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
경상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4년 6월 7일 작성 됨
Q.
과일을 현미경으로 확대하면 엄청난 벌레들이 보인다는데 맞나요?
저도 유튜브에서 바나나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더니 엄청난 수의 벌레가 움직이는 그 영상을 시청하였습니다. 실제로 학교다닐때 여러 과일이나 식물을 현미경으로 관찰해보았지만 그런 경우는 단 한번도 없었습니다. 제 생각에는 영상에 나온 그 과일만 기생충에 심각하게 감염된 상태였거나 영상이 조작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다른 영상을 보시면 그런 기생충이 기어다니는 영상은 찾아보기 어렵기도 하구요.국내에서 유통되는 과일이나 채소류는 기생충 걱정은 안하고 드셔도 괜찮습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6일 작성 됨
Q.
요즘 개울가에 산책을 나가보면 벌레가 엄청 모여서 나는 걸 볼 수 있는데 어떤 벌레인가요?
질문자님이 보신 날파리떼는 아마도 동양하루살이인것 같습니다. 보통 숲이나 물가에 엄청난 떼를 지어 모여날고 있습니다.이들은 사람을 물거나 질병을 옮기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6일 작성 됨
Q.
지문은 특별한데 이게 사람한테만 있나요?
지문은 사람과같이 손바닥에 땀샘이있는 영장류들과 코알라에게서 발견할수 있습니다.참고로 강아지나 일부동물들은 인간에게 지문이있는것처럼 코에 비문이있다고 하네요~ㅎ
생물·생명
2024년 6월 6일 작성 됨
Q.
개구리 배를 문지르면 누워서 안움직이는 이유.?
개구리의 배에는 근육을 이완시키는 신경이 모여있습니다. 그렇기때문에 개구리의 배를 문지르면 근육을 이완하는 신경이 자극되어 개구리가 자는것처럼 축 처지게 됩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4일 작성 됨
Q.
사람눈에도 중심이 되는 눈이 있나요 왼눈 오른눈처럼?
네, 있습니다. 그것을 주시안이라고 부르며, 양쪽 눈 중에서 시각정보를 받아들일 때 주로 의존하는 눈을 주시안이라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4일 작성 됨
Q.
야생 토끼는 어디에서 잠을 자나요??
야생토끼는 크게 멧토끼(산토끼)와 굴토끼로 나눌수 있고 멧토끼는 산속에서도 수풀이 우거진곳에 은신하고, 굴토끼는 1.5m 길이에 달하는 굴을 파고 그안에 들어가 무리생활을 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3일 작성 됨
Q.
식충 식물 들한테 사람이 먹는 음식을 주면 어찌되나요?
네. 사람이 먹는 음식이나 젤리등을 작게 잘라서 파리지옥같은 식충식물에 넣어주어도 식충식물의 트랩에 있는 미세모는 먹이로 인식하여 입을 닫고 소화액을 분비합니다. 곤충을 소화하는것과 같은 매커니즘으로 소화를 하여 영양분을 흡수하게 됩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3일 작성 됨
Q.
머리카락은 하루에 몇mm까지 자랄까요
머리카락은 하루에 0.12mm~0.37mm 씩 자라납니다. 머리가 자라는 속도는 두피 영양공급과 관련이 있으며 두피영양은 두피혈관을 통해 전달되기때문에 두피 혈액순환과도 관련있습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3일 작성 됨
Q.
잠은 6시간 이상을 자면 충분한 걸까요??
사람마다 개인차는 있지만 대부분의 성인들은 보통 하루에 일곱시간에서 여덟시간 정도 수면을 해야 충분한 휴식이 됩니다. 가능하면 일곱시간 정도 수면하려고 해보시는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생물·생명
2024년 5월 31일 작성 됨
Q.
유전자는 사람마다 다 다른걸까요??
유전자는 모든사람이 고유한 자신만의 유전자를 가지게됩니다. 하지만 예외로 100%같은 유전자를 같은 사람이 존재하는데 그러한 사람들은 일란성 쌍둥이들입니다. 이들은 하나의 수정란으로부터 분리되었기 때문에 유전자가 일치합니다.
41
42
43
44
4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