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경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경훈 전문가입니다.

박경훈 전문가
물리
물리 이미지
Q.  얼음을 잡으면 왜 손가락에 붙나요??
안녕하세요. 박경훈 과학전문가입니다.손가락 끝에 분비되는 땀에 의한 수분이 얼음면과 닿으면서 일시적으로 얼면서 얼음과붙어 버리는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별은 어떡해서 반짝 이는 걸까요 이뻐요?
안녕하세요. 박경훈 과학전문가입니다.별빛이 공기 중에 있는 먼지에 부딪혀 반짝이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사실이 아닙니다빛이 어떤 물질을 통과할 때는 진행하는 각도가 변하고 진공인 우주 공간으로부터 지구 대기로 들어오는 별빛은 굴절을 하게 됩니다공기의 밀도가 변하면 별빛이 휘어지는 정도도 변하고 별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까지는 여러 차례 굴절률이 다른 공기층을 통과하면서 반짝이게 보이는 것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도도새라는 생물이 멸종된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박경훈 과학전문가입니다.도도새는 인도양의 모리셔스 섬에 서식했던 새로 1505년 포르투갈인들이 최초로 섬에 발을 들여 놓게 됨에 따라 선원들의 사냥감이 되기 시작합니다이후에 네델란드인들이 이섬을 죄수들의 유형지로 사용하게 됨에 따라 죄수들과 함께 돼지, 원숭이, 쥐가 유입되고 쥐, 돼지, 원숭이가 바닥에 둥지를 트는 도도새의 알을 쉽게 잡아먹게 되자 개체수가 급감하였고 1681년에 마지막 새가 죽음으로 멸종되었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건전지를 오래 사용하다 보면 나오는 액체 정체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경훈 과학전문가입니다.건전지 속은 전해액이라는 액체로 촉촉합니다 이것이 밖으로 누출된 것입니다요즘 판매되는 건전지의 대부분은 알카라인 건전지로 수산화칼륨이라는 강알카리의 전해액을 사용합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지진에 대비하기 위한 내진설계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경훈 과학전문가입니다.가장 기본적인 내진구조는 지진으로부터 발생하는 지반의 흔들림에도 전체적인 구조나 내부 시설물이 파손되지 않도록 튼튼하게 건설하는 것이다제진구조는 이와 같은 원리를 가지고 있다. 지진으로 인해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하고 그에 따라 대응하는 힘 또는 진동을 발생시켜 구조물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거나 구조물의 강성, 감쇠등을 제어해 피해를 줄이는 것이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초당옥수수는 일반옥수수랑 다른 재배방식인가요?
안녕하세요. 박경훈 과학전문가입니다.초당옥수수는 멕시코,남아메리카 북부 원산지로 당의 함량이 아주 높은 옥수수의 한 품종입니다우리나라에는 1997년에 보급되어지만 실패하고 2014년에 해남에서 재배가 확대되어 재배메뉴얼도 생겨서 많이 확대되었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낙동강의 녹조물로 농사지은 생산물?
안녕하세요. 박경훈 과학전문가입니다.녹조의 한 종류인 남조류는 마이크로시스틴이라는 독성물질을 포함하고 있습니다일본 매립지에 남조류가창생겨 검사한 결과 농산물인 벼와 채소에서 소량이지만 남조류 독성물질인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된 사례가 있고, 독일 농산물에서도 독성물질이 검출된 사례가 있습니다하지만 그러나 우리나라 농산물은 남조류 마이크로시스틴 조사를 하지 않기 때문에 검출된 사례가 없다고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참새는 어디에 둥지는 짓나요?
안녕하세요. 박경훈 과학전문가입니다.참새는 우리 주변의 나무 구멍, 제비집, 딱따구리 둥지, 전봇대, 빌딩 틈, 인공둥지, 철골주조물 등에 둥지를 틉니다 심지어 가정집의 신발장 신발, 에어컨에도 둥지를 틉니다참새의 둥지는 구멍의 크기에 관계없이 내부 공간을 마른 풀, 끈 등으로 둥지 재료로 채우고, 산좌에 자신이 출입할 수 있을 정도의 작은 크기의 구멍을 만듭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1급 발암물질, 2급 발암물질 이렇게 구분하는 기준이 무엇인가요? 위험도의 차이인가요??
안녕하세요. 박경훈 과학전문가입니다.1급 발암물질은 확실하게 암을 일으키는 물질이고, 2급 발암물질은 사람에게 암을 일으키는 개연성이나 확신이 있는 물질을 기준으로 나눈겁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왜 밥 먹고 바로 뛰면 옆구리가 아픈거죠?
안녕하세요. 박경훈 과학전문가입니다.밥을 먹고 소화가 되지 않은 상태로 3시간 이내에 운동을 하면 위가 팽창돼 횡격막에도 자극을 주게 되어 되어 옆구리가 아픕니다
212223242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