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
경상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4년 5월 23일 작성 됨
Q.
잡초들도 저마다 학명을 가지고 있나요?
잡초들도 모두 이름과 학명을 가지고 있습니다.잡초라고 하는 단어의 의미가 인간이 재배하지 않았지만 스스로 자란 식물 또는 농작물에 비해 그 가치가 떨어지는식물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각각의 잡초들도 모두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네이버에 잡초의 한국이름을 검색하시면 학명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2024년 5월 23일 작성 됨
Q.
씨몽키는 물을 붓기 전에도 살아 있는건가요??
씨몽키는 cryptobiosys 상태로 우리에게오게 됩니다. 쉽게 말하면 휴면상태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 건조, 낮은기온, 산소결핍 등 열악한 환경에서 생명활동을 잠깐 정지했다가 환경이 좋아지면 다시 생명활동을 시작하게 되는 상태입니다. 우리가 cryptobiosys상태의 씨몽키를 물에넣어주면 씨몽키가 다시 생명활동을 시작하게 됩니다.감사합니다
2024년 5월 23일 작성 됨
Q.
역사상 가장 큰 생물체가 대왕고래가 맞나요??
역사상으로 지구에 존재했던 동물을 통틀어 가장 큰 동물은 대왕고래(흰긴수염고래)가 맞습니다.몸길이는 보통 21~26m 이며 몸무게는 83~130톤 정도 됩니다
2024년 5월 23일 작성 됨
Q.
나뭇잎과 풀잎은왜 여름내내 푸르게있다가
가을겨울이되면 기온이 떨어지고 일조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나뭇잎이 광합성을 통해 양분을 생성하기 힘들어집니다. 따라서 나뭇잎은 초록색을 띄는 엽록소의 생성을 줄이게 되고 다른 색소들이 두드러지게 되어 단풍이 들게되는것입니다. 그리고 겨울이 지나고 다시 날씨가 따뜻해지면 가지에서 다시 초록색 잎이 나게 됩니다.감사합니다.
2024년 5월 23일 작성 됨
Q.
뇌과학적으로 꿈은 왜 꾸는 것일까요??
우리가 수면을 하면 신체는 휴식을 하지만 정신, 뇌는 쉬지 않는다고 합니다. 무의식상태에서 느끼는 감각들을 해석하여 꿈으로 꾸게 되는것입니다수면을 크게 4단계로 구분하는데 그중 가장 얕은 수면 단계인 렘수면 단계에서 꾼 꿈이 가장 생생하게 기억이 난다고 합니다.수면에 도움이 되는 활동을 하신후 푹주무신다면 꿈을 좀 덜 꾸실 수 있으실것 같습니다.감사합니다
116
117
118
119
1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