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서호진 전문가
협성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4년 2월 1일 작성 됨
Q.
조선은 왜 말을 잘 기르지 못하고 말관리를 못했던 배경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지형상 불가능 했습니다.중장비로 아예 산을 깍아내는 지금도 동쪽에 산맥이 남아있는데조선시대에 뭐 방법이 있나요. 북쪽평원은 너무 추워서 말을 기르기 힘들고그나마 제주도쪽에 적당한 땅이있었지만 말을 배타고 옮겨야 해서 효율이 떨어 졌습니다또한, 이미 고려시대 부터 한반도는 대륙 진출보단 우주방어를 통한 국토유지를 우선시 했기 때문에수성전에선 쓸모없어지는 기병보다는 차라리 성벽에서 쓸 화포나 농사할 때 쓸모있는 소를 중요시 했구요물론 없는것보다 있는게 당연히 좋으니 조선측에서도 기병전력을 기르려 여러차례 시도를 했지만중국대륙 나라에선 '기병증가=조선이 침략하려 한다.' 라고 판단하는게 당연했기 때문에조공받을 때 말내놓으라고 계속 요구해서 조선말의 씨를 말려버렸습니다.
역사
2024년 2월 1일 작성 됨
Q.
조선시대 정도전이 불교를 탄압했던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당시의 불교는 지도층과 유착하고 신자들 돈뜯어서 땅놀이하는 부패한 부자들이었습니다.탄압을 안하는게 이상한 상태였죠.
역사
2024년 2월 1일 작성 됨
Q.
임진왜란 당시 왜군들은 이순신 장군의 제대로 된 성함이나 프로필을 몰랐다던데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전쟁직후라면 모를까, 몇번 교전이 있은 후엔 다이묘나 지휘관들은 당연히 이름 정도는 알고 있었습니다.아마 졸병과 장군의 입장차이를 실감하지 못해서 나온 질문인거 같은데근대 직후까지 졸병이란 그냥 명령따르면 그만인 존재라서적진 장군은 커녕 자기네 장군도 이름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습니다.
역사
2024년 2월 1일 작성 됨
Q.
최초 핵보유국은 어느나라였을까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국의 맨해튼 계획이 최초의 핵폭탄 개발이었습니다.그 후로 소련, 영국, 프랑스, 중국, 인도 순으로 개발해냈구요
역사
2024년 2월 1일 작성 됨
Q.
과거 삼국시대때 백제의 사람들이 현재의 일본에 건너가서 정착했다는 근거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국 역사서는 물론 일본쪽 역사서 《고사기(古事記》, 《일본서기(日本書紀)에도 그렇게 적혀있습니다.그런 기록이 없더라도백제와 일본이 자주 교류했다는 기록은 한중일 모든 나라에 기록이 있으니백제가 망했을때 유민들이 어디로 도망갈지는 뻔한 일이죠
역사
2024년 2월 1일 작성 됨
Q.
소설 속 주인공 홍길동이 실존 인물이라는데, 실제 어떤 삶을 살았는지 알고싶어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꽤 좋은 가문의 서얼로 태어나 가문의 백으로 조폭질을 하다 선을 넘는 바람에 잡혀갔고, 그 후로는 기록이 없습니다.특히 충청도에서 매우 악랄하게 날뛰어서 세금도 못가져갈 정도로 만들어버린게 결정타 였다고 전해지죠그냥 평범한 조폭인데 정치인 사생아라서 급이 좀 높았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역사
2024년 2월 1일 작성 됨
Q.
적자, 서자, 얼자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적자: 법적으로 정당한 부인인 처 에게서 태어난 자식서자: 양인(평민) 첩한테 태어난 자식, 계승권 없음얼자: 천민 첩한테서 태어난 자식, 계승권 없음이상입니다서자와 얼자는 처지가 비슷해서 대부분 서얼이라고 합쳐 불렀죠.대부분의 경우 양반의 서얼은 신분상 한단계 밑인 중인으로 분류되었고그나마 왕가의 서얼은 혈통보존을 위해서 좀 대우 해 줬습니다
역사
2024년 2월 1일 작성 됨
Q.
마취제가 없던 시절에 외과수술은 어떻게 했나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냥 깨어있는 상태로 잘랐습니다.대책이라고 해봤자 독한 술좀 먹이는 정도 였고그래서 쇼크사 하는 환자가 매우 많았죠
역사
2024년 2월 1일 작성 됨
Q.
임진왜란 후 종전이 빠르게 진행되지 않았던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전쟁을 끝내는거 말고는 한마음인게 하나도 없었으니까요일본지휘관은 그냥 패전도 아니고 역전패를 당했으니뭐라도 이득을 보지않으면 처형당할 각이고명나라 지원군도 황제가 억지로 밀어붙여서 온거라서 뭐 하나 이득보지 않으면 엄청난 적자고조선이야.. 자기나라가 전쟁터 였으니 당연히 배상을 받고 싶어했죠
역사
2024년 2월 1일 작성 됨
Q.
원균 장군을 왜 졸장이라고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실제로 능력이 처참한 사람이었습니다다른거 다 빼고 그냥 전투 하나만 봐도 충분히 증명되는 사실이죠.이순신 장군님을 모함하고서 자기가 삼도수군통제사가된 원균놈의 최초이자 최후의 해전 인 칠천량 해전.너무 참담해서 간단히 요약하자면, 원균은 적이 있는걸 알면서도 경계도 안하고 술퍼마시다가적의 유인작전 전부에 당한 결과 멘탈이 터져서 있던 배 모조리 태워먹고 도망갔습니다이걸 본 배설장군이 답이 없다고 생각해서 배12척을 끌고 탈영하지 않았으면이순신 장군님조차 "12척의 배가 남았다"라는 말을 못하고 졌을 지도 모르죠.....
246
247
248
249
25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