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홍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홍조 전문가입니다.
김홍조 전문가
문정수약국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약·영양제
약 복용
2024년 1월 9일 작성 됨
Q.
영양제 복용 시간? 휴식기? 영양제 상극?
안녕하세요. 김홍조 약사입니다.1. 평소 별다른 위장장애를 겪고있지 않다면 모두 함께 복용은 가능합니다. 다만 종합비타민에도 비타민D와 마그네슘이 포함된 경우도 있으므로 일일 권장량이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해주시기 바랍니다.2. 주사를 맞는것도 방법이 될 수 있고 5000IU 정도의 고함량의 비타민D를 한 달 정도 복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3. 일일 권장량에 맞게 복용하고 있다면 따로 휴약기를 가질 필요는 없습니다.4. 두 가지 모두 리포산의 종류 중 하나이며 알리포산이 활성형태라고 보면 됩니다.5. 혈당이 평소 걱정된다면 바나바잎 추출물이 혈당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약 복용
2024년 1월 9일 작성 됨
Q.
변약과 위장약 먹는법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홍조 약사입니다.공복에 복용하는 약물은 프로나지만 제외하고 모두 함께 복용이 가능합니다.프로나지액은 위장점막을 코팅하여 다른 약물의 흡수를 방해할 수 있으니 단독으로 복용하고 다른 약물과 30분정도 간격을 두는 것이 좋습니다.유산균은 기상직후에 공복이나 혹은 점심, 저녁 식사 후에 복용하는 것이 흡수율이 가장 좋습니다.
약 복용
2024년 1월 9일 작성 됨
Q.
부루펜 시럽 48키로면 용량이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홍조 약사입니다.체중이 충분히 나가므로, 1회에 약 10~13ml을 복용하면 되며, 하루에 3~4회까지 복용이 가능합니다.다른 음식물과 별다른 상호작용이 크지 않은 성분이므로 두유와 도라지즙을 섭취한 후에도 복용이 가능합니다.
약 복용
2024년 1월 9일 작성 됨
Q.
구내염에 먹는다면 안티스토 연질캡슐 vs 기능성비타민 임팩타민케어 ?????
안녕하세요. 김홍조 약사입니다.기존에 복용중인 종합비타민과 안티스토는 함께 복용이 가능합니다. 안티스토는 대부분 비타민B군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평소보다 많은 양을 복용하더라도 체내에 독성을 일으키기 전에 먼저 배설되므로 크게 걱정할 것은 없습니다.다만 평소 위장장애가 있는 편이라면 구내염이 개선될 때 까지는 안티스토로 복용하시다가 증상이 완화되면 다시 종합비타민을 복용하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약 복용
2024년 1월 9일 작성 됨
Q.
감기약 처방받았는데 탈모약, 타이레놀 추가로 복용해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홍조 약사입니다.현재 처방받은 감기약에는 타이레놀과 다른 계열의 소염진통제가 포함되어 있어서, 타이레놀도 추가로 복용이 가능합니다.프로페시아 또한 현재 받은 약물들과 별다른 상호작용이 없으므로 함께 복용해도 괜찮습니다.
영양제
2024년 1월 9일 작성 됨
Q.
오메가3 영양제의 효능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홍조 약사입니다.전반적으로 혈액순환을 개선하는 역할을 합니다.혈액을 끈적하게 하여 심혈관질환의 원인 중 하나인 LDL콜레스테롤의 수치를 낮추는데 도움을 주는 성분이며, 장기적으로 복용 시 혈액순환이 개선되어 심혈관질환 뿐 아니라 안구질환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약 복용
2024년 1월 9일 작성 됨
Q.
마그밀 다른약들과 같이 먹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홍조 약사입니다.항생제가 퀴놀론계열이거나 테트라싸이클린 계열이라면 마그밀과 30분정도 간격을 두고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해당 성분의 항생제들은 철분, 칼슘, 마그네슘 등과 복용 시 흡수율이 크게 떨어져 치료효과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영양제
2024년 1월 9일 작성 됨
Q.
비잔정 복용중인데, 이 비타민 섭취해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홍조 약사입니다.비타민C인 아스코르브산은 피임약의 혈중농도를 증가시켜 피임약으로 인한 부작용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하루 1000mg를 초과하는 용량은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위에 적혀있는 비타민C는 용량이 나와있지 않아 확인이 어려우므로, 일일 권장량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복용하시기 바랍니다.
약 복용
2024년 1월 9일 작성 됨
Q.
항우울제인 브린텔릭스정 부작용
안녕하세요. 김홍조 약사입니다.위장장애는 주로 약물이 위장점막에서 녹으면서 나타나는 흔한 부작용 중 하나 입니다. 주성분 자체가 위장에 자극이 있는 약물도 있지만, 물을 충분히 복용하지 않은 경우 약물이 특정 부위에 붙어서 녹으면서 한쪽에만 농도가 높게 형성되어 속쓰림이나 메스꺼움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위장장애 외의 부작용은 약물이 체내에 충분히 흡수되고 일정 혈중 농도에 도달해야 나타나므로 약효가 발현되는 과정과 동일합니다.
약 복용
2024년 1월 9일 작성 됨
Q.
현대 정신과약물의 개발 역사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홍조 약사입니다.1949년 Lithium의 항조증 효과의 발견.1952년 Chlorpromazine이 정신병 치료에 사용하기 시작1960년 Barbiturate 계열 약물을 수면 및 불안장애에 사용1970년 Benzodiazepine 계열의 약물을 불안장애 및 경련 등에 사용1980년 2세대 항우울제가 출현2000년 3세대 항우울제인 fluoxetine, paroxetine과 4세대 항우울제인 venlafaxine 등의 사용
871
872
873
874
87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