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가맹거래사 김한 입니다.
안녕하세요 가맹거래사 김한 입니다.
김한 전문가
구름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경제동향
2023년 2월 13일 작성 됨
Q.
23년 한국 경제전망 문의???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23년은 이미 경제침체국면은 예정되어있어서 최소 이번 년은 힘들 것입니다.이제는 반도체도 다른 여러나라들에게 추월 당하고 있고 한해 반도체가 전년 대비 -44% 감소한 것을 보면 다른 사업분야로 확대해야지만 세계 경제에서 살아 남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수출로 먹고 사는 나라라서 한동안 반도체 하나로 살아왔는데 다시금 머리 굴려야할 때입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2월 13일 작성 됨
Q.
주식개인투자자를 개미라고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개미와 주식하는 일반사람들하고 비슷해서입니다.단게 있으면 바글바글 몰려들죠.그런데 몸집 큰 짐승이 한번 밣으면 다죽죠.그럼에도 끊임없이 주식시장에 꼬입니다.개미의 끈질김 생명력과 성실한 일반 서민들의 모습을 보시면 어느정도 이해하실겁니다
경제동향
2023년 2월 12일 작성 됨
Q.
만약 수출/수입이 막힌다면 대한민국 경제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중국만으로는 망하진 않겠지만 힘들어지는 건 맞고자원이 없고 머리굴려서 수출로 먹고 사는 나라 입장에서는무역이 곧 경제입니다.만약 수출로가 막힌다면 거의 무조건 망하게 되어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예금·적금
2023년 2월 12일 작성 됨
Q.
일본은 월급이 잘 안오른다는데 맞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일본은 30년전 핵폭탄급 버블이 터졌고 그 이후로 계속해서 정체되어있습니다.임금동결도 20년은 된 것으로 알고 있고요.옛날 명성에 아직도 그쳐 사상의 변화없는 게 가장 크고요.이제는 거기에 익숙해져서 일본 사람들은 미래에 대한 비전보다 저축보다 하루 벌고 하루 사는 인생으로 변화하였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2월 12일 작성 됨
Q.
주식/코인 등의 가격은 어떻게 정해지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모든 시장의 가격은 공급,수여에 의해 결정되죠처음엔 어디회사가 누가 공급하냐에 초기 가격을 정하죠.그언데 결국좋은 코인,주식이면서 공급대비 수요가 많다면 당연히 오르는 것이구요. 아니면 바닥을 가는 순리입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2월 12일 작성 됨
Q.
영국이 유럽연합에서 탈퇴한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가장 큰 이유는 해외 노동자들의 이주를 막고자 한 것입니다.영국이 해외노동자들이 들어오는 것을 끔찍이 싫어했다해요.아직 과거의 잘나갔던 시대에 맘춰있어서 그런지 차별적 시선으로 자기나라에서 일하는게 싫은거죠 또 하나는 eu분담금을 내는 것이 너무 아까웠던 겁니다.자기들생각에는 내는 분담금에 비해 혜택이란게 없다고 생각하니까 굳이 들 필요가 있나 생각한거죠그러나 짧은 생각인게영국도 자원이 많은게 아니라 수출로 먹고 사는데 eu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죠.eu를 탈퇴함으로써 결국 무역이 안되고 물가는 10%이고국채을 빌리자니 금리가 높아 빌릴 수도 없고더욱 못 살게 되어 50만명의 시민들이 시위를 하는 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좋아요 한번씩 부탁드립니다.
예금·적금
2023년 2월 12일 작성 됨
Q.
은행 카드 뒷면에 이름을 써야 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카드 뒷면에 굳이 이름을 쓰실 필요는 없습니다.분실 시 부정사용 에 대해 보상을 받는건데사실 보상 받기는 어렵고 요새는 다 부정사용인지 아닌지 추적이가능하기 때문입니다.그래도 혹시 모르니 카드 앞,뒷면 정도는 사진을 찍어두세요.
경제동향
2023년 2월 12일 작성 됨
Q.
미국의 경제흐름을 이해할 수 있는 대표적인 지표들을 알려주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보통 수입물가, 생산자물가 , 소비자물가고용지표, 환율 , 금리, 원유 등 봐주시면 좋고인베스팅닷컴에 다 있으니 보기를 권유드립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2월 12일 작성 됨
Q.
집값 하락 언제 끝날까요? 어려운 질문이죠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정답은 없겠지만 결국 물가가 최소 3%아래로 잡히고 금리 인상이 동결로 가는 선이 집을 사는데 적합한 타이밍이 되겠습니다.저 상태가 되면 안정화되었다는 것이고 몇 년안에는 금리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경제정책
2023년 2월 12일 작성 됨
Q.
경제 뉴스나 동영상을 보다 보면 가장 많은 얘기가 나오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관세는 돈벌기 위헌 수단입니다.우리나라에 들어와 판매해서 돈을 벌게 해줄테니그에 수수료좀 내라는 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또 하나는 관세를 붙이지 않으면 무분별하게 들어와서 쭉 돈벌고 빼갈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극단적으로 말씀드리면 한 나라가 휘청일 수도 있습니다.
346
347
348
349
35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