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태양처럼 스스로 빛을 내는 별이 관측된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모든 별 중 질량으로 상위 약 5%에 속하는 태양 은 분광형 G형의 주계열성입니다.태양은 G형 중에서도 비교적 크고 밝은 편인 G2V형으로 표면온도는 5,778K입니다.우연히도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별인 센타우루스자 리 알파(알파 센타우리) 3중성계 중 가장 무겁고, 크고, 밝은 별인 A의 분광형 역시 G2V형입니다.센타우루스자리 알파 A는 태양과 분광형이 같지만 지름은 태양의 약 1.100배, 질량은 약 1.2234배, 표면온도는 5,790K로 우리 태양보다 약간 더 큰 별입니다.하지만 G형 항성 자체가 상당한 질량의 소유자인 만큼 두 번째 별을 찾기 위해서는 조금 더 멀리가야 합니다.태양과 두 번째로 가깝고 태양처럼 동반성이 없는G형 주계열성은 항성계로는 19번째, 개별 항성으로는 태양에서 29번째로 가까운 고래자리 타우(Tau Ceti)입니다.
Q. 곤충 다리가 6개가 아니면 무조건 곤충이 아닌가요? 오리너구리 같은 예외적인 곤충은 없나여?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와 가장 가까운 곳에 있어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동물이 바로 곤충이랍니다. 곤충은 몸이 머리, 가슴, 배로 나뉘고 다리가 6개인 동물이에요. 곤충은 전체 동물 가운데 약 4분의 3이나 차지할 만큼 그 수가 많고 종류도 다양해요. 지금까지 기록된 종류만 해도 약 100만 종이 넘는답니다.거미, 지네 등을 곤충이라 부르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위 조건을 충족하면 곤충, 아니라면 다른 이름의 동물로 분류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행성이 자전을 안하는것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두 천체가 계를 이루어 운동할 때, 두 천체 중 한 천체의 자전주기와 공전주기가 같은 것.본문달이 지구 주위를 한 바퀴 도는 공전주기는 27.3일이다. 그런데 달 자체가 한 바퀴 회전하는 자전주기도 똑같이 27.3일이다. 달과 지구의 두 개의 천체는 서로 묶여 계를 이루며 운동하고 있는데, 달의 예처럼 한 천체의 공전주기와 자전주기가 같은 것을 '동주기 자전'(同週期自轉, synchronous rotation)이라고 한다. 만약 달의 표면에서 지구 방향으로 깃발을 꽂는다면, 깃발의 맨 끝 부분은 항상 지구를 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지구의 입장에서 달을 볼 때도 우리는 달의 한 면만을 계속해서 보게 된다.동주기 자전이 나타나는 이유달의 중력이 지구에 작용하면 지구 표면의 해수가 달을 향하는 방향으로 타원의 형태로 찌그러지면서 밀물과 썰물이 만들어진다. 이와 마찬가지로 지구의 중력은 달에 작용하여 달의 모양을 변화시킨다. 달에는 해수가 없지만, 고체인 암석도 어느 정도의 모양 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 즉 달의 모양은 지구 방향으로 약간 당겨져, 장축의 방향이 지구를 향하는 미세한 타원 모양을 하고 있다. 만약 고체의 모양 변화가 심해지면 암석이 끊어지면서 단층이 생기고 지진이 발생할 것이다. 만약 과거 시기에 달이 자전 속도가 지금보다 빨라 동주기 자전이 아니었다고 가정하면, 타원의 장축이 지구 - 달을 연결하는 선과 일치하지 않고 틀어지게 된다. 그 까닭은 달을 구성하는 암석이 부풀어올라 타원 모양이 되는 속도보다 달이 자전하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이다. 이때 타원 모양인 달의 장축은 지구와 가까운 부분과 지구와 먼 부분이 나뉘게 되고, 이 둘은 지구에 의해 방향과 크기가 다른 만유인력(중력)을 받게 된다. 상대적으로 지구와의 거리가 가까운 부부은 만유인력의 크기도 더 크다. 두 부분의 만유인력 차이(또는 합력)는 달이 현재 자전하는 것을 억제하는 힘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달의 자전 속도는 점차 느려지게 되는데, 이 과정은 타원의 장축이 지구-달을 연결하는 선과 일치하는 위치가 될 때까지 진행된다. 그 결과 긴 시간이 지난 오늘날 달은 동주기 자전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지구-달 시스템만의 특별한 현상이 아니다. 행성 주위를 공전하는 많은 위성들이 달처럼 동주기 자전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