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설효훈 전문가
희망종합건축사사무소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전기·전자
2025년 1월 22일 작성 됨
Q.
투명 전극 재료로 주목받는 물질은??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투명 전극은 전기가 인가되면 빛을 통과시키는 전극을 말합니다. 그래서 모통 터치스크린이나 OLED등에 사용됩니다. 재료로는 인듐주석산화물로 높은 전도성과 투명도가 좋아서 사용되지만 너무 비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탄소 나노튜브 전기전도성이 높지만 균일하게 만들기 어렵고 그래핀은 겹층으로 만들기 어려우나 우수한 전도성과 투명도가 있습니다.
전기·전자
2025년 1월 21일 작성 됨
Q.
초전도체는 저온에서 전기저항이 사라지는 성질을 나타내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특정 온도이하에서 초전도체는 전자가 쌍을 이루어서 물체의 원자와 부딪히지 않고 흐르기 되면서 저항이 발생되지 않게 됩니다. 그래서 저항이 없어서 별도 에너지가 손실되지 않는 원리입니다.
전기·전자
2025년 1월 21일 작성 됨
Q.
안녕하세요. 언제나 당신 편입니다. 혹시 양자 컴퓨터의 기본 원리와 응용분야가 어떻게 되는지요 그리고 양장 컴퓨터의 장단점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양자컴퓨터는 큐비트를 활용해서 0과1이 공존해서 기존 컴퓨터의 0과1이 공존하지 못하는 단점을 개선하여서 휠씬빠른 연산처리가 가능합니다. 그로인해서 더빠르게 시뮬레이션하고 계산하는들이 가능해서 인공지능에 활용되어서 자율주행, 머닝러신등에 활용되고 또 신약개발이나 신소재 개발등에도 활용됩니다. 하지만 아직은 불안정해서 오류가 발생되고 비용이 비싸서 이런 단점을 보안해야합니다.
전기·전자
2025년 1월 21일 작성 됨
Q.
전자기기의 범위를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전자기기와 설비, 시스템의 구분이 참어렵기는 합니다. 보통 전자기기라고하면 개인이 사용하거나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자제품을 말하고 설비는 공장이나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대형기기등을 말합니다. 그리고 시스템은 이런 설비 장치들을 어떤 목적으로 연결해서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전기·전자
2025년 1월 21일 작성 됨
Q.
전선이 꼬여 있는거하고 펴져 있는거하고 길이가 같으면 전자가 이동하는 속도는 같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전자가 전선에서 이동하는 것은 전압차에 의해서 전자가 이동하는데요. 전자의 이동을 방해하는 것은 전도성 재료의 원자와 부딪히면서 발생되는 저항입니다. 따라서 전도성 재질이 같고 길이가 같으면 꼬여 있어도 전자가 이동할떄 방해하는 원자가 동일해서 속도는 동일합니다.
전기·전자
2025년 1월 21일 작성 됨
Q.
스마트폰이 터치가 되는 장갑과 안되는 장갑 차이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스마트폰의 경우 스크린에 약한 전류가 흐르는데 그 전류의 흐름이 변하는 것을 감지해서 터치가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스마트폰 터치가 되는 장갑의 경우 전도성 재질로 만들어져서 전류의 흐름을 변화시킬수 있어서 터치가 되는 것입니다.
전기·전자
2025년 1월 21일 작성 됨
Q.
5G를 쓰고있는데 각 4G 5G 6G의 뜻과 무슨차이인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4G, 5G, 6G등에 사용되는 G는 Generation로 통신 기술의 세대를 말합니다. 쉽게 말하면 4세대, 5세대, 6세대 통신 이렇게 말하는데 약자로 해서 G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전기·전자
2025년 1월 21일 작성 됨
Q.
국내의 sk온 lg화학같은 기술력 좋은 베터리회사들이 있는데 왜 byd제품을 테슬라는 쓰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BYD는 중국 기업이기는 하나 리튬이온 배터리중에도 리튬철인산 배터리의 기술력이 강한 기업입니다.특히 이 리튬철인산 배터리의 경우 안전성과 긴수명과 특히 가격이 저렴하여서 안전성과 수명 가격등이 모두 잘맞아서 전기차 배터리에 주로 많이 사용되는 것입니다. 다른 배터리에도 LG나 SK등이 많이 사용되지만 특히 전기차에는 BYD가 강점을 보이고 있습니다.
전기·전자
2025년 1월 21일 작성 됨
Q.
전기는 생산하는 족족이 바로 송전을 해서 가정까지 보내는데 발전소 용량단위로 전기 저장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모든 전기를 만드는 발전소는 에너지를 저장할수 있습니다. 다만 원자력 발전소의 경우에는 24시간 지속적으로 에너지를 생산하기 떄문에 바로 사용해서 배터리가 필요 없지만 굳이 배터리를 만들어서 저장은 가능합니다. 기본적으로 원자력과 수력 화석등의 발전소는 비용이 낮고 지속적으로 에너지 생산이 가능해서 배터리 사용보다는 지속적으로 공급해서 바로 사용하고 나머지 환경등의 영향을 받는 에너지를 저장했다가 사용합니다.
전기·전자
2025년 1월 20일 작성 됨
Q.
ear phone 의 유래는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이어폰은 19세기 후반 미국에서 처음 전화기가 개발되면서 전화 교환수들이 헤드셋과 같은 통신 장비를 사용하는 것이 시초가 되었다고합니다.
101
102
103
104
10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