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구의 공전 속도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는 시속 약 11만km, 즉 1초에 약 30km의 속도로 태양 주위를 달린다.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도는 운동을 '공전'이라고 한다.그러나 지구만 태양 주위를 돌고 있는 것이 아니다. 지구 외에 다른 행성(금성, 화성, 목성 등)들도 모두 태양을 중심으로 돌고 있다. 그리고 방향도 모두 지구의 자전 방향과 같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돈다.더구나 자세히 보면 지구를 포함한 모든 행성들의 공전 궤도의 모양은 원이 아니라 타원이다. 다시 말하면,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가 항상 일정한 상태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멀어졌다 가까워졌다 한다는 이야기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구의 질량은 불변한다는 논리는 맞는지~?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 전체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보자. 과거와 현재는 질량 보존의 법칙에 따라 총 질량은 유지되는 것이다. 그러면 인간이 존재하지 않던 공룡의 시대에 질량과 공룡이 없는 현 시대의 질량은 같다. 공룡이 사라진 시대에 공룡이 차지했던 질량은 무엇으로 형태 변환을 했을까? 지금 인류 78억 명의 질량은 과거의 공룡에서 상태 변화를 한 것은 아닌지? 이것이 사실이라면 인간의 살과 뼈는 공룡 시대의 살과 뼈가 복잡하고 수천 만 년을 화학적으로 변해서 현재로 환원된 것일 수 있다. 이것 때문에 어떤 종교에서는 억겁의 시간이 지난 뒤에 인간은 환생한다고 하는 것인지 모르겠다.사실 여부를 떠나 질량 보존의 법칙은 밀폐된 닫힌계에 한정이 된다. 우리가 사는 지구가 밀폐된 하나의 시스템이 아니라 지구가 생성된 이후 우주에서 무수히 많은 질량 변화를 가져오는 이벤트가 발생한 것은 분명하다. 그래서 질량 보존의 법칙은 예외가 존재하는 것이다. 질량은 열린계에서 일반적으로 보존되지 않는다. 계 내부나 외부로 다양한 형태의 에너지들이 투입될 수 있거나 나갈 수 있는 경우가 바로 열린 시스템이다. 무척 큰 화학적 변화인 방사능과 핵반응이 포함되지 않는다면, 계에서 빠져나가는 열, 일, 전자기적 방사선은 지구 시스템인 지구 계의 질량 감소량을 측정하기에는 사실 너무 작다. 질량과 에너지가 전부 닫힌계인 고립계에서의 질량 보존 법칙은 어떤 관성계에서 봐도 현대 물리학적으로 보면 참이 된다. 하지만 분명하게 열린 시스템과 내부의 거대한 화학적 변화는 명확하게 예외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질량은 완벽하게 보존도 되지 않는다. 질량 보존의 법칙은 고전적 이론에서만 참인 근사적인 물리 법칙으로 생각될 수 있다. 그것은 특정한 높은 에너지 활용을 제외하고는 거의 참이다. 그러나 특수 상대성 이론이나 양자역학을 고려하면 내용은 달라진다. 또한 보존의 개념에 특정한 어려움이 있다. ‘물질’이 과학적으로 잘 정의된 단어가 아니라는 점이다. 상대성 방정식이 ‘질량이 없는’ 입자들, 예를 들어 광자들이 고립계에 질량과 에너지를 더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역학의 범위나 정의에 따라 질량 보존의 법칙은 다양한 참과 거짓이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과거로 가는 순간 모든 물리 법칙의 인과관계가 깨진다'를 쉽게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시간여행과 패러독스시간 여행이 패러독스로 간주되는 이유는 여러 가지입니다. 패러독스는 상반되는 개념이나 이론이 동시에 존재할 때 발생하는 논리적 모순을 의미합니다. 시간 여행과 관련된 패러독스는 주로 인과 관계의 문제와 연결되어 있습니다.할아버지 패러독스 (Grandfather Paradox)이 패러독스는 시간여행자가 과거로 돌아가 자신의 할아버지를 해하는 경우, 그 시간여행자는 결코 태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문제를 제기합니다. 만약 시간여행자가 태어나지 않았다면, 그는 과거로 돌아가 할아버지를 해할 수 없었을 것이고, 이는 논리적 모순을 야기합니다.정보의 패러독스 (Information Paradox)시간여행자가 과거로 가서 현재의 지식을 전달한다면, 이 정보의 원래 출처는 어디인가라는 질문이 제기됩니다. 예를 들어, 시간여행자가 과거의 과학자에게 현대 과학의 이론을 가르쳤다면, 이 이론은 과거에서 시작되어 현재로 전달되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 이론은 처음에 어떻게 생겨났는가라는 질문이 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