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박주찬 전문가
프리랜서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반려동물
학문
반려동물 건강
2024년 3월 26일 작성 됨
Q.
강아지가 며칠 전부터 침을 이유 없이 계속 꿀떡꿀떡 삼키고 낼름낼름거리는게 심해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침 흘림은 감별사항이 굉장히 많습니다. 췌장염으로 인한 침흘림은 구토와 복통으로 인한 침흘림일 수도 있고 그 외 뇌쪽이나 신경쪽 문제가 있을 때도 그런 침 흘림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또는 뭔가 잘 못 먹어서 중독 때문에도 그런 증상 또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처럼 단순 침 흘림 유연증세는 췌장염약 먹는다 하더라도 못 삼키지 않는 경우 큰 의미가 없을 수도 있으니 병원 가셔서 검진 받으시고 그에 맞는 치료를 하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4년 3월 26일 작성 됨
Q.
강아지가 휴지를 먹고 몇 시간 뒤에 토를 했어요 아침에 바로 병원에 가야할까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결국 장폐색증을 확인하려면 방사선이나 초음파로 확인을 해봐야 합니다. 25에 발견하신 경우 오늘이라고 초음파를 봐서 이물이 확인된다면 수술적으로 제거 및 대증처치로 내려가는 것을 기다려보는 수도 있습니다. 장폐색으로 인해 밥도 잘 안먹고 구토 설사가 계속 하는 경우 전해줄 불균형이 진행되면 예후가 좋아지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반려동물 건강
2024년 3월 26일 작성 됨
Q.
강아지 켁켁거림 증상 궁금합니다 ㅜ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강아지가 믹스견이지만 혹시 주둥이가 짧고 코가 쏙 들어간 불독이나 퍼그 같은 단두개종인 경우 상부호흡기 폐색 등으로 인해 그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상부호흡기의 경우 엑스레이 촬영 및 CT촬영 후 필요하다면 수술적으로 교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4년 3월 26일 작성 됨
Q.
강아지 나이 6살에 중성화해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중성화 수술 시켜주시는 경우 한 살 이라도 어릴 떄 시켜주시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 이렇게 생리할 때 정말 좋지 않을 때 균이 들어가는 경우 자궁축농증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4년 3월 26일 작성 됨
Q.
아이 배변상태가 젤리같은데 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평소 먹지 않던 간식을 먹어서 그런 변을 본듯 합니다. 아무래도 강아지한테는 맞지 않은듯 하니 그런 것 먹이지 않도록 하시기 바랍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4년 3월 26일 작성 됨
Q.
식욕부진으로 병원갔는데 급성신부전이래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고양이가 4일 동안 밥을 안 먹는 다는 것 자체가 ㄷ굉장히 안 좋은 것입니다. 그리고 호흡을 거칠게 하는 것인 신부전 상태가 되면 몸 상태가 대사성 산증 상태이므로 이를 보상하기 위해 과호흡을 해서 알칼리 상태로 만듭니다. 체온이 34도 정도면 Uremic shock(요독성 쇼크) 상태로 당장 죽어도 이상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밥만 안 먹고 멀쩡할 수가 있을까요? 사람도 밥 하루 안 먹거나 구토 2~3회만 해도 병원 가는데 말이죠
반려동물 건강
2024년 3월 26일 작성 됨
Q.
고양이 감정 읽는 방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사람의 감정도 읽기 어려운데 우리와 존재가 전혀 다른 동물의 감정을 아는 것은 더욱 어려울듯 합니다. 작성자분한테 몸을 비비고 얼굴을 비비거나 머리 박치기 하는 고양이들은 당연히 작성자를 신뢰 한다는 것이고 앞발로 꾹꾹이 하는 행동 또한 작성자분께 신뢰를 표하는 행동입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4년 3월 26일 작성 됨
Q.
강아지는 집에 오래 있으면 스트레스 받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분리 불안 증세가 나타나는 경우는 당연히 스트레스를 받을 수도 있지만, 혼자 있는 것이 익숙하고 어릴 때 부터 강아지와 잠자리를 같이 하지 않고 혼자서 잘 자고 독립적인 공간이 주어진 강아지들은 의외로 잘 지내기도 합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4년 3월 26일 작성 됨
Q.
비강종양으로 온 뇌 전이 때문에 치매가 오면서 급성췌장염까지 같이 왔는데 이럴때 뇌신경으로 인해 고통을 느끼지 못할까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뇌종양의 경우 뇌쪽의 염증과 뇌의 부분 압박으로 인해 구토증세 및 심한 두통이 나타납니다. 또한 뇌종양으로 통증이 없다는 것은 알 수가 없는 부분입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4년 3월 26일 작성 됨
Q.
포메를 키우는데 옆구리쪽털이 잘자라지안는데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포메라니안의 경우 털을 자르는 경우 잘 안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가위로 자른지 얼마 되지 않았다면 다시 날 수 있겠지만, 제모기나 삭모기로 피부가 닿을 정도로 자르는 경우 털이 나지 않거나 엉망으로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121
122
123
124
12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