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경제와 부동산 전문가 김가연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와 부동산 전문가 김가연입니다.
김가연 전문가
프리랜서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4년 11월 4일 작성 됨
Q.
이번에 다우지수에 새롭게 편입되고 편출기업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8일부터 편입 및 제외되는 종목이에요.편입종목: 엔비디아, 셔윈윌리엄스제외종목: 인텔, 다우도움이 되셨을까요?감사합니다.
2024년 11월 4일 작성 됨
Q.
금리와 환율 질문입니다. 좀 더 디테일하게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경제 개념은 무조건 쉽게 이해하시기만 하면 됩니다.금리와 환율만약에 다른 곳보다 예금금리가 높은 통장이 나왔다고 하면 금리가 높은 곳 이 통장에 돈을 넣겠죠? 이자를 더 많이 받을 수 있으니까요. 비슷하게 어떤 나라의 금리가 높으면 외화를 가진 해외투자자들이 금리가 높은 이 나라에 돈을 넣어서외환보유고가 올라가니 이 나라의 자국 통화 가치가 올라가 환율이 내려간다고 생각하시면 쉽습니다.금리와 채권금리가 1%인 채권이 있고, 내일 금리가 10%가 되서 나온 채권이 있다고 볼게요.오늘 채권이 10%라 이자를 더 받을 수 있는데 그러면 누가 1%인 채권을 살까요? 그래서 1%금리인 채권의 가격이 내려갈 수 밖에 없겠죠?금리가 오르면 채권 가격이 내려간다라고 이해하시면 쉽습니다.도움이 되셨을지요.감사합니다.
2024년 11월 4일 작성 됨
Q.
디플레이션과 스태그플레이션은 어떤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디플레는 물가가 내리는 경기침체,스태그플레이션은 물가는 오르는 경기침체인 것입니다.수요가 공급에 미치지 못해 물가가 내리고 재고가 쌓여 기업이 부도나고 실업자가 증가하며 임금을 지불하지 못하여재고가 다시 쌓이는 악순환이 일어나는 것이 디플레이션입니다.스태그플레이션은 원자재 공급 등의 문제로 발생하는 비용인상 인플레이션과 동시에 경기가 둔화되는 현상입니다.코로나 이후 세계 경제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 러-우 전쟁으로 전세계 곡물, 유가가 휘청이며 물가가 올랐고 (코로나 이후 돈을 푼 것이 물가 상승을 더 부추겼다는 의견이 많습니다.)그 물가를 잡기위해 금리 인상을 하니 경기침체가 더 심화되었습니다.이미 스태그플레이션이 지났다 vs 이제 스태그플레이션이 온다 의견이 분분합니다.
2024년 11월 4일 작성 됨
Q.
금투세는 뭐가 문제인건가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아무래도 주식의 보편성 때문에 그런 것 같습니다.사실상 부동산에 더 많은 종류의 세금이 매겨지는데요,부동산보다는 더 보편적으로/누구나 주식을 하기 때문에 반발하는 국민의 수 자체가 많아서가 아닐까 싶습니다.10명중 부동산에 매기는 세금을 내는 사람이 1명이라 나머지 9명은 부자가 내는 세금이라 여겨 반발하지 않지만,주식에 매기는 세금에 대해 체감하는 사람은 10명중 적어도 8~9명은 되지 않을까요?
2024년 11월 4일 작성 됨
Q.
금리와 환율에 상관 관계 알기쉽게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정말 단순하게 쉽게 비유하자면금리가 다른 곳 보다 높은 예금통장이 있다면 다른 곳에 돈을 넣지 않고 금리가 높은 통장에 넣을테지요.외화도 마찬가지로 금리가 높은 나라에 해외투자자들이 돈을 넣게 되고, 그러면 외화보유고가 늘어나고 자국통화 가치가 올라가서금리가 높아지면 환율이 내려간다고 보시면 됩니다.반대로 어떤 나라의 금리가 낮아진다면 해외투자자들이 나라 밖으로 돈을 인출하고 외화보유고가 낮아지고 자국통화가치가내려가서 환율이 올라간다이렇게 쉽게 이해하시면 됩니다 ^^
86
87
88
89
9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