빨리 떨어졌었는데 예상과 벗어나게 고물가인 5%에서 멈췄습니다.이것이 시사하는 것은 결국 금리인상을 더 해야 낮출 수 있다는 얘기가 되고 회복세가 올해 말쯤으로 예상했었는데 이번 cpi에서 5% 미만으로 가지 않는다면 추가 금리인상과 더불어 고통의 시기는 훨씬 길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예금·적금
예금·적금 이미지
Q.  '사내 유보금'이 무엇 뜻이며 왜 필요한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사내유보금이 많이 보유한다는 것은 회사가 그만큼 자본력이 좋다는 뜻 이 됩니다.가장 크게는 유보금을 가지고 회사 성장을 위해 여러 다양한 투자활동을 할 수 있고반대로 위기시에 기업이 버틸 수 있는 자금이 됩니다.개인이 저축하는거랑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브렉시트 이후에 영국의 경제상황은 어떤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영국은 브렉시트이후 50만명의 시민이 시위할만큼 안화되어있습니다.물가는 10%대인데 금리를 올리자니 무역수지 적자가 말도안되는 상황이고 실업률도 극에 달하고 있습니다.그 이유가 eu에서 수출,수입을 약 50%하기 때문입니다. eu를 나와도 우린 먹고 살 수있다고 자만한게 큰 이유가 되었죠.여러 나라에서 굳이 영국의 상품을 수입을 할 필요가 없이 대체체가 많아졌기때문입니다.아직 예전에 영광이였던 과거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이 이러한 상황까지 만들게 되었네요.선진국반열에도 빠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스팩공모주 상장일날 청약금액보다내려가기도하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기본금액보다 낮아지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거의 없지만 기본 공모가가 높은 경우에는 약간은 공모가보다 더 빠질 수도있어요.스팩은 정말 복불복이기에 스팩주가 불어 오는 시기전에는 거의 움직임도 없습니다.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러시아경제가 위험한 이유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러시아 경제는 전쟁에서 승리하지 못하면 지금까지 국방에 쓰인 돈을 고스란히 날리게 됩니다.거기에 외환보유액은 많지만 그것도 자기 나라에서 보유하는 것이 아니라서 미국이 키를 가지고 있고요.국방력을 쓴만큼 다시 채워놓을 돈이 없고 나라에 각종 기업들, 공장이며 투자들이 빠지는 만큼 엄청난 금융 위기에 놓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경제용어
경제용어 이미지
Q.  경제정책을펼때 매파와 비둘기파가있는데 이용어를 쓴 유래는 어떻게되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매파, 비둘기파는 예전부터 매는 날카롭고 사냥에 쓰여서 친숙하고 , 비둘기는 온순한 모습에 여기저기 있어서 친숙해서 쓰여왔습니다.주로 쓰인 건 베트남전쟁 때라고 합니다.집단이 급진적인 것과 평화주의적으로 나뉘어서 쓰였다고 해요.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향후 어떤 방향으로 움직일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인플레이션은 결국 잡히겠지만 예상보다 늦은 내년 2분기~3분기는 되어야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지금 고금리에도 물가하락이 멈춤상태를 보여진 것에 대해 3월 고용지표와 cpi에 따라서 금리추가인상 한다지만 빅스텝까지 안갈 것으로 예상되고 물가가 낮아진다고해도 예상보다 천천히 떨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imf는 왜 발생하는건가요? 지금도 그럴가능성있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당시 정부가 돈을 막풀고 말그대로 흥청망청에 대한 댓가였죠.외환보유액도 거의 없었는데 뉴스엔 경제가 너무 좋다는 거짓정보만 내보냈습니다.결국 금융위기가 왔고 엄청난 물가폭등 속에 IMF구제금융까지 신청하고 나서 심각성을 깨닫고외환을 갚기 위해 금모으기를 했던 것입니다.지금은 IMF보다는 외환보유액이 몇 십배는 많아서 그렇게까지 경제 붕괴될 정돈 아니겠지만고통은 있을 겁니다. 고인플레이션이 발생하였고 한번은 고물가,고금리가 겹치는 시기가 와야 다시 회복하는데 이때가 가장 고통일 것입니다.그게 2023년인 올해가 될 것이구요.아직 사람들은 피부에 와닿지 않아서 여행도 많이가고 하는데 점차 심각성을 알게 될 날이 멀지 않았습니다.전쟁종료나 중국봉쇄를 푸는 등의 거시경제가 좋아지지 않는 이상지금보다 최소 0.5%는 금리가 올라야 물가가 4%로 진입할 것으로 보여지는데 0.5% 금리 인상이면 4%대 진입한다는 것이고이것은 지금도 허덕이는 기업,가계 부채는 감당이 안될 정도의 상태가 되고많은 식당,카페 등은 줄줄이 없어질 것이고 탄탄하지 않은 중소기업도 많이 없어질 것입니다.실업률증가, 경제성장률제로에 살기 힘들다는 곡소리가 여기저기 나오게 될 것입니다.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미국의 구매관리자지수가 중요한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보통 CPI 의 선행지표라서 그렇습니다.PPI 가 낮아져야 사실상 CPI가 낮아지기 때문이죠.이번에 반전은 고금리로 인하여 수입물가는 분명 엄청 낮아졌음에도 불구하고 PPI가 오히려 올랐다는 점입니다. 물론 조금이지만요시사하는 바가 고금리임에도 물가가 안떨어지는 것은 곧 더 추가 금리인상에 대한 불안감을 엄청 키우게 되기 때문에시장이 흔들리는 것입니다.이번 CPI 결과가 예상치보다 높거나, FOMC회의록에서 추가 금리인상에대해 언급한다면 추가 하락이 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환율이 요동치고 있는데, 추가 금리 인상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이번 FOMC 회의록과 더불어 국내 각종 지표가 안좋게 나온다면 0.25%는 거의 확실히 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여집니다.물가가 0.2%올랐는데 수입물가가 확 떨어진 것을 보고서는 한번 더 지켜보자는 의미로 동결한 것으로 보여지는데기업들의 수축, 무역수지 적자를 계속 기록하는 만큼 다음 CPI가 5% 미만으로 가지 않는 이상 올릴 수 밖에없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3313323333343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