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초등교육, 수학, 친구관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초등교육, 수학, 친구관계, 전문가입니다.
좌승협 전문가
제주 백록초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놀이
2023년 12월 20일 작성 됨
Q.
7살 아이와 힘께하기 좋은 운동을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풍선 튕기기, 풍선 주고 받기, 비눗방울 놀이, 달리기, 줄넘기등 간단한 놀이가 매우 많습니다. 또는 같이 놀이터에서 잡기 놀이를 해도 좋아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12월 20일 작성 됨
Q.
물건에 소유욕이 강한 아이는 어떻게 교육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소유욕이 강한 경우 자신의 물건을 남한테 빌려주기 또는 자신의 물건이지만 N 등분 가능한 것을 남과 나누어 쓰고 그 과정에서 기쁨을 느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12월 18일 작성 됨
Q.
코고는 아이의 잠자리 고침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만약에 코고는 소리가 크거나 드르렁드르렁 하는 소리가 거슬린다면 이비인후과를 방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많이 피곤해서 자는 것도 아닌데 코를 많이 본다면 베개 문제 돈은 코 구조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 합니다
유아교육
2023년 12월 18일 작성 됨
Q.
5살 되는데 영어유치원이 꼭 필요할까요?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어린아이 다른 나라 언어를 습득 하는 것은 매우 빠른 속도로 습득 할 수 있게 만들어 줍니다 하지만 영어를 잘 하게 된 만큼 한글이 지쳐 질 수 있습니다 또한 영어 유치원 다닐 때는 잘 하지만 영어 유치원이 끝나고 나서 초등학교에 입학 할 경우 기존 영어를 많이 잊게 됩니다 다른 짐이 영어를 보낸다고 꼭 보낼 필요는 없습니다 우리 아이 현재 상황과 가정에 상황을 고려해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12월 18일 작성 됨
Q.
겨울철 아이 체중관리를 위해 아파트 오른 운동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어린나이에 계단을 오르락 내리락 하는 것은 그렇게 좋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달리기 또는 가벼운 줄넘기 등을 이용하는 것이 훨씬 좋습니다 차라리 운동장에서 공을 차고 노는 활동을 좀 더 늘리는 게 어떨까요
유아교육
2023년 12월 18일 작성 됨
Q.
유치원과 어린이집은 어떻게 다른 건가요?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유치원과 어린이 집은 교육과정상 조금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유치원에서는 낮잠을 자지 않습니다 그리고 방과 프로그램 등이 어린이 집보다 조금 다양하게 구성 되어 있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12월 17일 작성 됨
Q.
37개월 여아인데요^^ 밥을 먹을때 집중이 좀 안되는거 같아요. 어떻게 하면 집중을 시킬 수 있을 까요??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야채의 경우 거의 대다수의 아이들이 잘 안 먹으려고 하는 음식 중 하나입니다. 밥을 먹을 때 집중 못하는 것은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만, 일반적으로 영상 틀어주기, 엄마 아빠가 식사하면서 핸드폰하기 등 뭔가 아이의 시선을 빼앗는 것들이 있어서 그렇습니다.밥 먹는 시간에는 밥만 먹는거야를 오랜 기간 꾸준히 말해주세요. 움직이면 절대로 직접가서 먹어여주지 않아야 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12월 17일 작성 됨
Q.
저희 아이가 밥 먹는 거를 너무 싫어하는 거 같아요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와 함께 요리만들기 놀이를 해보는 건 어떨까요? 또는 식당가게 역할극을 통해 아이의 흥미를 유발하는 것도 좋아요
유아교육
2023년 12월 17일 작성 됨
Q.
아이들 언어 발달에 좋은 것들은 어떤게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언어발달을 위해서는 많이 듣고 따라해야 합니다. 율동과 함께 부를 수 있는 노래, 책 읽기, 인형놀이등이 있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12월 17일 작성 됨
Q.
초등학생 아이가 눈물이 많습니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개인의 성향 때문에 눈물이 많을 수 있습니다 눈물을 흘릴 때 흘릴 때는 왜 흘리는지 눈물이 그칠 수 있는 방법은 없는지 같이 고민해 보는 것도 중요합니다 운다고 다 해결되는 것이 아니다. 눈물을 조금씩 참아보자라고 이야기해주세요
31
32
33
34
3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