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최혜정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혜정 전문가입니다.
최혜정 전문가
한우리독서토론논술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놀이
2024년 8월 4일 작성 됨
Q.
학교에서 제공되는 급식을 남기지 않고 모두 먹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최혜정 보육교사입니다.예전에는 학교 급식을 남기지 않고 모두 억지로 먹이기도 했는데요. 요즘에는 남기는 것에 크게 신경쓰지 않습니다. 먹기싫은 음식을 억지로 먹이는게 아동 학대라고 이야기가 나오기도 했기 때문인데요. 아이가 학교에서보다 집에서 편식하지 않도록 다양한 음식을 제공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유아교육
2024년 8월 4일 작성 됨
Q.
초등학교 사회 역사관련 내용 원래 이렇게 어려운가요?
안녕하세요. 최혜정 보육교사입니다.초등 5학년이 되면 지리와 세계사가 나오기 시작하면서 아이들이 많이 힘들어합니다. 이럴경우 아이들에게 배경지식을 심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교과 관련된 책을 꾸준히 읽는 것이 좋으며 비문학 책을 읽는 것도 많은 도움이 됩니다.
양육·훈육
2024년 8월 4일 작성 됨
Q.
휴대폰을 너무 많이 보는 아이 교육 어쩌죠?
안녕하세요. 최혜정 보육교사입니다.휴대폰을 너무 많이 본다면 규칙을 정하고 폰 사용시간을 정해야합니다. 자극적인 화면에 오래 노출될 수록 좋지 않습니다. 아이와 함께 대화도 많이 하고 좋은 시간을 많이 가지며 아이의 즐거움을 채워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양육·훈육
2024년 8월 3일 작성 됨
Q.
아이가 갖고 싶은 거를 뭐든지 사 줘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혜정 보육교사입니다.아이가 가지고 싶은 물건을 뭐든 사주지 않으면 ㆍ딉니다. 그리고 돈에 대한 소중함을 계속 이야기 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8월 3일 작성 됨
Q.
아이가 탄산음료를 너무 좋아하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최혜정 보육교사입니다.탄산음료에는 당과 색소가 많이 들어가 있어서 5살 아이가 먹기에는 좋지 않습니다. 아이가 계속 찾더라도 단호하게 먹이지 않는게 좋습니다. 탄산이 왜 안좋은지 이유를 눈높이에 맞게 설명해주고 물이나 보리차등을 주는것이 좋습니다.
유아교육
2024년 8월 3일 작성 됨
Q.
32개월 언어지연.. 왜그러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최혜정 보육교사입니다.아이가 말을 하는 시기는 다를 수 있지만 32개월 아이의 평균 언어능력과는 조금 다른 모습인 것 같습니다. 티비만 보여주는 건 언어발달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언어는 상호작용 경험으로 발달되므로 아이와 많은 대화를 하는게 중요합니다. 아이의 눈을보고 감정을 많이 나눠보세요. 그리고 관심을 가지고 따뜻한 질문과 답을 해보세요.
놀이
2024년 8월 3일 작성 됨
Q.
아이들에게 생산적이고 즐거운 경험을 시켜 주고 싶은데요 뭐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혜정 보육교사입니다.요즘은 너무 더워서 나가지도 못하고 정말 힘든시기인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실내로 다녀야하는데요. 워터파크나 키즈카페, 박물관, 잡월드, 뮤지컬, 체험학습 등의 경험을 해 볼 수 있습니다
놀이
2024년 8월 3일 작성 됨
Q.
날씨가 너무 더운데 갈만한 곳이 어디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혜정 보육교사입니다.요즘 날씨가 정말 너무 덥습니다. 차에서 에어컨을 켜고있어도 더운 요즘입니다. 이런날씨에는 아이와 밖에 나가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니 키즈카페나 체험학습, 아쿠아리움, 실내 박물관등에 가보는 것이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8월 3일 작성 됨
Q.
갖고 싶은게 매번 달라지는 아이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최혜정 보육교사입니다.아이들은 많은 것들이 궁금하고 다양한 것을 가지고 싶어합니다. 한가지를 계속 가지고 싶기보다 금방 가지고 싶은게 바뀌기도 합니다. 이는 누가 잘못 되었다기 보다 아이의 성향일 수 있습니다. 기준을 가지고 아이어게 사주거나 가지고 싶은걸 사주는 것이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8월 3일 작성 됨
Q.
아이를 낳으려면 어떤 마음가짐으로 나아가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최혜정 보육교사입니다.아이를 낳고 키우는 일은 정말 어렵고 힘든 일입니다. 하지만 그만큼 보람도 크고 행복합니다. 아이를 낳으려면 큰 마음가짐보다 아이를 한 인격체로 존중하는 마음으로 낳고 키워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41
42
43
44
45
카카오톡
전화 상담