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초들도 저마다 학명을 가지고 있나요?
우리가 뭉뚱거려서 잡초라 부르는 풀들도 각자 저마다의 학명을 가지고 있나요?
노루오줌이라던가 무슨 궁뎅이라던가 그런 이름도 있던데
여태 단 한번도 잡초에 대한 고유 명칭을 들어본 적이 없네요
안녕하세요.
보통 우리가 사용하지 않는 식물들을 잡초라고 부르는데
잡초 역시 저마다 생물학적 가치가 있기 때문에 종을 분류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새로운 종이 발견되면 지역이나 발견자의 이름 등을 사용하여 학명을 붙이게 됩니다.
실제로 대학에서 식물 분류학을 배울 때 많이 채집도 하고 어떤 종인지 동정합니다.
잡초는 종류가 매우 많은데 벼과잡초, 광엽잡초, 방동사니 잡초 등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흔히 볼 수 있는 닭의장풀의 경우 Commelina communis L. 이라는 학명을 가집니다.
노루오줌의 경우 Astilbe rubra var. rubra 라는 학명을 가집니다.
인간에 의해 재배되지 않고 저절로 나서 자라는 여러 가지 잡다한 풀을 뭉뚱그려서 '잡초'라고 부르지만 잡초들도 저마다의 이름과 분류 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흔히 보는 잡초의 경우에는 망초, 개망초, 바랭이, 왕바랭이, 명아주, 쇠비름, 환삼덩굴가 있다고 합니다. 잡초의 종류는 매우 다양한데 국화과에 속한느 일년생 논잡초인 가막사리, 화본과의 일년생 논잡초인 강피, 돌피, 드렁새 등이 있습니다.
잡초들도 모두 이름과 학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잡초라고 하는 단어의 의미가 인간이 재배하지 않았지만 스스로 자란 식물 또는 농작물에 비해 그 가치가 떨어지는
식물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각각의 잡초들도 모두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네이버에 잡초의 한국이름을 검색하시면 학명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네, 잡초라고 불리는 모든 식물들도 각각 고유의 학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잡초'라고 부르는 것은 단순히 그 식물이 인간에게 바람직하지 않거나 원치 않는 곳에서 자라는 경우를 가리키는 일반명칭일 뿐입니다. 하지만 식물학자들은 이들 각각에 대해 속명과 종소명을 조합한 정식 학명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노루오줌은 학명이 Oxalis corniculata이고, 궁둥이는 Stellaria media입니다. 비록 우리가 잡초라는 멸칭을 사용하지만, 식물계에서 그들은 고유한 이름과 정체성을 인정받고 있는 것입니다.
잡초들도 각각의 과학적인 명칭이 있습니다. 잡초들은 일반적으로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이름으로 불리지만, 식물학적으로는 각각의 과, 속, 종에 따라 과학적 명칭이 부여됩니다.
네, 모든 잡초는 학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학명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식물의 이름으로, 각 종마다 고유하게 부여됩니다.
흔히 볼 수 있는 잡초인 망초의 학명은 Amaranthus retroflexus, 개망초의 학명은 Erigeron annuus입니다.
참고로 말씀하신 노루오줌의 학명은 Astilbe chinensis var. taquetii이고 숙은노루오줌의 학명은 Astilbe koreana입니다.
잡초라고 불리는 식물들도 각자 고유의 학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질문자께서 예로 들어준 노루오줌의 경우 Glechoma hederacea라는 학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때로는 노루 오줌과 같은 흔히 사용되는 이름이 식물의 공식적인 학명보다 더 잘 알려져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연구나 식물학적 문서 작성에서는 정화갛ㄴ 과, 속, 종 과같은 학명을 사용해야 의사소통의 혼란을 방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