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빛속도랑 소리 속도랑 얼마나 차이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흔히 #광속이라 말하는 #빛의속도는 어느 정도일까? 진공 상태에서 299,792,458m/s 의 상수이며 c로 표현한다. 그냥 편리하게 1초에 약 30만Km 로 생각하는 게 편할 듯 c는 정보가 전달 될 수 있는 가장 큰 속도이고, 질량이 있는 모든 물질은 이 보다 작다. 또는 이 속도는 빛을 내는 물체나 관측자의 운동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지구에서 달까지 1.3광초지구에서 태양까지는 8광분 #음속은 어느 정도일까?지식백과에 음속에 대해 이렇게 표현했다. '매질을 통과하는 소리가 갖는 전파속도'초등학교 시절 우리가 배운 음속은 이렇다. '음속은 소리의 속력으로, 초속 340m 정도 돼요' 그 때 선생님께서는 번개와 천둥 소리를 예로 들어 설명했던 기억이 난다. '번개는 1초에 30만km이고, 천둥소리는 1초에 340m라서 번개 후 조금 있다가 천둥소리가 들린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옛날 석빙고의 과학적 원리가 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석빙고의 과학적 원리를 푸는 열쇠는 세 가지다. 첫째는 특이한 천장 구조다. 화강암 재질의 아치형 천장을 1~2m 간격으로 몇 개씩 이어 축조했다. 둥글게 파인 공간은 더운 공기를 위로 모으는 에어 포켓 역할을 했다.다음은 지붕 위로 난 세 개의 환기 구멍이다. 이 환기구가 에어 포켓에 갇힌 공기를 밖으로 빼냈다. 그 덕분에 복사열로 데워진 공기가 위로 나가고 아래의 찬 공기는 오래 남을 수 있었다. 또 하나는 물을 빨리 빼내는 배수로와 천연 단열재다. 얼음과 벽, 천장 사이를 짚이나 왕겨 등으로 채워 단열 효과를 높였다.이 같은 ‘석빙고 원리’는 식품 저장고나 첨단 에어컨, 냉장고에 활용되고 있다. 최근 등장한 ‘바람 없는 에어컨(무풍 에어컨)’도 석빙고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히트 상품이다. 시원하길 원하면서도 냉방 직풍은 피하고 싶은 소비자의 상반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바람 없이 저온을 유지하는 석빙고 방식의 복사냉방 원리를 적용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