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경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경훈 전문가입니다.

박경훈 전문가
Q.  부시리와 방어가 같은어종인가요?
안녕하세요. 박경훈 과학전문가입니다.방어는 두꺼운 몸체를 가지고 있고 머리가 크며 주상악골이 각이 져 있습니다부시리는 납작한 몸체를 가지고 있고 노란색 옆줄이 선명하며 머리가 작습니다 눈부터 아가미 거리가 방어가 약간 더 간격이 넓고 주상악골이 둥그스레 입니다
Q.  잠꼬대는 왜 하는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경훈 과학전문가입니다.잠을 자면서 자기도 모르게 중얼거리는 헛소리. 국어사전에 등재된 ‘잠꼬대’의 뜻이다. 잠꼬대는 누구든 흔히 겪는 현상이지만, 과도하면 질병의 전조증상일 수도 있다. 잠꼬대를 하는 이유와 질병의 위험 신호로서의 잠꼬대는 무엇인지 알아봤다.수면은 근육이 마비되는지 여부에 따라 렘수면과 비(非)렘수면으로 나뉜다. 쉽게 풀이하면 렘수면은 꿈을 꾸고 있는 상태고, 비렘수면은 꿈을 꾸지 않는 상태를 뜻한다. 꿈을 꾼다고 해서 더 깊은 잠에 빠진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그렇지 않다. 꿈은 얕은 잠에 들었을 때, 혹은 잠에서 깨기 직전에 꾸는 경우가 많다. 잠을 자는 동안 여러 번 렘수면과 비렘수면을 오가는데, 이 과정에서 간혹 의식이 활성화되며 언어를 구사할 정도가 되면 내뱉는 소리가 잠꼬대다.인간은 렘수면 상태일 때 비교적 복잡한 정보를 뇌에 저장한다. 이땐 뇌간에서 운동 마비를 조절하는 스위치가 켜진다. 이에 따라 호흡을 제외한 나머지 근육은 마비 상태가 된다. 그러나 스트레스, 육체 피로, 노화 등의 이유로 근육이 제대로 마비되지 않으면 꿈속에서 하는 말을 현실에서 그대로 내뱉을 수 있다. 전체 성인의 5%가 잠꼬대를 한다는 외국의 연구 결과가 있다.잠꼬대는 누구나 할 수 있고, 그 자체로 병은 아니다. 다만, 다만, 정도가 심해서 소리를 지르거나 욕설을 하고, 발길질 같은 신체 일부를 움직이는 행동을 동반한다면 렘수면행동장애를 의심할 수 있다. 렘수면행동장애란 꿈의 내용을 직접 행동으로 옮기려는 수면장애의 일종이다. 특히 이런 증상은 치매·파킨슨병과 관련이 깊다. 특히 파킨슨병이 의심되는 환자는 잠버릇이 나쁜 경우가 많다. 자면서 발길질을 하거나 잠꼬대를 하는 등 험한 잠버릇이 있는 사람은 치매 등 퇴행성 질환에 걸릴 위험이 훨씬 크다. 그 중 나이가 들어서 갑자기 나타난 '노인성 잠꼬대'는 이러한 퇴행성 질환이 원일일 가능성이 높다.출처 : 헬스조선 뉴스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18092802315
Q.  왜 남극에는 바이러스가 살 수 없나요?
안녕하세요. 박경훈 과학전문가입니다.남극에는 바이러스가 없다고 알려져 있습니다하지만 펭귄, 남극도둑갈매기 등에서 바이러스가 유입되어 남극에도 바이러스가 있다고 합니다
Q.  전선에 새들이 매달려있는데 감전이 안되는이유?
안녕하세요. 박경훈 과학전문가입니다.새가 감전되지 않는 이유는 ‘전위차’입니다. 전위차는 다른 말로 전압이라고도 하죠.감전은 전류가 몸에 흘러 충격을 느끼는 현상입니다. 새의 저항은 매우 크지만, 전선의 저항은 0에 가깝습니다. 전류는 저항이 적은 쪽으로 흐르는 경향이 있는데요. 따라서 대부분의 전류는 새를 관통하지 않고 전선으로만 흐르게 되는 것이죠. 옴의 법칙에 따르면 전류의 세기는 전압에 비례하고 저항에 반비례합니다. 그래서 전류가 흐르려면 전위차가 있고 저항이 낮아야 합니다. 전위차가 0이면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이죠.그러나 새가 감전으로부터 항상 안전한 것은 아닙니다. 한 발은 전선에 다른 한 발은 다른 물체에 닿아있다면, 전선과 물체 이 둘 사이의 전위차 때문에 전류가 새의 몸속으로 흘러 들어가 감전되는데요. 예를 들어, 전선에 앉은 새의 몸 일부가 지면과 연결된 전봇대나 철탑에 닿는다면 그 순간 두 물체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고, 전류가 흘러 새는 죽게 됩니다. 이에 대해 한국전력공사의 관계자는 “전선은 고압전선을 기준으로 22900V이고, 지면은 거의 0V에 가깝다”라며 “22900V의 전위차 때문에 전류가 흘러 새가 감전되는 것”이라고 전했습니다출처 : 채널PNU(https://channelpnu.pusan.ac.kr)
Q.  일상생활에 사용하는 동전은 뭘로 만들어지나요?
안녕하세요. 박경훈 과학전문가입니다500원, 100원 동전은 둘다 구리(75%), 니켈(25%)로 구성되어 있고 50원 동전은 구리(70%), 아연(18%), 니켈(12%)로 구성되어 있고, 10원 동전은 구 10원 동전은 구리(88%), 아연(12%)로 구리가 많이 들어가고 신 10원 동전은 구리씌움 알루미늄(구리 48%, 알루미늄 52%)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515253545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