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창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전문가입니다.
박창민 전문가
경북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반려동물
학문
생물·생명
2025년 5월 24일 작성 됨
Q.
호박벌은 얼마나 날갯짓를 하길래 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호박벌은 몸통에 비해 날개가 작아 보이지만 초당 약 130~200회의 빠른 날갯짓과 8자 형태의 회전 운동을 통해 공기 흐름을 조절하고, 간접 비행근을 이용해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사용하며 비교적 느리지만 안정적으로 날 수 있도록 진화한 곤충입니다. 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5년 5월 24일 작성 됨
Q.
또 코로나바이러스가 몰려온다고 하니다. 대체 바이러스는 어떤 과정으로 생겨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바이러스는 숙주의 세포를 이용해 증식하는 비세포성 존재로 자연계에 원래 존재하며, 동물에서 사람으로 전이되거나 기존 바이러스에서 변이되어 새로운 형태로 나타나고, 특히 RNA 바이러스는 복제 과정에서 변이가 자주 일어나 감염력이나 증상의 강도, 면역 회피 능력이 달라질 수 있어 지속적인 감시와 대응이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5년 5월 24일 작성 됨
Q.
요한센의 순계설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요한센의 순계설은 유전적으로 동일한 순계 집단에서도 표현형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유전형의 차이가 아니라 환경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는 이론으로, 강낭콩 실험을 통해 입증되었고 표현형은 유전형과 환경의 상호작용 결과임을 강조하며 현대 유전학에서 유전과 환경의 영향을 구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5년 5월 24일 작성 됨
Q.
사람이 날개가 있다면 어느정도 크기가 되어야 날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사람이 날개로 날 수 있으려면 약 70kg의 체중을 뜨게 하기 위해 최소 40~50제곱미터, 좌우 합쳐 약 12미터 이상의 날개 크기가 필요하며, 이를 실제로 움직이기 위해서는 현재 인간의 근육과 골격 구조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날 수 있으려면 신체 전반의 구조가 새처럼 근본적으로 달라져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반려동물 건강
2025년 5월 24일 작성 됨
Q.
애완견 배변문제 인데 급해요ㅠㅠ 제발요~~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강아지 배변에서 바퀴벌레처럼 생긴 2cm 크기의 벌레가 나왔다면 기생충 감염 가능성이 높아 심각할 수 있으므로 즉시 동물병원에 내원해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하며, 배변 처리 시 위생에 주의하고 주변 환경도 철저히 청소해야 하고, 유기견인 만큼 정기적인 구충과 건강 관리 계획도 수의사와 함께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236
237
238
239
2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