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서울은 왜 이렇게 이질적인도쇠가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질문자님의 말씀처럼 서울 등 수도권에 인구와 국가 역량의 상당 부분이 집중되어 있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청년층(15~34세)의 수도권 유입입니다. 이는 지역 간 이동(사회적 증감)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2015년~2021년까지 수도권 인구 순유입의 약79%가 청년층이었고 비수두권 상당 부분도 청년 유출로 파악이 되었습니다. 이는 수두권에 기대소득 차이, 고용 기회, 문화 및 의류 등 생활 인프라 격차가 지방보다 매우 크기 때문입니다. 단기간 내 이러한 서울 및 수도권 집중화의 완화는 거의 불가능합니다. 미국 등 서구 국가들에 비해서 국토가 크지 않고 개발 경제 운영 시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이 필요한 역사적 배경도 있습니다. 그러나 점진적으로 지방 경제 활성화를 통해 수도권 과밀화를 풀어야 하며 결국 청년층이 몰리는 이유에 기반 하여 지방에도 양질의 일자리, 인프라 구축이 필요합니다.
Q. 알트코인 중에서 시총이 큰 건 뭘까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2025년 6월 7일 기준 주요 알트코인(비트코인, 이더리움 제외 코인)의 시총 순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압도적인 1위인 비트코인 다음으로 이더리움이 위치해 있고 3위부터는 테더, 리플, 바이낸스코인, 솔라나 순입니다. 참고로 전체 가상화폐 시총은 약3조 3,900억 달러이며 이중 비트코인이 2조 800억달러 차지하고 있고 비트코인 제외 알트코인의 시총은 약1조 3,100억달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