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박주찬 전문가
프리랜서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반려동물
학문
반려동물 건강
2023년 4월 4일 작성 됨
Q.
강아지 산책 일주일에 몇번이 적당?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미국케넬협회의 경우 강아지 산책을 하루 30분 이상 정도가 최소 권장량이고 일반적인 권장량은 하루 2회 20분 이상입니다. 대형견은 하루 3회 30분씩이 권장이구요 이 경우 견주들이 시간적인 여유가 나야 시키는 것이지 꼭 그렇게 시키지 않으셔도 됩니다. 집에서 적절하게 놀이를 해주고 밖에서 지내는 경우는 글쓴이처럼 이렇게 주에 3~4회 정도만 해주셔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3년 4월 4일 작성 됨
Q.
고양이가 목욕을 싫어해도 강제로 목욕을 시키는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냄새가 안나고 글쓴이가 느끼기에 굳이 안 해주셔도 될 것 같으면 목욕을 강제로 시키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래도 그루밍이라는 것이 완벽하지 않으므로 고양이의 혀가 닿지 않는 곳이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2달에 한번 정도는 목욕을 한번 시켜주는 것이 고양이와 주인에게도 위생적인 측면에서는 권장드리는 것입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3년 4월 4일 작성 됨
Q.
밤에 강아지를 유산균을먹여도 괜찬나여?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밤 보다는 낮에 먹이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아무래도 유산균은 장내 세균을 활성화시키는 것이므로 밤에 먹었다간 집 안에서 설사를 할 수도 있습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3년 4월 4일 작성 됨
Q.
길에서 너무 짖는 개 어찌 통제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글쓴이 분의 개가 아니면 그냥 두시는 것이 좋습니다.개의 경우 외부의 냄새나 소리에 반응해서 짖는 것이 본능입니다. 오히려 주인이 혼내면서 주의를 주는 경우 더 말을 듣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너무 이렇게 짖는 경우 짖음방지 목줄이나 성대절제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3년 4월 4일 작성 됨
Q.
포메라이안 바리깡으로 털을 짧게 밀었더니 얼룩무늬 있는부분이 털이 늦게 나는데 왜이럴까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포메라니안의 경우 함부로 털을 밀어선 안됩니다. alopeciaX라는 탈모증후군에 걸릴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털을 바짝 밀었다간 해당 부위가 색소침착이 되어 털이 엉망으로 나서 외관상으로 좋아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멜라토닌 처방으로 회복되는 경우가 일부 있지만, 그 마저도 큰 효과가 없을것 같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심지어 병원에서도 포메라니안 품종들 수술 시 삭모할 때 보호자들한테 포메 품종은 삭모 후 털이 안 날 수도 있다고 고지를 하고 수술에 들어갑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3년 4월 4일 작성 됨
Q.
반려동물을 키울 시 주의해야할 점은?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이런 주의사항들 한 두가지가 아닌데요 1. 털날림 2. 헛 짖음 3. 포도, 양파, 초콜릿 같이 먹여서는 안될 음식 조심하기 4. 배변 배뇨 실수 등등이 있겠네요
반려동물 건강
2023년 4월 4일 작성 됨
Q.
강아지도 유산균 먹여도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반려동물 전용 유산균이 따로 있습니다. 무턱대고 사람꺼 먹었다간 심한 복통과 설사를 할 수도 있으니 반려동물 전용꺼 먹이시기 바라니다. 이런 변비의 경우 다양한 요인이 있으니 강아지가 힘들어하거나 너무 배변을 보지 않는 경우 사료량을 좀 늘려보시거나 병원 가셔서 검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3년 4월 4일 작성 됨
Q.
대소변못가리고 침대에 실례하는 아이들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어린 시절 및 유아시절의 경우 배변훈련과 꾸준한 보상으로 인해 잠깐이나마 패드 위헤 배변배뇨를 했겠지만, 2살령의 경우 이런 배변 배뇨 실수의 심리적인 요인이 큽니다. 1. 밖에서 배변 배뇨 하고 싶은데 그러지 못할 경우 2. 알 수 없는 스트레스 3. 주인과 함께 냄새를 공유하고 싶음 그래서 대부분의 수의사 선생님들이 강아지와 함께 자지 말라고 하는 것이며 꼭 자는 공간 먹는 공간 쉬는 공간을 불리해달라고 보호자들을 교육하는 이유죠
반려동물 건강
2023년 4월 4일 작성 됨
Q.
개와 고양이의 평균 수명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개 고양이는 평균 15년 안팍으로 생존합니다. 잔병치레가 없는 경우 20년 이상 사는 경우도 있습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3년 4월 4일 작성 됨
Q.
4개월차 아비시니안 구토 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고양이의 경우 구토를 거의 하지 않습니다. 속이 너무 좋지 않거나 그럴 때 간혹 구토를 합니다. 우선 고양이 컨디션이나 활력 그리고 식욕에 특이사항이 없는 경우는 큰 문제가 없을 수 있지만, 식욕부진, 설사 추가적인 구토를 보이는 경우 병원 가셔서 검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706
707
708
709
7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