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토목공학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낙동강의 녹조물로 농사지은 생산물?

낙동강의 녹조물에는 독소나 오염물질이 많을 거 같습니다.

그러면 이러한 강물로 농사를 지운 생산물에서는 2차적으로

독소나 오염물질이 나오지 않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좋지 않을것으로 생각됩니다

      녹조에는 인간에게 유해한 유해물질이 많은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 느긋한칼새269
      느긋한칼새269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녹조물로 생산한 농산물에서 녹조 독성물질 ‘마이크로시스틴’ 이 검출된 사건이 있었습니다. 이것 때문에 녹조물을 농업용수로 쓰는것도 위험하다는 여론이 조성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위험성은 있지만 그런 물을 사용하면 농사를 짓기가 어렵기 때문에 정수를 하거나 다른 물을 사용하게 될겁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경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녹조의 한 종류인 남조류는 마이크로시스틴이라는 독성물질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일본 매립지에 남조류가창생겨 검사한 결과 농산물인 벼와 채소에서 소량이지만 남조류 독성물질인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된 사례가 있고, 독일 농산물에서도 독성물질이 검출된 사례가 있습니다

      하지만 그러나 우리나라 농산물은 남조류 마이크로시스틴 조사를 하지 않기 때문에 검출된 사례가 없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강에서 생기는 녹조는 식물성 플랑크톤으로자연환경에 존재하는 환경의 일부분 이라고 보시면됩니다. 일부 녹조에서는 녹조의 대사과정에서 독소 물질이 나오기는하지만 미량이고 녹조물을 토양에 사용하면 토양중 미생물과 햇빛의 자외선에 의해 자연계에서 분해됩니다. 다만 녹조가 짙은 초록색으로 혐오감이 들 수있어 보기에는 좋지 않습니다. 녹조물로 농사지은 농산물을 사람이 소비하는 과정까지 유해물질이 잔류할 가능성은 매우 낮으나 장기적인 연구를 통해 인체에 미치는 연구는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질문에 답변이되었기를 바라며 채택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