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로 가는 순간 모든 물리 법칙의 인과관계가 깨진다'를 쉽게 설명해주세요.
과거로의 시간 여행을 가는 건 절대 불가능하다고 하는데요.
과학자들의 생각에 의하면 과거로 가는 순간 모든 물리 법칙의 인과관계가 깨져버리기 때문이라고 하는데 이게 무슨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시간여행과 패러독스
시간 여행이 패러독스로 간주되는 이유는 여러 가지입니다. 패러독스는 상반되는 개념이나 이론이 동시에 존재할 때 발생하는 논리적 모순을 의미합니다. 시간 여행과 관련된 패러독스는 주로 인과 관계의 문제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할아버지 패러독스 (Grandfather Paradox)
이 패러독스는 시간여행자가 과거로 돌아가 자신의 할아버지를 해하는 경우, 그 시간여행자는 결코 태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문제를 제기합니다. 만약 시간여행자가 태어나지 않았다면, 그는 과거로 돌아가 할아버지를 해할 수 없었을 것이고, 이는 논리적 모순을 야기합니다.
정보의 패러독스 (Information Paradox)
시간여행자가 과거로 가서 현재의 지식을 전달한다면, 이 정보의 원래 출처는 어디인가라는 질문이 제기됩니다. 예를 들어, 시간여행자가 과거의 과학자에게 현대 과학의 이론을 가르쳤다면, 이 이론은 과거에서 시작되어 현재로 전달되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 이론은 처음에 어떻게 생겨났는가라는 질문이 남습니다.
과거로 가는 것이 가능하다고 가정하면, 현재에서 과거로 돌아가 과거의 사건을 바꿀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변화는 '인과관계'를 깨뜨릴 수 있는데, 인과관계란 원인과 결과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물리 법칙의 기본 원칙입니다.
예를 들어, 과거로 돌아가서 어떤 중요한 사건을 막는다면, 그 사건이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에 현재의 상황도 달라져야 합니다. 그러나 현재의 당신이 과거로 갈 수 있었던 것 자체가 그 사건이 일어났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면, 그 사건을 막는다는 것은 당신이 과거로 갈 수 있는 원인 자체를 없애는 것과 같습니다. 이는 '인과관계'의 모순을 일으키며, 물리 법칙에 어긋나는 상황을 만들어냅니다.
간단히 말해, 과거로 가서 무언가를 바꾼다는 것은 현재의 원인과 결과를 깨뜨리는 것으로, 이는 물리 법칙이 지켜지는 우리 우주에서는 모순된 상황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시간 여행이 가능하다면, 어떤 사건이 일어난 이후에 그 전으로 돌아가서 그 사건을 변경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생기게 됩니다. 이러한 시나리오는 원인과 결과를 연결하는 인과관계의 원리를 깨뜨릴 수 있습니다.
인과관계는 물리 법칙에 의해 설명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건이 발생하게 되면 그에 대한 결과가 발생하는데, 이들 사건들은 시간의 흐름에 의해 상호작용하고 변화합니다. 따라서 이전의 사건을 변경하려고 한다면, 이전의 인과관계를 무시하고 새로운 결과를 만들어내야 합니다.
하지만 이는 매우 복잡하고 모순적인 상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과거에서의 변경이 파란색 벌룬을 일으킬 수 있으며, 다양한 시간선의 존재 등과 같이 논리적인 모순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당장의 과학적 지식과 현대 물리 법칙에 따르면 과거로의 시간 여행은 불가능하다고 믿어지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과거로 가는 순간 모든 물리 법칙의 인과관계가 깨진다'는 말은 시간을 역행하여 과거로 돌아간다면, 현재의 물리 법칙이 유효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시간 여행이 이론적으로 가능하다면 발생할 수 있는 현상으로, 현재의 물리 법칙이 깨지거나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시간을 꺼꾸로 간다면 물리학적 모순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인과 관계의 역전현상이 일어날 수 있으며, 열역학적 문제, 에너지가 자유롭게 전달되거나 증가할 수 있어 제2법칙을 깰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간여행은 물리학적인 어려움과 모순성을 강조한 표현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과거로 가는 순간 모든 인과법칙이 깨지는 이유를
이해하기 위해 다음 두 가지 시나리오를 상상해 보세요.
시나리오 1: 과거의 나에게 충고하기
당신이 과거로 가서 과거의 자신에게 다가가 미래에 일어날
중요한 사건에 대한 충고를 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당신이 과거의 자신에게 "어떤 주식에 투자해야 한다"
"어떤 사람과는 만나지 말아야 한다"고 조언한다고 상상해 보세요.
과거의 당신이 그 조언을 따른다면, 원래 미래와는 다른 미래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빙ㅣ과거를 바꾸면서 미래도 함께 바뀌게 되는 것입니다.
시나리오 2: 과거의 사건을 막기
당신이 과거로 가서 과거에 일어났던 사건을 막는다고 가정해 봅시다.
당신이 과거로 가서 역사적으로 중요한 인물의 죽음을 막는다면
그 이후의 역사는 완전히 달라지게 될 것입니다. 과거의 중요한 사건을 막는 것은 미래의 흐름을 완전히 바꾸는 결과를 가져올 것입니다.
이 두 가지 시나리오에서 볼 수 있듯이
과거로 가는 것은 인과법칙을 위반하는 행위입니다.
과거를 바꾸면서 미래도 함께 바뀌게 되기 때문에, 원래 미래와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미래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이는 곧 모든 인과법칙이 깨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과거로 가는 것이 실제로 가능한지에 대한 과학적 논쟁은 여전히 진행 중입니다.
시간 여행이 가능하다고 가정한다면
과거로 가는 것은 인과법칙에 위반되는 행위이며
그 결과는 예측 불가능한 심각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과거로 가기위해서는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따라 빛의속도보다 빠르게 움직이거나 음의 질량을 갖는 물질이 존재해야 합니다.
즉, 이러한 것들은 현실에서는 존재할 수 없기때문에 물리법칙을 무시한 이론적 사고에서만 가능하다고 합니다.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과거로 가는 순간 모든 물리법칙의 인과관계가 깨진다는 말은 상대성 이론과 양자역학의 근본적인 모순을 의미합니다.
상대성 이론은 아인슈타인은 중력에도 전력처럼 일정한 범위, 즉 '장’이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중력장이 공간 속에서 확산되는 것이 아니라 중력장 자체가 공간이라는 것입니다. 이로써 공간은 물질 중 하나가 된 것이지요.
양자역학은 입자들이 공간을 채우는데, 자갈 같은 물체가 아니라 기본적인 '장’에 상응하는 '양자’로 이루어져 있다고 설명합니다. 이 입자들은 흐름이 있는 작은 파동으로, 상호작용이 일어날 때만 존재한다고 합니다. 양자역학의 법칙 속에 존재하는 것들은 절대 안정적이지 않고, 상호작용이 계속 이어진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러한 이론들은 우리가 알고 있는 물리법칙을 깨뜨리고, 우주와 입자들의 본질을 탐구하는 노력에서 비롯되었습니다. 그러나 아직도 이 두 이론은 서로 모순되기 때문에 물리학자들은 이 두 가지를 어떻게 통합할 수 있을지 연구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과거로 간다는건 시공간의 변형을 유도하는것이고
이는 빛의속도 이상으로 이동해야된다는건데
빛의속도 이상의 이동속도는 븐가능한거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