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배현홍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전문가입니다.
배현홍 전문가
이상그룹 경영기획실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주식·가상화폐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비트코인의 상승세를 알트코인들이 따라가지 못하는 느낌인데 과거 비트코인이 상승할 때 알트코인들의 상승세가 현재비교했을 때 어느정도였나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알트코인은 오히려 올해초부터 지금까지 90프로 대다수 코인이 고점대비 80-90프로 하락하며 비트코인이 횡보시 지속하락만하고 상승이 나오더라도 제한적인 반등정도만 될정도로 극심한 정체입니다 즉 이는 결국 알트코인은 기관들의 수급이 들어오지 않는 신뢰성없는 자산으로 평가받고 있고 발행재단이 대다수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개인들만이 단타중심으로 가격이 형성됩니다 그런데 과거와 달리 매달 무분별하게 코인이 수십개이상씩 상장이 되는구조입니다 그러다보니 제한적인 수급이 갈리게 되고 이러다보니 더욱이 오를수없는구조가 되면서 서로간의 파이나눠먹기로 진행되면서 가치가 하락하고 있는것입니다
경제동향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한국 경제가 중국에 굉장히 의존하고 있는 중인가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한국은 수출중심국가이며 국가의 60-70프로 성장기여도는 수출이며 최근 2년간은 나홀로 수출만 성장하며 수출기여도가 100프로나 다름없습니다 여기서 수출비중이 제일 많은 국가가 중국과 미국입니다 이말은 중국의존도가 높고 중국과 아예 교역이 없다면 수입물가는 엄청오르고 수출도 크게 감소하면서 국내 경제는 암울한 환경이 됩니다
주식·가상화폐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장기투자를 하려고 하는데 ETF와 개별 주식의 장단점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개별주식은 알파를 추구하는 것이며 상대적으로 ETF는 베타 즉 지수수익률을 추구하면서 일부의프리미엄을 조금더 추구하는 자산입니다이말은 알파를 추구하는 개별주식은 리스크가 더욱 크고 변동성이외에도 섹터가 성장해도 내종목은 안오르는 종목리스크 즉 삼성과 하이닉스사례가 대표적이며 삼양식품과 오뚜기도 대표적인것입니다 즉 알파로 수익극대화도 되지만 반대급부인 리스크도 명확합니다 ETF는 특정섹터가 성장하면 결국 선택리스크없이 수익기대가 되는 자산이며 거기다 특정 성장섹터로 지수상승보다 더 기대되는 프리미엄이 있는 자산인것입니다 이러다보니 상대적으로 시간이 부족한 일반투자자는 상대적으로 난이도가 쉬운 ETF투자가 낫다고 하는것입니다
경제정책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금리가 낮아지게 되면 일어나는 현상들은 어떤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금리가 낮아진다는 말은 본질적으로 통화의 비용이 하락한다는 말입니다 즉 이자는 통화의 비용이라고 말할수 있으며 통화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저렴해진다는 의미이며 금리가 낮아짐으로써 자산의 할인율이 낮아지게 됩니다 채권이든 주식이든 자산은 미래기간에 대해서 시장금리로 할인을 해서 평가한다는 말입니다 즉 할인율이 감소하고 통화가치가 떨어지니 물가가 증가하고 자산이 증가하게 되며 이로인해서 금융의 유동성 증가로 신용창출승수가 증가할수 있고 이로인해서 일부는 실물로 일부는 금융자산과 부동산과같은 자산으로 유입되머 자산버블과 물가상승이 이루어지는 구조가 발생하는것입니다
주식·가상화폐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비트코인 신고가 경신의 배경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우선 비트코인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지표인 글로벌 M2유동성이 증가하고 있는게 가장 큰 요인입니다 글로벌 M2유동성이 올해에도 사상최고가를 연이서 경신하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거기다가 미국과 한국과 주요 선진국들이 기준금리 동결과 인하스탠스가 유지되고 있고 이런 흐름이 하반기에도 이어질것으로 보이면서 우호적인 유동성 환경이 조성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요인이 비트코인의 수급과 가격 상승 랠리를 부추기고 있으며 그러면서 이번에는 미국에서 크립토위크라고 해서 이번주부터 크립토와 관련되어서 중점적으로 정책을 논의를 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이런 기대감까지 강하게 작용이 되면서 비트코인이 랠리가 시작되고 있는것입니다
501
502
503
504
50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