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강수성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수성 전문가입니다.
강수성 전문가
경기도교육청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4년 9월 10일 작성 됨
Q.
잠을 자면서 아기가 계속 엎드려자도 괜찮은걸까요?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아직 뒤집기를 못하는 아이는 가급적이면 바르게 눕혀 재우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돌연사하는 경우도 많아, 불안요소를 그대로 가져가는 것은 좋지 않은 것 같습니다. 침구가 영아용이고 아기 침대에 따로 자며 잘때 주변에 호흡을 방해할 만한 것들이 없다면 괜찮을 것 같지만 자는 중에 매번 신경써주는 것도 쉽지 않은 일이니 목을 가눌수 있을 때까진 바꿔주는 것이 좋겠네요.
놀이
2024년 9월 10일 작성 됨
Q.
여자아이 태권도 와 발레 어떤게 더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도움되는 것 보다 아이의 성향과 선호를 보고 판단하는 것이 더욱 좋지 않을 까 생각 됩니다. 두 운동 모두 꾸준하게 하는 것은 아이들 성장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있으니 아이와 얘기를 충분히 상의를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발레의 경우는 아이가 바른 자세를 갖는데 도움이 많이 된다합니다. 태권도는 움직임도 많고 활동적인 아이에게 발레보다 더 맞지 않을까 생각은 됩니다.
양육·훈육
2024년 9월 10일 작성 됨
Q.
초등학생 아이가 자고 일어나면 이불에 지도를 자주 그리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근래 빈도가 잦다면 야뇨증을 고려해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야뇨증은 다양한 이유가 있다고 하니 병원에서 의사와 상담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혹 스트레스가 많은 경우 이에 대한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것, 취침전 꼭 소변을 보고 자는 습관, 탄산이나 그외 이뇨작용을 상승시키는 음료, 과일 등은 섭취를 자제 시키는 등의 조치를 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양육·훈육
2024년 9월 10일 작성 됨
Q.
문화센터만가면 자꾸 멍해지고 소극적으로 변하는 아기 괜찮은걸까요?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소극적이고 내성적인 아이 일 경우 그럴 수 있습니다. 저희 아이가 똑같았던 것 같네요. 항상 활동을 시작하면 겉에서 보고 관찰하는 시간이 다른 아이보다 많고, 그모습이 멍하게 보이고 소심해보인 것 같습니다. 그런 성향을 가진 아이는 그대로 충분한 시간을 주고 응원해주고 독려해준다면 큰 문제 없이 성장할 수 있습니다. 단 성장하면서 운동이나 신체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주는 것이 도움이 많이 되는 것 같습니다.
유아교육
2024년 9월 9일 작성 됨
Q.
언제부터 선생님의 권위가 이렇게 떨어졌을까요?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권한은 날이 갈 수록 없어지고, 책임은 날이 갈 수록 늘어나니 말한마디, 행동하나에도 처벌위험이 커지는 것 같습니다. 물론 과거처럼 폭력을 정당화 하거나 체벌을 원하는 것은 아니나 지금의 상황을 봐서는 개선의 여지가 크게 없어보이는 것이 안타까울뿐입니다.
유아교육
2024년 9월 9일 작성 됨
Q.
공부하는건 어렵고 학원은 다니고 싶은 아이 어떻게?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부모님과 아이의 우선순위를 잘 생각해서 학습을 하면 될 것 같습니다. 학습이 주지교과 학습만을 뜻하는 것은 아니고 아이가 관심있어하고 배우고 싶어하는 다른 분야라도 우선순위가 높다면 그 기회를 줘보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다만 학교 학습에 대한 부진이 심할 경우는 최소한의 공부라도 꾸준히 하게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자칫 공부를 포기하는 학생들이 그외 많은 학습에 대한 의욕까지 떨어지는 경우가 많기도 하고, 무력감에 빠지는 경우도 많기 때문입니다.
유아교육
2024년 9월 9일 작성 됨
Q.
아이들 요리 같은 경우는 몇 살 부터 해주는 것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칼이나 열을 가하는 조리기구가 없이도 만들수 있는 요리를 해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칼이나 가열기구는 초등 고학년이 되어도 위험하고 다루기 쉽지 않습니다. 재료를 섞어서 만들기를 완료하는 요거트나 샐러드류, 카나페나 샌드위치 처럼 재료를 쌓아서 먹을 수 있는 것들은 칼이나 가열기구 없이도 충분히 재밌게 만들어볼 수 있습니다.
유아교육
2024년 9월 9일 작성 됨
Q.
아이가 숙제를 잘 해가지 않을때 어떻게 해야 되죠?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모든 활동의 시작을 숙제로 시작하고 숙제를 하지 않았을 경우 놀이나 그외 활동에 패널티를 주는 것이 필요할 듯 합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숙제는 꼭 해야하는 것이고 할일부터 끝내고 다음 다른 활동들을 하는 것임을 인지 시켜주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9월 9일 작성 됨
Q.
아이는 보통 몇살까지 의사표현을 우는걸로 할까요?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의사표현을 말로 할 수 있을 때까지는 많이 우는 편입니다. 단 문제가 생겼을 때 해결하는 방식으로 주로 우는 것을 사용하고 강화가 되어 있다면 말을 잘하게 되어도 울면서 상황을 모면하거나 해결하려할 겁니다. 그땐 아이에게 울거나 떼쓰는 건 바른 의사전달방법이 아님을 인지시켜주고 바르게 표현할 때까지 기다려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양육·훈육
2024년 9월 9일 작성 됨
Q.
아이가 학교에서 친구들과 갈등을 겪을 때 부모가 어떻게 개입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학교폭력사안이라든지 아이가 스스로 해결하기엔 큰 문제일 경우가 아니라면 아이가 스스로 해결 할 수 있게 조언자의 역할을 해주시는 것이 좋은 것 같습니다. 물론 이때 아이의 말만 듣고 조언을 해준다면 객관적인 시각으로 문제를 해결 하지 못할 때가 많습니다. 아이들은 본인이 유리한 쪽의 기억과 말 만 전달하는 경향이 많기 때문입니다. 아이가 갈등이 잦은 편이라면 학교 담임교사와 상담도 해보시고 학교에서 어떤상황에서 어떤 이유때문에 주로 갈등이 일어나는 지 살펴보세요.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조언을 해주시거나 필요하다면 상담을 요청해서 진행하는 것도 좋습니다.
141
142
143
144
14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