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가맹거래사 김한 입니다.

안녕하세요 가맹거래사 김한 입니다.

김한 전문가
구름
대출
대출 이미지
Q.  나이스와 올크레딧 차이가 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평가 기준이 달라서 그렇습니다.보통 큰 기준은 비슷하지만 세세하게 가면 어느 귯에 가중치를 두느냐에 따라 점수의 차이가 있습니다.예를들면 소득대비 신용카드의 수나 사용금액, 연체의비율 등이 되겠습니다.그래도 100점 이상으로 벌어지는 경우는 드무니 혹시 그 이상이 있다면 문의 해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기본소득제도가 도입되면 빈부격차가 줄어들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빈부격차가 줄어드는건 시기마다 다를 수 있겠습니다만 현재와 같이 안 좋은 시기에는 조금은 더 벌어지는 것을 줄이는 효과는 있습니다.이 시기에 이러한 제도가 없다면 자본주의 원리에 따라 훨씬 더 많은 격차가 벌어지고 저소득층이 올라올 수 있는 길목이 더 좁아지기에 이러한 정책이 필요하긴 합니다.
자산관리
자산관리 이미지
Q.  현재 세계 경제가 불안정하기만 합니다. 이럴 때는 어디에 투자를 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앞으로 금리인하는 예상된 미래이니 현재 은행이자나 장기 국채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 좋습니다.경기침체가 급속도로 퍼질 확률이 높아지고 있고 금리인하가 올해 2번정돈 예상되오니 조금씩은 준비하시는게 좋을 듯 싶습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NFT가 예전에 유행했는데 지금은 어떤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지금은 사실 경제가 어려워짐에따라 기호품들은 거의 없어진 상태입니다.남아있어도 그 가치가 매우 하락하였고 실질적으로 쓸모가 없는 존재들의 가치는 낮아지게 되죠.대부분 nft사업을 하던 회사들도 다 접었으며 메타버스도 많이 죽었습니다.당분간 경기침체예상과 고령화로 인하여 이러한 새로운 메타들의 성장세는 많이 낮을 것입니다.
예금·적금
예금·적금 이미지
Q.  월수입 250정도면 적금 비율을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현재는 적금금액이 낮을 수밖엔 없겠습니다일단 빚부터 없애는 것으로 전략을 짜시고 그 다음 그 돈을 저축으로 변환해야겠습니다.보통 월세살면 40%정도 저축이 가장 현실적이라 최소한 그정도로 가주시되 조금이라도 수입이 많아지면 최대한 많이 모아서 전세나 보증금을 올리고 월세를 낮추는 쪽으로 가야합니다.
대출
대출 이미지
Q.  체크카드 사용이 월 200만원 이상 6개월 이상 사용해도 신용점수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사실 체크카드만 사용한다고 하여 신용점수가 크게 반영되진 않습니다.신용점수의 가장 큰 핵심은 소득수준과 연체율입니다.소득수준이 높은게 일단 가장 눈에 띄게 반영이 되구요. 거기에 연체율이 있으면 바로 떨어지게되죠.월 200을 쓰던 300을 쓰던 연체만 없으면 상관이 없습니다.대출도 일반적으로 내 소득 대비 과한지 주담대인지 일반 신용대출인지 1금융권,2금융권인지 일반 대부업체인지에 따라서도 달라지게 됩니다.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우리나라 소비심리가 얼어 붙고 있다고 하는데요. 식당과 마트가 동시에 감소한것이 이례적이라고 하는데요. 왜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기본적으로 식비에 대한 비율을 축소한 것이라고 보시면 되며 이 현상은 당연히 경제가 어렵기 때문입니다.경제가 단순히 어렵다는 것은 이해가 어려우실텐데소비가 얼어붙는 가장 큰 이유는 대출 규제가 심화되면 그렇습니다.대출 규제가 얼어붙으면 부동산이며 기업들의 투자 감소 -> 실업률 상승과 소득수준 저하 -> 소비율 감소이렇게 연쇄작용을 통해 진행됩니다. 지금까지는 대출 규제가 그렇게 심화되지 않았기에 소비측면에서 신용카드나 대출을 받아 생활을 이어왔었는데 이제는 상황이 너무 달라졌습니다.여기에 DSR3단계 시행을 하면 건설사의 부도율은 더 커지게 되고 대출은 더 안나와 가계 소비가 더욱 줄어들 것입니다.
대출
대출 이미지
Q.  갑자기 500이상 신용카드를 결제해야 할 일이 생겼는데 기존 카드한도를 300에서 500으로 한도 상향이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충분히 가능하실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200정도야 한도를 올리는 것에 그렇게 제한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연체도 없으시고 직장인이라면 크게 심사없이 가능할 것입니다.보통 최대한도가 천만원이상이면 약간 심사를 구체적으로 하기에 너무 걱정 안하셔도 될 것 같네요.
자산관리
자산관리 이미지
Q.  저출산시대에 따라 재테크는 어떻개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가장 큰 핵심은 근로소득 -> 자산소득으로 30~50대초반까지는 변환시키는 작업이 가장 중요합니다.이 자본주의 원리를 모르면 평생 근로소득으로 근근히 먹고 살다 가는 것이죠.이자를 받는 삶을 살 것이냐 이자는 내는 삶을 살 것이냐는 본인 선택입니다.다 앎에도 불구하고 실천을 안하는 것이죠.자산소득을 관리하는 것은 대게 소액은 주식 투자나 예금을 통해 이자,배당 소득으로 가져가고조금씩 주식 투자와 더불어 레버리지를 통해 부동산 구입을하고 세를 주면서 집값이 오르면 되팔고 그것을 가지고 또 불리는 방법이 가장 보편적이고 가장 핵심입니다.그 와중에 근로소득의 파이를 키울 수 있는 공부를 하거나 자격증을 취득하면서 삶의 태도를 계속해서 내가 유리하도록 꾸준히 걸어나가는 것이죠.40대시면 아직은 희망이 있습니다. 많이 바뀌긴 어렵습니다만 지금이라도 뭔가 추가적인 소득이나 꿈을 향해 무언가 도전하고 배우고 또 그 근로소득을 작게라도 자산소득으로 계속해서 불려나가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자산관리
자산관리 이미지
Q.  돈을 모으는 습관은 어떻게 기를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돈 모으는 가장 큰 것은 비교문화에서 벗어나야합니다.저사람들은 가지고 있는데 내가 없다고 부족하다는 인식부터 버려야하며 자산이 결국 나의 직원이자 나를 위해 돈을 벌어다 주고 자존감을 올려주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일단 제가 했던 방법 중에서는 월급을 받으면 50% 바로 저축 또는 주식을 삽니다. 그리고 공과금을 제하고 나머지 돈으로 사는 것이죠. 나머지 돈을 너무 많이 써서 결국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것인데 이것을 막기위해서월급 날에 사고 싶은 것들을 2주 뒤에 살거라고 생각하고 장바구니에 담아놓습니다.난 어차피 2주뒤에 살거니까 거기까지만 참자 그정돈 할 수 있잖아? 이런식 생각을 하면서 참았습니다그러면 신기하게도 2주뒤에 90%는 이걸 내가 왜 넣었지? 굳이 살 필요가 있나? 이런 생각들을 하게되고 거의 안사게 되며 그 중에서도 꼭 필요한 1~2가지를 사게 되어 보다 효율적인 소비가 일어납니다.그리고 2주를 참으면 남은 2주 뒤에 월급이 나오는데 돈이 남으니 심적으로도 여유로운 느낌이 나면서월급 날 언제 오나 이런 생각에서 벗어날 수 있으실겁니다.딱 3년만 그렇게 습관을 가지다보면 처음엔 현타가 오는 순간들도 있고 너무 거지같이 사나? 이런 생각도 드실거지만 어느 순간 나보다 잘 나가보이는 사람들의 민낯이 보이고 훨씬 많은 자산을 통해 가만히 있어도 이자를 몇 백씩 받는 경험을 하실 수 있으며 점점 여유로운 삶을 즐기실 수 있게되실 겁니다.
767778798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